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消費者問題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13485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온라인약국 허용여부에 관한 정책적 논의를 중심으로 = How to Regulate Online Transactions of Pharmaceutical Products : Focused on Whether to permit On-line Pharmacy or Not

                             

  • 저자명

    이종인(Jong In Lee), 이승신(Seung Sin Lee)                                              

  • 학술지명

    消費者問題硏究               

  • 권호사항

    Vol.- No.41 [2012]                        

  • 발행처

    韓國消費者保護院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1-65(1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2년

초록 (Abstract)

  • 우리나라는 다양한 분야의 소비자 상품이 온라인을 통해 거래되고 있지만 현재 온라인 약국의 개설 자체가 금지되어 있어 통신판매 수단을 통한 의약품 거래가 사실상 불법이다. 하지만 미...
  • 우리나라는 다양한 분야의 소비자 상품이 온라인을 통해 거래되고 있지만 현재 온라인 약국의 개설 자체가 금지되어 있어 통신판매 수단을 통한 의약품 거래가 사실상 불법이다. 하지만 미국이나 영국 등 여러 선진국에서는 이미 온라인 의약품 거래가 허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온라인 약국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국내 소비자의 인터넷 등의 통신수단을 통한 의약품 구입을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현실적으로 의약품의 온라인 거래 허용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관련된 국내 및 주요 선진국의 제도 운용현황과 주요 쟁점을 고찰했다. 즉, B2C 형태의 온라인 의약품거래의 단계적 허용을 전제로 다음과 같은 제도적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첫째, 현행 법률의 개정 보완을 통해 온라인약국 인가를 의무화하고, 둘째 온라인상 불법 의약품거래 차단을 위한 방안으로써 가칭 '온라인 의약품거래 관리기준' 내지 '온라인약국 개설기준'을 신설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다. 셋째, 온라인으로 주문한 의약품의 우편배송이나 택배배송을 허용하고 넷째, 약사법 제50조 제1항 등의 개정을 통해 온라인약국 허용에 따른 제반 문제에 대응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의약품 온라인거래의 개념과 유형 고찰
  • Ⅲ. 국내·외 의약품 온라인거래 제도 검토
  • Ⅳ. 온라인 의약품거래 관련 쟁점 검토에 기초한 정책 제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18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 원동규, 이상필 2016  322
3187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3186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318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
3184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2
31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3182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2009  322
318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318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3179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1
3178 9 보건의료 특별법상 허위.과장광고 및 표시에 관한 형사처벌 조항에 대한 검토 -보건의료 및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심영주 2014  321
3177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3176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3175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1
317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 김은주 , 육성필 2017  320
317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 논쟁 1998  320
3172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안용희, 서연옥 2006  320
317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3170 23 연구윤리 연구논문 : 외과적 혁신의 윤리 쟁점과 윤리적 규제의 필요성 / 강명신, 박재현 2011  320
3169 15 유전학 DTC(Direct-to-Consumer) 유전자검사의 정당성 구조와 법정책 / 김나경 2018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