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61957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The Legal Consideration on the Medicine Advertising Regulation in Korea -Basing o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 저자명

    조영기 ( Young Ki Cho ), 김상태 ( Sang Tae Kim )                                                                                   

  • 학술지명

    법과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11 No.3 [2011]                                                          

  • 발행처

    한국법정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95-1017(2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1년                                      

  • 초록 (Abstract)
    • 의약품은 다른 일반적인 상품들과 달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등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의약품은 질병치료나 예방에 효과를 발...
  • 의약품은 다른 일반적인 상품들과 달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등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의약품은 질병치료나 예방에 효과를 발휘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오남용했을 경우에 돌이킬 수 없는 위험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의약품에 대해서는 제조, 판매, 사용뿐만 아니라 광고에서 역시 규제가 뒤따르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규제는 다양한 법적 근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근거로는 광고규제에 관한 일반법인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이 있고, 그 밖에 방송법,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식품위생법, 약사법 등이 있다. 특히, 약사법에서는 제약회사가 의약품을 광고하기 위해서는 사전광고심의절차를 반드시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규제가 지나치거나 잘못된 경우에는 유용한 정보의 흐름을 방해하고 소비자에게 꼭 필요한 정보가 차단될 위험이 있어 이는 소비자의 알권리와 국민의 선택권을 침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 약사법에서 의약품 광고를 어떻게 규제하고 있는지 규제의 유형과 내용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았고, 약사법상의 의약품 광고 규정에 어떠한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지도 고찰하였다. 특히, 향후 약사법이 개정된다고 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할 것 중 하나인 의약품 사전심의규정에 대해 위헌적인 요소는 없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68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소통과 정부신뢰 빅데이터 감정분석을 통한 메르스 사례 분석 / 최미정 외 2017  114
3467 15 유전학 실험실 종사자들의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황정은 2018  114
3466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3465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3464 1 윤리학 생명과학Ⅰ에서 윤리적 궁지 해결 수업이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양석 2018  114
3463 20 죽음과 죽어감 일본에서 늙어 죽는다는 것 : 2025년 노인 의료·개호 붕괴로 일어나는 일 / 이홍림 2019  114
3462 2 생명윤리 의료기관 윤리성 검토기구 정비를 위한 법률 개정 연구 / 김성희 2010  115
3461 15 유전학 Structured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a Research Field: Hormesis in Biology,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Regulatory Science 2015  115
3460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 정책, 한국의 미래가 달렸다/박영준 2016  115
3459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에 관한 영국 이행입법의 법적 검토/김두수 2015  115
3458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근원과 방향/곤잘로 미란다 2015  115
3457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구조분석 / 윤기찬, 장한나 2014  115
»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2011  115
3455 5 과학 기술 사회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민사상 구제방법에 관한 소고 / 계승균 2017  115
3454 19 장기 조직 이식 혈액질환환자에서 국내기증자조혈모세포이식과 해외기증자조혈모세포이식의 성적비교/ 고영일 외 2017  115
3453 12 낙태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이재학 2017  115
3452 4 보건의료 철학 국립정신의료기관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지각된 윤리풍토의 관계 / 조혜경 외 2017  115
3451 20 죽음과 죽어감 젊은이의 죽음은 아기의 죽음보다 더 나쁜가? / 김한승 2017  115
3450 22 동물복지 동물의 지위에 대한 법정책적 담론 / 윤익준 2016  115
3449 22 동물복지 효율적인 동물복지 정책관리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긴순양 2016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