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375852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gal problem of surrogate mother and the need for legislation

                                

  • 저자명

    나은지(Na Eun-Ji), 권오성(Kwon Oh Seong)                                                               

  • 학술지명

    법학논총               

  • 권호사항

    Vol.28 No.2 [2015]                                                         

  • 발행처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발행처 URL

    http://legalri.kookmin.ac.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15-345(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초록 (Abstract)

  •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자연적으로는 아이를 가질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보조생식술을 이용하여 자녀를 낳는 일이 가능해졌다. 한국에서는 점진적인 불임 부부의 수의 증가에 따라...
  •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자연적으로는 아이를 가질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보조생식술을 이용하여 자녀를 낳는 일이 가능해졌다. 한국에서는 점진적인 불임 부부의 수의 증가에 따라 대리모 문제는 점점 더 심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도 현재 국내에는 대리모 임신을 직접적으로 규제하는 법률은 없다. 해외에서는 대리모 여성들을 도구로 취급하는 문제와 더불어 여성들의 생활환경 및 건강에 대한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태어난 아이가 기형이나, 장애를 가진 경우 아이의 인도를 거부하는 의뢰 부부들의 태도로 인해 아이의 인권이 유린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에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대리모 여성과 그 여성으로부터 태어나는 출생자의 최소한의 보호를 위한 법률은 필요한 실정이다.
    출생자의 법적 지위와 관련된 사항은 일반화된 명확한 규정으로 처리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나 현행 법령이 없는 지금으로서는 법원의 해석정도가 대안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해석론에 법을 맡겨 놓는 것은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크게 떨어뜨려 일반 국민의 법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바, 대리모를 통해 태어난 출생자의 지위를 명확하게 해줄 입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대리모 문제를 전면 허용하여 국가가 직접 구체적인 규율을 통해 대리모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예외를 허용하는 방식으로 규제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낸 다음 입법하는 것이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안일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II. ‘대리모’에 관한 각국의 입법례
  • III. ‘대리모’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법제 현황
  • IV. ‘대리모’ 관련 입법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
  • V. 맺으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128 9 보건의료 의료법 시행규칙상 원외탕전실 규정에 대한 법적고찰 / 김정선 2012  313
3127 18 인체실험 황우석 교수사태 관련 한국 언론의 뉴스 프레임에 관한 연구 : 매체간. 매체내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한석봉 2006  313
3126 15 유전학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PRRSV)의 전장 유전체염기서열(whole-genome sequencing) 분석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의 활용 / 문성현 외 2016  313
312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의 형사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 수직적 분업에서 의사의 주의의무를 중심으로 / 이지연 2018  312
3124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 가족 돌봄자의 부담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국가유공자 입원환자와 가정간호환자 중심으로 / 김유미 2018  312
3123 17 신경과학 나바에즈의 신경도덕교육 이론에 대한 평가 / 추병완 2016  312
3122 2 생명윤리 의료법의 현대적 과제 : 인간대상연구에 있어 동의 관련 규범적 문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상의 동의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김은애 2014  312
3121 9 보건의료 N. Daniels의 생애에 대한 타산적 접근법과 그에 대한 비판: S. Brauer를 중심으로/이경도 2015  312
312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태도, 말기암환자와 가족의 영적안녕과의 관계 / 안옥희 2019  311
3119 1 윤리학 노인범죄의 증가에 따른 경찰의 대응 방안 연구 / 장일식 외 2018  311
3118 8 환자 의사 관계 마취 관련 의료사고 시 주의의무 - 법원 판결 사례를 중심으로 - / 최규연 2017  311
3117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가족의 의미 / 송재찬 2016  311
3116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의 문화변동과 국가의 개입 / 하정옥 2015  311
3115 14 재생산 기술 온라인 모니터링을 통해 본한국의 불법생식세포 매매 실태 및 개선방안/문한나, 박소연, 김명희 2016  311
3114 8 환자 의사 관계 장애아의 출생과 의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황덕영 2008  311
3113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를 통해 본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 웰다잉 / 김건 2013  310
»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의 법적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나은지 2015  310
3111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0
3110 18 인체실험 한국 줄기세포연구정책 거버넌스의 특성 / 김명심 2015  310
3109 9 보건의료 119 구급대의 이송거절 및 거부에 대한 법적 고찰 / 배현아, 이상진, 김찬웅, 이경환 2005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