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과 政策(Law & Policy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25780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고찰 -노인복지법을 중심으로-
= The Critical Study on the Physician-patient Telemedicine in Legal Systemic Aspect -Focused on the Welfare of The Aged Act-

                       

  • 저자명

    최현숙 ( Hyun Sook Choi ), 박규용 ( Kyu Yong Park )                                                            

  • 학술지명

    法과 政策(Law & Policy Review)               

  • 권호사항

    Vol.21 No.1 [2015]                       

  • 발행처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Institute of Law & Policy Cheju National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97-324(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초록 (Abstract)
    • 원격의료 중에서도 환자와 의료인간의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양측에서 공통적으로 그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는 부분이 오ㆍ벽지에 있는 자의 ...
  • 원격의료 중에서도 환자와 의료인간의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찬반양론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양측에서 공통적으로 그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는 부분이 오ㆍ벽지에 있는 자의 의료권을 보장하기 위한 경우와 노령으로 인하여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자들이 반복처방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원격의료의 실효성을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진료를 받는 다는 것은 처방을 받아 약국에 내방하여 의약품을 받는 과정까지도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문제를 포괄적으로 하여 원점에서 다시 한 번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노인의 복지와 관련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과거 절대적 생존권 보장이 목적이었던 시대는 이미 지났고 현재는 국민의 개개인에게 적합한 높은 수준의 보편적 복지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원격진료를 단순한 생존의 문제에서 뿐만 아니라 변화된 시대를 반영하는 보건복지의 측면에서도 검토가 되어야 한다. 즉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충분히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원격의료의 도입에 대해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원격의료는 이미 시대적 조류를 거스를 수 없을 정도로 세계적 움직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원격의료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술측면이 어느 정도의 수준에 이르렀으므로, 원격의료를 도입은 이제 더 이상 막을 수는 없다. 다만 그 근거가 오ㆍ벽지의 환자나 고령의 노인들을 위한 것이라는 점은 노인의 특성이나 노인복지의 이념 그리고 관련된 법적 문제들로 인하여 그 주된 근거로 제시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므로 원격의료를 도입하여 시행하게 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이 제도를 많이 활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청ㆍ장년층을 중심으로 원격의료제도의 시행으로 인한 문제점을 찾아내고 그 해결방안을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1008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보호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보완방안 / 임효준 2015  104
1007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1006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소셜미디어 활동과 관련된 제언 / 이세라 2019  103
1005 10 성/젠더 복지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성역할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전태양 2018  103
1004 2 생명윤리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부모교육 교재 분석 / 정명애 2013  103
1003 1 윤리학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 이향연 외 2009  103
1002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연명의료정책과 기술 거버넌스 / 이준석 2015  103
1001 2 생명윤리 한국 의생명연구 이해상충에 대한 기관 단위의 관리방안 연구 / 신연선 2018  103
1000 5 과학 기술 사회 미국의 사이버안보법상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이성엽 2018  103
999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제도 시행 10년간의 성과 및 향후의 개선방안/현소혜 2018  103
998 9 보건의료 데이터기반의학에서 의료수준의 정립과 법적 책임 / 김기영 2017  103
997 20 죽음과 죽어감 사망 관련 비용(Cost of Dying)에 대한 경제적 분석 : 과잉진료와 삶의 질을 중심으로 / 안영 2018  103
996 9 보건의료 의료관광서비스제공자의 문화적 역량과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 신뢰 간 관계 /이려정 외 2018  103
995 15 유전학 인간 존엄성의 실현을 위한 인간 게놈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 송우진 2002  103
994 9 보건의료 요양병원 입원 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장아영 외 2018  103
993 12 낙태 낙태 담론과 낙태 합법화 추이 / 김민지 2018  103
992 15 유전학 `옥자`와 바이오산업… 육식의 종말은 가능할까? : 반려동물로 변신한 유전자 변형 `슈퍼돼지` / 고영민 2017  103
99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추정자 가족들의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대한 영향 요인 조사 / 오재숙 외 2017  103
990 9 보건의료 헬스케어 산업발전을 위한 의료빅데이터 활성화 정책 / 정명진, 이민화 2017  103
989 2 생명윤리 인체유래물의 연구적 이용 시 동의 면제 요건 고찰 / 차승현, 하대청 2017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