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지방정부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110270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구조분석
= A Structural Analysis of Policy Network in Health Medical Legislation

                                 

  • 저자명

    윤기찬 ( Ki Chan Yoon ), 장한나 ( Ha Nna Jang )                                                                                     

  • 학술지명

    지방정부연구               

  • 권호사항

    Vol.18 No.2 [2014]                            

  • 발행처

    한국지방정부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log.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59-283(2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초록 (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사법을 중심으로 하는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 정책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과정을 분석 하는데 있다. 특히, 약사법 개정 과정을 정책추진기, 정책교착기, 정책합의기 등 ...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사법을 중심으로 하는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 정책네트워크의 구조적 변화과정을 분석 하는데 있다. 특히, 약사법 개정 과정을 정책추진기, 정책교착기, 정책합의기 등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각의 정책환경, 주요 행위자 및 쟁점, 네트워크의 구조와 상호작용 등을 사회네트워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책추진기, 정책교착기, 정책합의기의 세 시기동안 핵심이 되는 쟁점과 행위자가 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정책추진기에서 정책합의기로 올수록 핵심 쟁점과 이해관계자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네트워크 내에서 중심성이 높은 행위자(노드)일수록 그들이 주장한 대안이 정책결과에 적극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통적인 정책결정과정이론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시민단체 및 여론의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정책네트워크 중에서도 정책결정과정의 개방적이고 가변적인 이슈네트워크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는 국민의 권리 및 이해관계와 직접 연계된 민감한 정책사안에 있어서 여론을 반영할 수 있는 공식적 창구를 마련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의견을 조율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마련하는데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808 2 생명윤리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갈등 경험 / 김문옥 2017  270
1807 14 재생산 기술 인공생식의 민법상 쟁점에 관한 법리 연구 / 김상헌 2015  270
1806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1805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시대 과학기술인력 수급전망 / 엄미정 2016  271
1804 14 재생산 기술 가즈오 이시구로의 소설 『네버 렛 미 고』 연구 / 손영도 2017  271
1803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정보검색 웹사이트 개발 2019  271
1802 1 윤리학 21세기 생의학과 생명정치 / 과학기술학연구편집부 2014  272
1801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제의 합리적인 규제 방안에 관한 연구 / 윤이레 2014  272
1800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간별 아동 죽음교육 모델 방안 / 유성이 2016  272
1799 22 동물복지 도축되는 한우 혈액에서 회수한 혈청의 생물학적 안전성 분석 / 김민수 외 2012  272
179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로부터 퇴행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망막색소상피의 생선 연구 동향 / 유대훈 외 2015  272
179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및 대상자 보호프로그램(HRPP)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2015  272
1796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2
1795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사례 및 연구 / 박요셉 2015  272
1794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로봇에 관한 형사책임과 책임주의/이인영 2017  272
1793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용 인공지능에 대한 동향 분석 및 방사선사 인식조사 / 최준희 외 2017  272
1792 20 죽음과 죽어감 얄롬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의 죽음과 죽음 극복 가능성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토마스 베른하르트의 소설 『호흡』을 분석 사례로 / 안남희 2017  272
1791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72
1790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의 유형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 / 백수진 2009  273
1789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으로 본 동의와 동의면제에 대한 고찰 / 백수진 2015  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