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27452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탈북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The) abuses of human rights and identity change processes of women defectors from North Korea : focusing on married lives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 저자

    이화진                                       

  • 형태사항

    vii, 24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국문요지: p. v-vii
    Abstract: p. 244-247
    설명적 각주 수록
    지도교수: 심영희
    참고문헌: p. 234-24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사회학과 2010.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초록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여성들에 대한 북한과 중국, 그리고 한국이라는 국가별 이동에 따른 경험에서의 인권문제와 행위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북한을 출발하여 한국으로 오기까지 탈...
  •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여성들에 대한 북한과 중국, 그리고 한국이라는 국가별 이동에 따른 경험에서의 인권문제와 행위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북한을 출발하여 한국으로 오기까지 탈북여성의 경험은 삶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하고 여성주의 관점에서 논의함으로써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여성들의 입장에서 여성들의 경험을 담아내기 위하여 사적경험인 결혼생활을 북한, 중국, 한국의 사회구조와 행위의 관계로 분석하고 개인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각 공간에서의 구조적 인권문제와 이에 대한 행위를 공간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요지..............................................v
  • I 서론...................................................................................................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1
  • 2 연구방법...........................................................................................6
  • 1) 심층면접........................................................................................7
  • 2) 참여관찰........................................................................................14
  • 3) 연구대상........................................................................................17
  • II 이론적 배경.......................................................................................23
  • 1 사회구조와 행위...............................................................................23
  • 2 인권과 인간안보...............................................................................27
  • 1) 여성인권과 가부장제.....................................................................27
  • 2) 인간안보와 여성............................................................................31
  • 3 여성의 정체성..................................................................................34
  • 4 선행연구...........................................................................................40
  • 5 연구 분석틀.....................................................................................50
  • III 북한에서의 빈곤과 가부장적 억압..................................................53
  • 1 북한체제의 가부장적 특성과 빈곤..................................................53
  • 1) 여성의 생계부담 증가와 가부장적 삶..........................................55
  • 2) 탈북의 여성화와 탈북여성의 특성...............................................56
  • 2 구조적 문제로서의 인권문제..........................................................60
  • 1) 빈곤과 생계담당의 어려움.........................................................60
  • 2) 가부장적 제도 안에서의 인권문제.............................................67
  • (1) 남편(세대주)에 종속된 존재로서 겪는 피해..........................68
  • (2) 결혼연령 규제로 인한 낙태.................................................70
  • (3) 성별, 결혼유무에 따른 장사제한.........................................72
  • (4) 이혼의 어려움......................................................................76
  • 3) 남편과의 관계에서의 인권문제.................................................78
  • (1) 남편의 외도와 폭력.............................................................78
  • (2) 자율적 성관계 제한.............................................................81
  • 3 대응 및 행위...............................................................................83
  • 1) 전통적 여성 역할 수용...........................................................83
  • 2) 탈북........................................................................................86
  • IV 중국에서의 불안한 신분과 강제결혼.............................................90
  • 1 중국내 탈북여성들의 실태...........................................................90
  • 1) 북한과 중국관계의 역사와 탈북인에 대한 강제송환..............90
  • 2) 중국내 탈북여성 증가의 배경................................................93
  • 3) 안전을 위한 중국남성과의 결혼.............................................95
  • 2 구조적 문제로서의 인권 - 불안한 신분과 강제결혼..................99
  • 1) 불안한 신분으로 인한 폭력과 위축된 삶...............................99
  • (1) 강제송환............................................................................99
  • (2) 폭력, 감금.........................................................................101
  • (3) 위축된 삶..........................................................................104
  • 2) 가족관계 내에서의 인권문제.................................................109
  • (1) 강제결혼.............................................................................109
  • (2) 원치 않는 성관계와 출산...................................................114
  • 3 대응 및 행위.............................................................................120
  • 1) 결혼 수용...............................................................................120
  • 2) 신분증('호구') 구입................................................................127
  • 3) 적극적 적응............................................................................129
  • (1) 남편 신뢰하기, 정붙이기...................................................129
  • (2) 음식, 언어 적응하기............................................................133
  • (3) 돈 벌기................................................................................136
  • 4) 한국행.......................................................................................140
  • V 한국에서의 사회적 차별과 결혼생활의 변화...................................146
  • 1 한국에 입국한 새터민의 실태......................................................146
  • 1) 입국현황....................................................................................146
  • 2) 입국방법....................................................................................151
  • 3) 정착과정....................................................................................156
  • 4) 탈북여성의 사회적 차별과 결혼생활의 변화.............................158
  • 2 결혼관계에서 드러난 사회적 차별.................................................161
  • 1) 중국남편과의 관계에서 드러난 사회적 차별...............................161
  • (1) 중국남편 초청에 대한 부정적 의견.........................................161
  • (2) 경제적 어려움과 남편의 부적응..............................................164
  • 2) 한국인 남편과의 관계에서 드러난 가부장적 차별......................166
  • 3 결혼관계에 드러난 사회적 차별에 대한 대응 및 행위..................169
  • 1) 수동적 태도...............................................................................169
  • 2) 이혼...........................................................................................172
  • 3) 상처치유와 갈등극복.................................................................173
  • 4)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177
  • VI 인권침해와 결혼생활을 통한 정체성 변화과정..................183
  • 1 한국입국 이후 혼인상태의 변화...............................183
  • 1) 중국에서 만난 남편과 함께 사는 경우(기혼).................186
  • 2) 중국남편 초청 안하고 다른 남성과 사는 경우................196
  • 3) 중국남편 초청 이후 헤어지고 혼자 사는 경우(독신)..........200
  • 4) 중국남편 초청하지 않은 경우(독신).........................202
  • 2 혼인상태의 변화를 통해본 정체성 변화....................209
  • 1) 의존적 유형 - 현재 독신, 현재 기혼..........................210
  • 2) 희생적 유형 - 현재 독신, 현재 기혼............................................215
  • 3) 주체적 유형 - 현재 독신, 현재 기혼...........................................218
  • 3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225
  • 1) 각 공간에서의 인권침해 경험................................225
  • 2) 결혼생활을 통한 경험 : 남편의 경제적 능력과 국적.............227
  • VII 결론.................................................................................................229
  • 참고문헌.................................................................................................234
  • Abstracts...............................................................................................24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08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2007  496
807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2014  497
806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따른 윤리적 문제 고찰/우재명 2002  497
80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80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803 14 재생산 기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 박대웅, 류화신 2016  498
802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801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800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79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윤재지 2015  500
798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0
79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79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왓슨 기술과 보건의료의 적용 / 이강윤, 김준혁 2016  503
79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4
794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4
793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792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791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6
790 12 낙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서의 낙태 / 배정순 2018  506
789 9 보건의료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경은 2018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