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167365 
인공지능(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
= Who is the copyright owner of Artificial Intelligence-generated works?

                                     

  • 저자명

    이상미 ( Lee Sang Mi )                                             

  • 학술지명

    과학기술법연구               

  • 권호사항

    Vol.22 No.3 [2016]                                                           

  • 발행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41-294(5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2016년, 전 세계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연구로 들썩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예술분야로도 이어져 국내외로 연일AI로 작성한 창작물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그 완성도 또...
  • 2016년, 전 세계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연구로 들썩이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예술분야로도 이어져 국내외로 연일AI로 작성한 창작물들이 발표되고 있으며, 그 완성도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 AI 창작물의 주된 논의는 기계의 결과물이 ‘인간의 사상과 감정이 표현된 창작물이라는 저작물의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가`로 맞춰지고 있다. 그러나 기계를 도구로 활용한 창작의 역사로 보건대 현재수준의 AI는 새로운 창작의 도구에 불과하며 AI 창작물도저작물이 될 수 있다. 문제는 AI 프로그램이 점점 더 정교해져 감에 따라 창작에 대한 컴퓨터의 기여도는 커지고 뚜렷해진 반면 인간의 기여도는 낮아지고 있어, 당해 창작물에 ‘누구의 사상과 감정이 표현 된 것인가`를 판단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창작 AI가 상용화됨에 따라 필요한 논의는 ‘AI 창작물의 저작권자는 누구인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저작권을 누구에게, 어떻게 귀속시킬것인가에 대한 몇 가지 대안을 검토하고 그 장단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저작권자를 규명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가상의 인간저자 이론(Fictional Human Author Theory)`을 소개하면서 이 이론에 근거한 단계별 접근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70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과 환자 자기결정권에 대한 가정전문간호사의 태도와 인식 / 권예옥, 안성희 2013  286
1707 8 환자 의사 관계 정형외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경향 파악과 원인 분석 / 이원 2013  286
1706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법 개정의 의의와 법적 쟁점/김현철, 윤이레 2015  286
17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정순태 2016  286
1704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86
1703 9 보건의료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 연구 / 조일영 외 2010  286
1702 2 생명윤리 생명윤리의 실천 방안 연구 : 중학교 도덕교과를 중심으로 / 고경수 2007  287
1701 2 생명윤리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 강영희, 이상미, 권광일, 김은영, 허우성 2014  287
170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7
1699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7
1698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1697 5 과학 기술 사회 AI는 왜 여성의 목소리인가? - 음성인식장치 테크놀로지와 젠더화된 목소리 / 이희은 2018  287
1696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88
1695 15 유전학 Tert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의 생산 / 이지현 2014  288
169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2017  288
1693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169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9
1691 5 과학 기술 사회 DNA신원확인정보 채취·이용의 헌법적 문제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 제1항의 신뢰보호원칙 위반여부를 중심으로 / 조하늬 2015  289
1690 1 윤리학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이정현 2018  289
1689 22 동물복지 뉴질랜드 동물복지법과 대형유인원 프로젝트 : 대형유인원의 법적 지위와 문제점 / 유선봉 2011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