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31103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bovine transgenic cloned embryo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이용한 소 형질전환 복제배아의 생산에 관한 연구


http://www.riss.kr/link?id=T9311039 

         

  • 저자

    Bhuiyan, Mohammad Musharraf Uddin                                       

  • 형태사항

    xv, 205p. : ill. (some col.) ; 26 cm.

  • 일반주기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 학위논문사항

    Thesis(doctoral)--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의학과 수의산과·생물공학 전공 2004

  • KDC

    528 4

  • DDC

    636.089 20

  • 언어

    영어

  • 출판년

    2004


초록 (Abstract)

  •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사용한 형질전환 복제 동물의 생산은 농업, 생명 공학 및 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형질전환 복제 소의 배아 발달율을 증가 시킴에 있다...
  • 체세포 핵이식 기법을 사용한 형질전환 복제 동물의 생산은 농업, 생명 공학 및 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형질전환 복제 소의 배아 발달율을 증가 시킴에 있다. Chapter I에서는 일반 섬유아세포를 사용한 복제 소 배반포 형성율(22.1%)이 사람의 prourokinase (ProU) 유전자를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marker와 함께 도입시킨 귀 섬유아세포를 사용한 복제 소 배반포 형성율(10.3%) 보다 복제 효율이 높았다. 그러나 형질전환 된 섬유아세포의 낮은 계대 (3-7)와 높은 계대 (8-12)의 복제 효율(10.3 ㅍvs. 11.3%)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apter II에서는, GFP 유전자와 a1-antitrypsin (a1AT) 유전자를 도입시킨 형질전환 난구세포는 일반 난구세포와 복제 효율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BSA를 첨가한 modified synthetic oviductal fluid (mSOF)와 potassium simplex optimization medium (KSOM) 의 다른 배양 배지에서도 복제 소 배반포 형성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BSA와 FBS(33.3 to 38.5%)를 첨가한 KSOM 배지에서의 일반 복제 배반포 형성율은 PVA를 넣은 KSOM(20.5%)보다 높은 효율을 보였으나, 형질전환 복제 배반포의 형성율은 BSA, FBS 및 PVA 첨가한 KSOM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apter III에서는 일반 태아 섬유아세포와 prion protein (PrP) mutant 유전자를 도입한 형질전환 태아 섬유아세포를 각각 metaphase II와 telophase II 수핵난제에 융합을 시켜 복제 효율을 관찰하였다. 또한 각각 동결·융해시킨 경우와 배양을 시킨 PrP-GFP와 PrP-Ab (항생제 저항 marker)를 도입한 섬유아세포를 metaphase II 탈핵난자에 융합을 시켰으나, 동결·융해시킨 실험군과 비동결 실험군의 경우 복제 배반포 형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항생제로 유전자 도입을 선별한 PrP-Ab 실험군은 PrP-GFP 실험군보다 높은 (19.9 to 24.8% vs. 7.6 to 10.8%; P<0.05) 배반포 형성율을 보였다. PrP-Ab를 도입시킨 태아 섬유아세포를 사용한 복제란은 BSA를 첨가한 경우(34.8%) 가 PVA를 첨가한 KSOM 배지의 경우(20.0%) 보다 배반포 형성율이 높았다. GFP발현은 융합난자에서부터 배반포까지 관찰?으며 배반포에서는 79% (27/34)를 보였지만 그중 11% (3/27) mosaic expression 양상을 띄었다. Chapter IV에서는, 1.5 mM fructose을 0.2 mM glucose존재 하에 첨가한 결과 PrP-GFP 복제란의 배반포 형성율을 증가(10.0 vs. 19.2%)시켰다. 또한 ProU-GFP를 도입한 12계대 이상의 높은 계대수와 복제란의 배반포 형성율는 관계가 없지만, ProU-GFP 형질전환 자체는 형질전환 복제란의 체외 배양율을 저해한다. 또한 mSOF과 KSOM는 형질전환 복제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KSOM배지에 단백질 첨가 결과는 α1AT 형질전환 복제란과 일반 복제란에서 다른 양상을 보인다. Metaphase II와 telophase II 수핵난자, 동결·융해된 공여세포등은 형질전환 복제란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항생제 marker는 GFP marker보다 복제 효율을 증가시켰다. 혈청이 없는 KSOM배지에 단백질의 첨가와 fructose의 첨가는 PrP gene knock-out (with antibiotic resistance marker gene)과 PrP gene mutant (with GFP marker gene)를 도입한 세포의 복제 효율을 증가시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4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및 딥러닝 국방감시체계 적용방안 검토 / 안정철, 권혁진 2016  169
1947 19 장기 조직 이식 Children Organ Donation, Family Autonomy, and Intimate Attachments 2004  169
1946 12 낙태 우리 법의 낙태 규정에 대한 윤리적 검토와 제안 / 유호종, 이경환 2001  169
1945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 연구 / 이진영 2009  169
1944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2019  168
1943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홍석영 2018  168
1942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1941 15 유전학 뇌졸중에 대한 유전자 치료 연구 현황/이민형 2015  168
1940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8
1939 18 인체실험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의 임상시험 현황 / 조명수 외 2014  168
1938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1937 15 유전학 유전자연구에 있어서 제기되는 관련 당사자의 기본권 / 김수갑 2011  168
1936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조직에 대한 관리 및 법제도 현황 / 조준현 2015  168
1935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7
1934 9 보건의료 환자 돌봄 의사소통 측정 도구 개발 / 허명륜, 임숙빈 2019  167
193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정보보안정책준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유록 2019  167
1932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 분야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조태현 외 2018  167
1931 9 보건의료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2017  167
193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치료에 관한 공법적 연구/임단비 2017  167
1929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