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120048 
  • 난포의 크기와 난황의 첨가가 초자화동결소 미성숙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 http://www.riss.kr/link?id=T8120048           


    • 기타서명

      Effect of follicle size and egg yolk on viablity of vitrified bovine immature oocytes

    • 저자

      연승은                                       

    • 형태사항

      iv, 36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碩士)-- 中央大學校 大學院 : 畜産學科 家畜繁殖育種學專攻 2001. 8

    • DDC

      01-96048 21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1


  •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미성숙 소 난포란의 초자화동결법에서 채란난포의 크기(직경 <3mm와 ≥3mm)와 동결보호제(ethylene glycol, ES 30%와 40%; 난황, EY 0과 10%)의 농도가 동결-융해 후 미성숙 난포란의 생존성...
    • 본 연구는 미성숙 소 난포란의 초자화동결법에서 채란난포의 크기(직경 <3mm와 ≥3mm)와 동결보호제(ethylene glycol, ES 30%와 40%; 난황, EY 0과 10%)의 농도가 동결-융해 후 미성숙 난포란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생존성은 동결-융해 후 난자의 형태검사와 체외성숙율 및 체외수정율로서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mm미만의 난포란에서는 동결-융해 후 정상 형태의 생존 난자가 EG30%+EY10%에서 66.2%, EG40%에서는 난황첨가 유무와 관계없이 50.0%~65.2% 범위였으며 FDA염색에 의한 생존율은 EG40%+EY10%에서 65.5%로 가장 높았으며 EG30% 난황 무첨가구(37.3%)에서 가장 낮았다(P<0.05).
      2. 3mm이상의 난포란은 동결-융해 후 정상형태의 생존 난자가 처리구간에 큰 차이 없이 57.5~67.5%였으며 FDA염색 결과 EG30%에서는 EY첨가 효과가 없었으나 EG40%에서는 EY 무첨가보다 10%첨가시 생존율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42.9% 56.6%).
      3. 3mm미만 난포란의 융해 후 체외성숙율은 21.4~27.6%로서 비동결 난자의 58.3%보다 월등히 낮았으며(P<0.05) EG과 EY의 첨가수준간에 체외성숙율에 대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4. 3mm이상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EG40%+EY10%에서 54.4%로서 다른 첨가구보다 월등히 높았으나 비동결 난포란의 80.3%보다는 현저히 낮았다(P<0.05).
      5. 3mm미만 난포란의 융해 후 체외수정율은 11.1~20.3%로서 EG와 EY 첨가 수준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두 비동결 난포란의 56.7%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6. 3mm이상 난포란의 융해 후 체외수정율은 EG40%+EY10% 처리구에서 39.7%로서 다른 처리구보다 월등히 높았다(P<0.05). 그러나 비동결 난포란의 77.5%보다는 현저히 낮았다.
      결론적으로 미성숙 난포란의 동결-융해 후 생존성은 채란난포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동결보호제(EG)에 10%난황첨가로 생존성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동결난자의 체외성숙율과 체외수정율에 있어서는 3mm미만 난포란의 경우 난황첨가 효과가 없었으나 3mm이상 난포란에서는 EG40%+EY10%에서 가장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Ⅱ. 연구사 3
    • Ⅲ. 재료및방법 8
    • 1.미성숙 소 난포란의 채란 8
    • 2.미성숙 소 난포란의 동결보존 및 융해. 8
    • 1) 동결보존액 및 융해액의 제조 8
    • 2) 난황액의 제조 8
    • 3) 동결보존액의 첨가 및 동결 9
    • 4) 동결 난자의 융해 9
    • 3. 체외성숙 배지의 제조 및 체외성숙 9
    • 4. 동결-융해 난포란의 생존성 판정. 10
    • 1) 형태학적 판정 10
    • 2) FDA test 10
    • 5. 동결-융해 난포란의 성숙율 판정 11
    • 6. 동결-융해 난포란의 체외수정 11
    • 7. 체외수정 여부의 판정 11
    • 8.통계처리 방법 12
    • Ⅳ 결과 및 고찰 13
    • 1. 난포 크기, 동결보호제 농도 및 난황 첨가에 따른 동결 난포란의 생존성 13
    • 2. 난포 크기, 동결보호제 농도 및 난황 첨가에 따른 동결 난포란의 체외성숙율 17
    • 3. 난포 크기, 동결보호제 농도 및 난황 첨가에 따른 동결 난포란의 체외수정율 21
    • Ⅴ. 적요 25
    • Ⅵ. 인용문헌 27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448 15 유전학 새로운 유전체 편집용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CRISPR/Cas9 system) / 권순일 2015  370
    3447 14 재생산 기술 정자 기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대한 난임 부부 인식조사 / 김인화 외 2017  370
    344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제도의 법적 문제 / 박동진 2005  370
    3445 9 보건의료 메르스관련 정부 위험소통의 한계에 대한 사회적 원인 분석 / 김은성 2015  370
    344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프랑스의 입법 동향 / 이지은 2015  370
    3443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 일부 병원에서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 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 권복규 외 8인 2010  370
    3442 18 인체실험 말기 암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과 피험자의 자기결정권의 본질 / 송영민 2014  370
    3441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연명치료 중단관련 특성과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노인환자의 태도 / 정승윤 2014  370
    3440 9 보건의료 의약품 사용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한 고찰 / 허정선 2009  369
    3439 15 유전학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 김한나 외 2016  369
    3438 19 장기 조직 이식 의료용 생체재료 및 응용 : 생체재료를 이용한 줄기세포의 운명 조절기술 / 이은경 2015  369
    343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에 대한 IRB 위원과 임상연구자의 인식도 조사 / 김지선 2006  369
    3436 4 보건의료 철학 병원환경에서 의료종사자의 건강신념이 대응성과 병원의 예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건강가치성을 매개로 / 장국현 2017  368
    3435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형 원격의료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한나 2017  368
    3434 15 유전학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 김성은 2016  368
    3433 13 인구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따른 교육과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 김주미 2007  367
    3432 9 보건의료 세균, 바이러스 및 곰팡이에 대한 병원체 관련 수의학 용어의 우리말 표준화 / 류재면 외 2014  367
    343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이 책임과 권한의 주체일 수 있는가/고인석 2012  367
    3430 20 죽음과 죽어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 / 강경아 황애란 2012  366
    3429 9 보건의료 한국 치매 작업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 한대성 외 2018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