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法學(Seoul Law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19822 
논문 :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대법원 2010. 10. 14. 선고 2007다3162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Critical Consideration on Korean Supreme Court`s Criteria for Separating Clinical Trials from Individual Medical Practices

                                  

  • 저자명

    강한철 ( Han Cheol Kang )                                             

  • 학술지명

    서울대학교 法學(Seoul Law Journal)               

  • 권호사항

    Vol.54 No.1 [2013]                                   

  • 발행처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발행처 URL

    http://lawi.snu.ac.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85-217(3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 초록 (Abstract)
    • 대법원 2010.10.14. 선고 2007다3162 판결은 임상시험의 법적 정의에 대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서 그 연구 당시까지의 지식·경험에 의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아니�...
  • 대법원 2010.10.14. 선고 2007다3162 판결은 임상시험의 법적 정의에 대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서 그 연구 당시까지의 지식·경험에 의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아니한 것을 의미한다고 판시하였다. 이러한 논리에 의하면 시판 후 의약품의 허가범위 외 사용(Off-Label Use)의 경우에도 안전성 및 유효성의 충분한 검증이 완료된 단계까지 이르지 못하였다면 임상시험에 해당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시판 후 의약품의 허가범위 외 사용(Off-Label Use)은 현재 의학계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고 현행법령상 금지되어 있다고 볼 수 없으며 심지어 의사에게 요구되는 최선의 진료의무를 감안할 때 시행이 요구되는 경우마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판례가 설시한 ``안전성·유효성의 충분한 검증 기준론``에 의하면 의사가 시판중인 의약품의 허가범위를 벗어나 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임상시험계획서를 작성하고 임상시험관리기준상 요구되는 자료를 준비하여 식약청장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부담을 지게 되고 그러한 절차를 불이행할 경우 형사 책임까지 부담할 수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성·유효성의 충분한 검증 기준론``은 우리 법령과 기존 판례의 해석, 해외 제도의 검토, 의사에게 요구되는 최선의 진료의무, 의료의 본질과 임상시험의 포섭 범위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할 때 그 타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 따라서 임상시험과 환자에 대한 구체적 의료 행위를 구분하는 기준은 ``시행의 주된 목적``이 되어야 하고 그러한 목적은 의료행위의 시행양태를 검토하여 판정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안전성 및 유효성의 적정히 검증되지 아니한 의약품을 의학적 근거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폐해는 의사의 직무상 주의의무를 엄격히 해석하고 이와 관련한 진료비의 청구를 부인하며 약사법 품목허가를 받지 아니한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한 자에 대하여 제재를 가하는 것으로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지 임상시험의 개념범위를 환자를 위한 구체적인 의료행위에까지 확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6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길성환 2003  401
3567 15 유전학 유전자치료연구에 대한 미국 국립보건원(NIH)의 규제 고찰/박수헌 2015  401
3566 20 죽음과 죽어감 보편적 호스피스제도와 요양병원의 역할/장윤정 2015  401
3565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법적 고찰 / 조한상, 이주희 2013  401
356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박수민 2013  401
3563 18 인체실험 기관별 심의위원회 체계에 대한 도전과 선진 각국의 대응 / 최은경 2012  401
3562 14 재생산 기술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여성의 재생산권리와 생명의료과학기술의 관계에 대한 소고 : 보조생식술의 이용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09  401
3561 9 보건의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화학적 면역억제제에 대한 고찰 / 고진곤 2017  400
356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의 호스피스완화의료정책 / 김창곤 2017  400
355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과 안전보건 / 권혁면 2016  400
3558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성경숙 2004  400
3557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기 성인의 사전의료의향서, 호스피스완화의료,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 / 김신미, 김기숙, 이인숙, 김순이 2013  400
3556 2 생명윤리 비첨과 췰드리스의 네 원칙에 대한 비판과 공동체주의적 재해석 / 유수정 2016  399
3555 15 유전학 그룹 구조를 갖는 고차원 유전체 자료 분석을 위한네트워크 기반의 규제화 방법 / 김기풍 외 2016  399
355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법적 논쟁에 관한 연구: 개혁주의적 인간관과 윤리관의 관점에서 / 이상원 2012  399
3553 1 윤리학 인간성과 폭력에 대한 법사회학 및 법철학적 해석론의 교차 / 김종호 2018  398
3552 1 윤리학 한국 의료법체계의 성격과 역사적 변천 / 박형욱 2001  398
355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문제에 대한 불교적 연구 / 김종민 2007  397
3550 15 유전학 임상유전학의 우생정치 이념 비판 : 우생학과 자녀교육론 / 이을상 2014  397
3549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자(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이정현 2011  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