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15124 
암환자와 비-암환자의 임종기 치료 강도 비교: 단일 연구기관 자료
= Comparison of End-of-Life Care Intensity between Cancer and Non-cancer Patien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저자명

    김재민, 백선경, 김시영, 맹치훈, 한재준, 박소영, 박재훈                                                          

  • 학술지명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권호사항

    Vol.18 No.4 [2015]                             

  • 발행처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 발행처 URL

    http://www.hospicecare.co.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22-328(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목적: 의학의 발달로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사망의 원인이 되는 질환 및 동반질환의 유병기간은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환자의 임종기 관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더욱 증가하고 ...
  • 목적: 의학의 발달로 인구가 고령화됨에 따라, 사망의 원인이 되는 질환 및 동반질환의 유병기간은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환자의 임종기 관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더욱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임종기 치료 강도에 대한 국내연구는 암환자에 국한되어 있으며, 비-암환자의 임종기 치료 강도에 대한 국내 연구는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암환자와 비-암환자의 임종기 치료 강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경희대학교병원에서 2014년 12월 1일부터 2015년 3월 31일까지 4개월간 사망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암환자와 비-암환자의 기본 인구학적 정보, 임종기 치료 강도, 심폐소생술 금지 요청서 경향 등에 대해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 비-암환자가 암환자에 비해 나이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73.7 vs. 67.4, P=0.001), 중환자실 치료(87.4% vs. 36.0%, P<0.001), 기도 삽관 및 기계 호흡(63.2% vs. 24%, P<0.001), 응급 투석(28.7% vs. 8.0%, P=0.001)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P=0.038), 암의 유병 여부(P<0.001)가 임종기 침습적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임종기 치료 강도는 비-암환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이와 암의 유병여부가 임종기 치료 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2808 9 보건의료 위험의 지구화, 지구화의 위험 - 한국의 '광우병' 논쟁 연구 / 하대청 2012  264
2807 4 보건의료 철학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도덕적 고뇌 / 전유정 외 2019  263
2806 9 보건의료 약사법상 의약품 동정적 사용제도 / 강한철 2013  263
2805 9 보건의료 결핵환자의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고찰 / 이세경 2016  263
2804 9 보건의료 미용성형의료 - 우리 판결례와 독일 판결례의 비교·분석적 소고 -/안법영 2015  263
280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 서영심 2008  262
2802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경조직 대체물질 개발 및 응용 / 이우걸 2015  262
2801 15 유전학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 유호종, 이일학, 최성경, 정창록, 이승희, 김소윤 2014  262
2800 5 과학 기술 사회 사회여론 수렴방법으로서의 시민 합의회의 : 이종이식 문제를 중심으로 / 모효정, 권복규 2009  262
2799 9 보건의료 서울시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건강관리와 의료이용 실태 / 손창우 2018  261
279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에서의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의료 정책 연구 : 노인 인구 치매예측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김희철 2018  261
2797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기증자 신장 분배제도의 현황 / 김미나 외 2017  261
2796 19 장기 조직 이식 확장범주 신장이식의 국내 현황과 한국형 기준의 필요성 / 양신석 외 2017  261
2795 9 보건의료 응급의료센터 감염예방을 위한 시설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 김중기 2016  261
2794 18 인체실험 유도만능 줄기세포 제작 이점 및 한계 / 황석연 외 2014  261
2793 15 유전학 유전성 내분비 질환의 분자유전학적 진단 / 최진호 외 2010  261
2792 2 생명윤리 중학교 도덕과에서의 생명윤리교육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전원주 2008  261
279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참여용 승낙서(assent form)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이해도 차이에 관한 연구 / 임수정 2014  261
2790 9 보건의료 보건의료법체계를 고려한 장애아동 지원 정책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사업을 중심으로- / 김소연, 배현아 2013  261
2789 9 보건의료 ‘기본법’으로서의 보건의료기본법 : 제정구상, 체계적 지위 그리고 기능적 한계 / 박지용 2014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