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홍익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32544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에 대한 형법상 범죄주체의 인정여부
= Die Anerkennungsfrage des Verbrechensubjekts vom Standpunkt des Strafrechts aus uber Transhuman sowie Posthuman und Android(der Roboter)

                                 

  • 저자명

    송승현 ( Song Seung Hyun )                                            

  • 학술지명

    홍익법학(The Law Reasearch institutute of Hongik Univ.)               

  • 권호사항

    Vol.17 No.3 [2016]                                                     

  • 발행처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The Law Research Institute)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75-527(53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현재 사회는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문명이 개발되면서 발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인공지능이다. 인공...
  • 현재 사회는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고, 이로 인해 다양한 문명이 개발되면서 발달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약인공지능과 강인공지능 그리고 초인 공지능이 그것이다. 여기서 현재는 자율주행자동차와 무인자동차 그리고 알파고 및 테이와 로스 등의 등장으로 약인공지능이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이제는 강인공지능에 대해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고, 여기서도 그 유형 중 강인공지능 로봇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과학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미래에는 골격과 근육을 갖춘 현존재의 인간이라는 생명체만이 살아가는 세상이 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서 강인공지능 로봇을 생명체로서의 인간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즉, 강인공지능 로봇으로 대표되는 것은 트랜스휴먼 및 포스트휴먼 그리고 안드로이드(로봇)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을 생명체로서의 인간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강인공지능 로봇은 그 두뇌의 인공신경망이 인간의 뇌의 뉴런[Neuron]의 연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이룬 모델로서 인간의 뇌에서 이루어지는 신경전달 시스템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들이 탄생을 하면 인간과 공존하면서 공생관 계를 이루며 살아가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법령 특히 형법의 적용에 있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삶을 공존하면서 살게 되면 반드시 범죄가 발생할 수밖에 없고, 현행 모든 법령은 그 주체가 현존재의 인간이기 때문이다. 이에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를 바탕으로 인간을 제외한 일반적인 동물(動物)과의 근본적인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살펴본 후 이를 통하여 강인공지능 로봇을 인간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08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1707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규정을 위한 법률안의 제안 / 윤혜란 2006  149
1706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 Specialist Palliative Care (SPC)가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주는 시사점 / 태윤희 2016  149
1705 9 보건의료 전문병원 홈페이지의 의료광고 콘텐츠 분석 / 정해린 2016  149
1704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9
1703 9 보건의료 민간보험 도입 후 개원의사들이 느끼는 진료환경의 변화/이성원 외 2015  149
1702 5 과학 기술 사회 [신기술 정보] 단순한 작업을 인간처럼 빠르게 배우는 인공지능 알고리즘/한만배 2016  149
170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황과 발전방향 : 국내 간이식을 중심으로 / 이승규 1996  149
1700 9 보건의료 의료기관 홈페이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 박경라 2013  149
1699 14 재생산 기술 이중결과론은 남은 배아연구를 정당화할 수 있는가 / 이향연 2019  148
1698 22 동물복지 동물복지 인증 제품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윤지영 김가람 정순희 2018  148
1697 9 보건의료 최근 사례를 통해 본 (시술관련) 의료관련감염 / 이재갑 2018  148
1696 18 인체실험 개발국가의 해외이주 정책과 젠더 / 황정미 2018  148
1695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현두륜 2017  148
1694 1 윤리학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시민권의 이론적 적용 가능성 고찰 / 신유리 외 2017  148
1693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48
1692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48
1691 9 보건의료 병원 내 간호사의 조제 보조행위와 약사법 개정 방향 / 현두륜 2015  148
1690 18 인체실험 세계 각국의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분석 및 이용 연구 현황 / 정주원 외 2012  148
1689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노쇠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적정의료에 대한 연구 / 김도경 2013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