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52525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기타서명

    Study on undergraduates' recognitions of abortion, suicide and euthanasia

  • 저자

    박진영                                       

  • 형태사항

    v, 6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선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초록 (Abstract)
    • 대학생의 낙태, 자살 및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본 연구는 생명존중과 관련된 쟁점인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자료 수집은 2013년 ...
    • 대학생의 낙태, 자살 및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본 연구는 생명존중과 관련된 쟁점인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서울·경기 지역과 지방 대도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낙태에 관한 인식은 이영숙(1990)이 고안하고, 이규숙(200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자살에 대한 인식은 Domino 등 (1980)이 개발한 자기 보고형 설문지인 SOQ 중에서 반형진(1989)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송성호(2009)가 한국인의 문화에 맞게 재구성한 도구를, 안락사에 대한 인식은 류영신(2002)이 기존의 설문지와 여러 참고문헌을 토대로 만든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 및 변수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카이제곱검정, 피어슨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학생의 낙태반대지지는 총 가능 점수 1점~4점 중 남학생은 평균 2.77점, 여학생은 2.74점이었다. 낙태결정에 있어서는 원치 않은 임신의 경우 낙태를 하겠다는 비율이 가장 높아 선택 우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2. 자살에 대한 인식은 평균 -0.21점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일반인 대상의 선행연구에 비해 인식 수준이 높아졌다. 자살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도 일부항목에서 과거에 비해 자살에 대해 수용적인 견해를 보이는 이중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3. 안락사는 소극적 안락사와 적극적 안락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소극적 안락사는 대부분이 찬성하는 입장인 반면에 적극적 안락사는 반대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안락사 요청여부에 있어서도 본인의 경우와 가족의 경우의 선택이 불일치하였다. 안락사의 법제화의 필요성에 대해는 82.5%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는 일관성 있는 관계가 없다.본 연구는 생명관련 쟁점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낙태, 자살, 안락사간의 인식을 살핀 결과 일관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각각의 쟁점에 관해 가치관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일관성 있는 선택을 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생명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을 올바르게 습득하고 생명윤리에 대한 가치를 확립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대학교 정규 수업으로 편성하여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08 9 보건의료 일차의료 코호트에서 가족기능이 대사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5  69
    4207 14 재생산 기술 체외수정 후 출산한 쌍태아의 임상적 고잘 / 한명석 외 2007  69
    4206 9 보건의료 임상시험과 자기위태화 / 김혁돈 2013  69
    4205 5 과학 기술 사회 스마트 헬스케어 존을 활용한 개인 건강 정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이재익 외 2018  69
    4204 19 장기 조직 이식 융복합 교육시대에 간호대학생의 장기이식 인식에 관한 모색 / 이자옥 외 2018  69
    4203 24 기타 생명정보 분야 웹사이트 서비스에 대한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 안부영 외 2009  69
    4202 4 보건의료 철학 인권친화적인 보건의료인력 양성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 간호대학생의 감정노동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간의 관계 / 임희수 2018  69
    4201 7 의료사회학 전문직 윤리 교육의 이해 / 권복규 2016  69
    4200 23 연구윤리 연구의 성과와 연구윤리/ 정재우 2018  69
    4199 9 보건의료 우리나라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기술평가의 역할 / 이영성 2018  69
    4198 9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의한 농촌 환경 의료 관심 트랜드 분석 /황상원 2018  69
    4197 9 보건의료 일본 정밀의료 관련 법제의 현황과 함의 / 이기호, 김계현 2018  69
    4196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2018  69
    4195 4 보건의료 철학 전공의 윤리 교육 / 전재범 2019  69
    4194 17 신경과학 의식에 대한 신경철학적 논란과 교육인식론의 과제 / 한일조 2019  69
    4193 9 보건의료 우리나라의 건강정보이해력 연구동향과 정책과제 / 이 민 외 2018  69
    4192 1 윤리학 정신적으로 제약이 있는 자의 자기 결정권 보호를 위한 법제 / 배현아 2013  70
    4191 14 재생산 기술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양윤선 2009  70
    4190 15 유전학 생명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 김동광 2004  70
    4189 9 보건의료 환자만족도 제고와 일차의료 기관 활성화를 위한 의료전달체계 적정화 연구 / 오동일 2016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