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이화젠더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591234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검토
= Research on the Protection of a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from Criminal Law Persepectives

                              

  • 저자명

    윤덕경                                               

  • 학술지명

    이화젠더법학               

  • 권호사항

    Vol.4 No.1 [2012]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6(3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2년

초록 (Abstract)

  • 자기결정권 인정은 인간의 인격적 가치를 존중하는 데서 비롯되며, 인간존엄성에서 나오기 때문에 인간을 수단으로만 삼아서는 안 된다. 자기결정권은 헌법상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
  • 자기결정권 인정은 인간의 인격적 가치를 존중하는 데서 비롯되며, 인간존엄성에서 나오기 때문에 인간을 수단으로만 삼아서는 안 된다.
    자기결정권은 헌법상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에서 비롯되며 포괄적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권을 형법상 구체화한 것이 형법각칙상 자유를 보호하는 구성요건이며 그 중 성적 측면에서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이 성적 자기결정권의 보호이다.
    성적 자기결정권은 적극적·소극적인 측면이 모두 인간의 행위와 관계가 되지만 특히 형법상 성폭력범죄는 소극적 측면에서의 성적 자기결정권의 문제이며, 방어하고 배제할 권리, 어느 누구와도, 어느 때에도, 어느 이유에서라도, 아무 이유 없이도 성행위를 거부할 수 있는 자유에 관한 것이다. 소극적인 의미에서의 성적 자기결정권은 피해자 개인에게 직접적인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주기 때문에 보호의 필요성이 더욱 크다는 점에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성적 자기결정권의 의의와 한계는 무엇이고, 성적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는 방법을 2가지로 분류함에 있어서 2가지는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또한 성적 자기결정권의 보장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형법에서 신설 또는 수정해야 할 입법과제에 대해 살펴본다. 형법 제32장의 제목을 성적 자기결정권 침해에 관한 죄로 변경하는 것은 상징적 의미가 있을 뿐이지만 여기서 더욱 문제되는것은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와 관련하여 성폭력범죄의 개념과 범위를 어떻게 할 것 에 관한 것이다. 그 이외에 강간죄 객체의 사람으로의 변경, 부부강간 명시, 유사성교행위의 입법화를 위한 방법, 형법상 성폭력범죄의 비친고죄화를 제안하였으며, 비동의간음죄는 신설보다는 폭행·협박에 관한 협의설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서언
  • Ⅱ.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의 의의
  • 1. 자기결정권의 의의와 법적 위상
  • 2. 성적 자기결정권
  • Ⅲ.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 1.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정비의 필요성
  • 2.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에 관한 죄로 제목변경
  • 3. 강간죄의 객체
  • 4. 강간죄의 행위
  • 5. 성폭력범죄의 비친고죄화
  • Ⅳ.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28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5
3627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범주 문헌고찰: 이론기반 실증연구 중심으로 / 고영곤 외 2018  105
3626 9 보건의료 미국의 외래치료명령제도 및 위기대응과 국내적 시사점 / 박인환 외 2018  105
3625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의 비밀유지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 - 지정토론문 / 주호노 2018  105
3624 15 유전학 유전체 편집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기초 연구 / 최진일 2019  105
3623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2019  105
3622 15 유전학 "과학의 승리"는 어떻게 선언될 수 있는가? 친자 확인을 위한 혈액형 검사가 법원으로 들어갔던 과정 / 김효민 2019  105
3621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362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유형별 기증 희망등록의도 및 가족 동의획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차동필 2010  106
3619 2 생명윤리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 인식과 생명미학적 정치 / 김대식 2014  106
3618 15 유전학 유전정보 이용을 둘러싼 사회적 쟁점 연구 / 이영희 2003  106
3617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철학적 인간학/엄정식 2017  106
3616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3615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제도 도입이 말기암환자의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박설희 2017  106
3614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3613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3612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에서의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사법적, 입법적 논의 / 박영호 2005  106
3611 1 윤리학 윤리교육에서 윤리상담의 적용을 위한 방향 탐색 - 윤리교사들의 윤리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 장승희 2017  106
3610 5 과학 기술 사회 안전성 증진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과정과 인간공학 가이드라인 연구 / 채승진 외 2017  106
3609 1 윤리학 한국에서의 비영리법인 및 공익법인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 송호영 2019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