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422612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H. Dreyfus와 H. Collins의 인공지능 논쟁을 중심으로 = What computers can do: a view from sociology of knowledge : in the middle of the debate on artificial intelligence between H. Dreyfus and H. Collins

                

  • 저자

    권기석                                       

  • 형태사항

    69p.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67-6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대학원 : 사회학과 2001. 2

  • KDC

    331.09 4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0

  • 주제어

    컴퓨터, 지식사회, 인공지능, H. Dreyfus, H. Collins


초록 (Abstract)

  •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 즉 인공지능을 만들려는 노력은 20세기의 중반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어왔으나 아직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지식사회학적 관점의 일각에서, 현재의 컴...
  • 인간처럼 생각하는 기계, 즉 인공지능을 만들려는 노력은 20세기의 중반부터 현재까지 계속되어왔으나 아직 완전한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지식사회학적 관점의 일각에서, 현재의 컴퓨터 모델이 인간처럼 사고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것이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갖는 삶의 형식(form of life)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직 삶의 형식을 공유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의 성공적 지능 모방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지식과 행위가 실제로 컴퓨터에 의해 다루어지려면, 그것들은 형식화될 수 있어야 하고 체화될 수 있어야 한다. 즉, 실재(reality)로서의 지식과 행위의 역할이 컴퓨터의 지식 모방에 있어 삶의 형식의 역할 못지 않게 중요하다. 삶의 형식의 차원과 실재의 차원 모두 컴퓨터의 지식 모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하며, 이 둘을 분리시켜 사고하는 것은 지식의 본질에 대한 올바른 접근을 가로막는 방법론적 오류를 범하도록 만든다.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허버트 드레퓌스(Hubert Dreyfus)와 해리 콜린스(Harry Collins)의 주장은 비록 그것들이 인공지능에 대한 적절한 견해들을 상당 부분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실재의 차원과 삶의 형식의 차원을 분리시켜 사고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둘의 주장을 모두 비판하고 종합하여 인공지능 연구를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지식과 행위에 대한 전제를 제공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ABSTRACT = ⅲ
  • 국문초록 = ⅳ
  • 1. 서론 = 1
  • 2.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 4
  • 2.1 인공지능의 정의 = 4
  • 2.2 인공지능 연구의 역사 = 5
  • 3. ‘컴퓨터가 할 수 없는 것’-하버드 드레퓌스의 현상학적 인공지능 비판 = 8
  • 3.1 인공지능에 대한 철학적 접근들 = 8
  • 3.2 드레퓌스의 현상학적 인공지능 비판 = 9
  • 4.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드레퓌스와 콜린스의 논쟁 = 15
  • 4.1 컴퓨터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16
  • 4.1.1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드레퓌스의 견해 = 16
  • 4.1.2 하나의 인지 세계 대(對) 두 개의 인지 세계 = 18
  • 4.1.3 개념적 세계에서의 협상-오일러 정리의 사례 = 20
  • 4.1.4 콜린스의 ‘열린’ 지식 분류 = 24
  • 4.1.5 콜린스의 경험 연구-TEQ 레이저 실험에서 지식의 변형 = 26
  • 4.1.6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콜린스의 견해 = 28
  • 4.2 컴퓨터는 ‘어떻게’ 할 수 있는가-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문제 = 30
  • 4.2.1 상호작용 문제에 대한 드레퓌스와 콜린스의 대립 = 30
  • 4.2.2 계산 영역에서의 상호작용 = 32
  • 4.2.3 우선성(priority) 논쟁-삶의 형식 대(對) 영역의 형식화 = 36
  • 4.3 컴퓨터가 ‘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체화와 삶의 형식의 문제 = 40
  • 4.3.1 레넛(D.Lenat)의 문제와 드레퓌스의 대답 = 40
  • 4.3.2 드레퓌스의 체화(embodiment)와 콜린스의 삶의 형식(form of life) = 42
  • 4.3.3 체화와 삶의 형식의 분리불가능성 = 45
  • 5.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에의 적용 = 48
  • 5.1 전문가 시스템 = 48
  • 5.2 드레퓌스의 전문가 시스템 비판 = 50
  • 5.3 전문가 시스템에 대한 콜린스의 견해 = 52
  • 5.4 전문가 시스템에 대한 드레퓌스와 콜린스의 대립 = 54
  • 5.5 전문가 시스템이 할 수 있는 것 = 62
  • 6. 결론 = 64
  • 참고문헌 =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35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법정대리인 제도의 적용 / 이효진 2014  390
352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확보해야 하는 동의의 수준에 따른 동의 획득 절차의 구분 / 배현아 2011  390
3526 18 인체실험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와 연구윤리 / 김종빈 2014  390
3525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표적지향성 유전자치료제 개발 / 윤채옥 2008  389
» 5 과학 기술 사회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 권기석 2000  389
3523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논란을 통해서 본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 이상선 2014  389
3522 18 인체실험 신약개발과 임상시험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품청의 규제 법령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0  389
3521 18 인체실험 웹 기반의 E-IRB를 활용한 IRB 행정업무 지원시스템 프레임워크 제시 / 황성진, 김한웅, 박범 2013  389
3520 12 낙태 피임과 낙태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8  388
3519 5 과학 기술 사회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웨어러블 아트의 발전 가능성 연구 / 김계옥 2017  388
3518 9 보건의료 독일 의료제도개혁에 관한 소고 / 백승흠 2017  388
3517 5 과학 기술 사회 게놈-지놈 논쟁으로 본 생명과학 용어 연구 : 생명과학 용어 표준화 과정에서 생명과학자의 위상변화를 중심으로 / 김민정 2012  387
351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관한 저작권법적 쟁점 연구 / 유민지 2017  387
3515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후 쌍태 임신의 결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철홍, 이여길 2000  387
3514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의 윤리성에 대한 태도연구 : Q방법론적 접근 / 조민정 1998  387
351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 관한 형사정책적 연구 / 윤영수 2002  387
351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 이경은 2017  386
3511 12 낙태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 -"낙태죄 합헌결정"(헌법재판소 2 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 / 이연우 2015  386
3510 12 낙태 낙태죄의 역사 / 최규진 2018  385
3509 1 윤리학 사생활의 비밀의 절차적 보호규범으로서의 개인정보보호법리 : 개인정보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의 해석 및 적용의 헌법적 한계 / 박경신 2011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