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91343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by Korean Life Scientists


http://www.riss.kr/link?id=T11491343

        

  • 저자

    서은주                                       

  • 형태사항

    vii, 92장;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전방욱
    부록주기: 권말부록: 생명과학 연구 시 데이터 처리와 논문 출판의 윤리의식 조사
    참고문헌: 장 81-8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2008. 8

  • KDC

    470 4

  • 발행국

    강원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초록 (Abstract)

  • 최근 몇 년간 연구부정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이런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들이 바람직한 연구수행을 위한 확...
  • 최근 몇 년간 연구부정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이런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들이 바람직한 연구수행을 위한 확고한 인식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더불어 윤리적이고 그렇지 않은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동시에 알 수있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연구 수행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통해 응답 결과를 주제별?연구자 특성별로 분석 평가하여, 생명과학자들의 연구 윤리 의식을 사정하는의의를 가진다. 궁극적으로는 과학연구윤리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여 우리나라연구 환경에 맞는 바람직한 연구윤리 교육의 방향을 확립하고, 생명과학자들이 충실하고 진실 된 연구 수행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많은 윤리적 갈등을 느낄 수 있는부분 중에서 ‘데이터 처리’와 ‘논문 출판’ 두 가지 주제를 선택하였고, 이와 관련한세부 문항들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생명과학 관련 학회 중에서 규모가 크고 회원이 다양한 한국 분자세포생물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2007년 9월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424명의 응답을 얻었다. 주제별로 묶은 세부 문항 간 인식 정도를 비교하여 연구윤리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부분을 발견하고 연령, 학위, 종사기간, 지위등 응답자가 지닌 특성에 따른 윤리의식의 차이를 비교하여 대상에 따라 효율적인 교육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 1. 연구배경 = 1
  • 2. 연구목적 = 3
  • 3. 과학 연구윤리 = 3
  • 가. 연구윤리의 개요 = 3
  • 나. 과학연구자와 연구윤리 = 3
  • 다. 과학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 = 4
  • 4. 바람직한 연구윤리 = 5
  • 가. 데이터 처리 = 6
  • 나. 논문 출판 = 12
  • 다. 윤리적 연구수행 원칙 = 18
  •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 19
  • 1. 연구대상 = 19
  • 2. 연구 절차 = 19
  • 3. 분석 방법 = 20
  • 4. 측정도구 = 20
  • Ⅲ. 연구 결과 = 21
  • 1. 주제별 분석 = 22
  • 2. 연구자 특성별 분석 = 36
  • Ⅳ. 고찰 및 결론 = 71
  • 1. 주제별 분석을 기초로 한 연구윤리교육의 방향 = 71
  • 2. 연구자 특성별 분석을 기초로 한 연구윤리교육의 방향 = 73
  • 3. 논의 및 맺음말 = 79
  • 참고문헌 = 81
  • 국문초록 = 84
  • 부 록 = 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53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20
4666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1
4665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50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22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30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786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63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95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60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6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1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8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2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899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50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6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