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6595035 
법적 부모 규정방식 변화의 필요성: 보조생식술에 따른 모성ㆍ부성 개념 변화와 관련하여
= A study on the legislation about the legal parenthood: focusing on the changed conception of the parenthood through the assisted reproduction

                                     

  • 저자명

    김은애                                                

  • 학술지명

    한국여성철학

  • 권호사항

    Vol.12 No.- [2009]                                                           

  • 발행처

    한국여성철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7-143(2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초록 (Abstract)

  • 보조생식술의 발전 및 이용에 따라 모성과 부성의 스펙트럼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생식술을 고려하여 마련된 것이 아닌 우리나라 현행 ?민법?상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규정만...
  • 보조생식술의 발전 및 이용에 따라 모성과 부성의 스펙트럼이 매우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생식술을 고려하여 마련된 것이 아닌 우리나라 현행 ?민법?상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규정만으로는 비배우자간 인공수태시술을 이용한 경우 등에 있어 부모자녀관계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만 현실적으로 볼 때 우선 태어나는 아이의 복리나 최선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아이에 대해 권한, 의무, 권리, 책임 등을 갖는 부모를 확실히 정할 필요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부모가 되고자 하여 타인으로부터 생식세포를 제공받아 보조생식술을 이용하여 아이를 임신ㆍ출산한 자들, 그리고 부모가 될 의사 없이 타인의 재생산권리 보장을 위해 자신의 생식세포를 제공한 자들의 입장을 고려할 때에도 각각의 권리 내지 이익 보호를 위해 이들과 아이의 관계가 법적으로 명확히 판단되도록 하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이에 보조생식술에 따른 법적 부모 규정과 관련하여, 비록 부모자녀 간에 생물학적인 연관성이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아이의 임신ㆍ출산을 의도한 부모가 그 결과로 태어나는 아이에 대해 자녀에 대한 부모로서의 법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사를 명확히 밝힌 경우에 그 부모자녀관계 인정의 법적 타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그 구체적인 법적 근거와 방식이 마련되어야만 한다. 나아가 사후생식 등을 비롯하여 부모자녀관계 내지 모성 및 부성에 대한 다양한 사고를 새로이 요구하는 현실 상황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앞으로 과연 모성 및 부성의 개념은 어떻게 정의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철학적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법적으로는 부모자녀관계를 어떻게 확정해 나가는 것이 적절할 것인지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도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들어가며
  • Ⅱ. 국내ㆍ외 현실 상황에 대한 개관
  • Ⅲ. 보조생식술이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 우리나라의법적 친자관계 결정 방식
  • Ⅳ. 보조생식술이 이용되는 경우에 있어 영국의법적 친자관계 결정 방식
  • Ⅴ. 논의와 비판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328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역할인식, 간호스트레스 및 태도 / 이수정 2016  349
1327 18 인체실험 치과 임상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줄기세포 연구의 동향 / 전민수 2011  349
1326 15 유전학 GMO 식품에 나타난 유전자 조작 기술의 기독교 윤리적 비판-유전자 조작 기술 시대의 자연 및 인간의 ‘수평적 동등성’ 회복을 위해 / 김광연 2017  349
132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의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 송지수 2015  349
132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사례비교 및 존엄사의 정당화 가능성 연구 : 故 김수환 추기경과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례를 중심으로 / 권혁남 2010  349
1323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2018  349
1322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인식, 임종간호태도, 정신건강이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황정옥 2019  349
1321 14 재생산 기술 21세기 생명복제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인 견해 / 한경옥 2006  350
132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 / 이영주 2015  350
1319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공학과 헌법- 인간의 존엄, 연구의 자유 그리고 국가의 생명보호의무/조홍석 2015  350
1318 9 보건의료 건강보험 수가정책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백현영 2014  350
1317 14 재생산 기술 포유동물 초기배아의 체외성숙과 체외발달 및 이종간의 체외수정에 대한 연구 / 김영훈 2010  350
131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시대의 형사적 쟁점에 관한 연구 / 이건필 2019  350
1315 9 보건의료 의약품부작용보고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졸피뎀 약물 유해반응 실마리 정보 검출 / 한준우 외 2018  350
1314 15 유전학 과학적 증거가 있는 경우 민법 제844조의 친생추정에 대한 소고(小考) - 우리나라와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 / 홍남희 2015  351
1313 9 보건의료 한국의 응급의료서비스 행정체계에 관한 연구 : 재난응급의료체계의 현황을 중심으로 / 김유호 2011  351
1312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과 호스피스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연구 / 이현주 2003  351
1311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와 노인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2017  351
1310 20 죽음과 죽어감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응답 /백충현 2018  351
1309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관한 형법적 고찰 / 이백휴 2010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