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91343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by Korean Life Scientists


http://www.riss.kr/link?id=T11491343

        

  • 저자

    서은주                                       

  • 형태사항

    vii, 92장;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전방욱
    부록주기: 권말부록: 생명과학 연구 시 데이터 처리와 논문 출판의 윤리의식 조사
    참고문헌: 장 81-8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2008. 8

  • KDC

    470 4

  • 발행국

    강원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초록 (Abstract)

  • 최근 몇 년간 연구부정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이런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들이 바람직한 연구수행을 위한 확...
  • 최근 몇 년간 연구부정행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는데, 이런 비윤리적인 행위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연구자들이 바람직한 연구수행을 위한 확고한 인식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더불어 윤리적이고 그렇지 않은 것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동시에 알 수있다. 본 연구는 바람직한 연구 수행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통해 응답 결과를 주제별?연구자 특성별로 분석 평가하여, 생명과학자들의 연구 윤리 의식을 사정하는의의를 가진다. 궁극적으로는 과학연구윤리교육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여 우리나라연구 환경에 맞는 바람직한 연구윤리 교육의 방향을 확립하고, 생명과학자들이 충실하고 진실 된 연구 수행을 돕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자들이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많은 윤리적 갈등을 느낄 수 있는부분 중에서 ‘데이터 처리’와 ‘논문 출판’ 두 가지 주제를 선택하였고, 이와 관련한세부 문항들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생명과학 관련 학회 중에서 규모가 크고 회원이 다양한 한국 분자세포생물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2007년 9월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424명의 응답을 얻었다. 주제별로 묶은 세부 문항 간 인식 정도를 비교하여 연구윤리 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부분을 발견하고 연령, 학위, 종사기간, 지위등 응답자가 지닌 특성에 따른 윤리의식의 차이를 비교하여 대상에 따라 효율적인 교육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1
  • 1. 연구배경 = 1
  • 2. 연구목적 = 3
  • 3. 과학 연구윤리 = 3
  • 가. 연구윤리의 개요 = 3
  • 나. 과학연구자와 연구윤리 = 3
  • 다. 과학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 = 4
  • 4. 바람직한 연구윤리 = 5
  • 가. 데이터 처리 = 6
  • 나. 논문 출판 = 12
  • 다. 윤리적 연구수행 원칙 = 18
  •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 19
  • 1. 연구대상 = 19
  • 2. 연구 절차 = 19
  • 3. 분석 방법 = 20
  • 4. 측정도구 = 20
  • Ⅲ. 연구 결과 = 21
  • 1. 주제별 분석 = 22
  • 2. 연구자 특성별 분석 = 36
  • Ⅳ. 고찰 및 결론 = 71
  • 1. 주제별 분석을 기초로 한 연구윤리교육의 방향 = 71
  • 2. 연구자 특성별 분석을 기초로 한 연구윤리교육의 방향 = 73
  • 3. 논의 및 맺음말 = 79
  • 참고문헌 = 81
  • 국문초록 = 84
  • 부 록 = 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008 19 장기 조직 이식 이종이식연구를 위한 단일법 제정에 대한 검토 / 양지예 2010  294
3007 19 장기 조직 이식 법률상의 장기분배기준 등의 정의론적 분석 :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출범 전 후 비교를 중심으로 / 김소윤 2002  294
300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 판결 이후의 과제 / 박형욱 2012  294
3005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효력에 관한 소고 / 한삼인, 김상헌 2013  294
3004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죽음준비교육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장경희 2017  293
3003 9 보건의료 트랜스휴먼 사회에서 몸과 마음의 미래 / 진설아 외 2018  293
3002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의 제도분석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고현신 2001  293
3001 1 윤리학 공정거래법상 행정지도에 따른 부당한 공동행위에 대한 법적 검토 / 유성희 외 2016  293
3000 18 인체실험 GCP와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윤영란 외 2002  293
299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피험자 보호 증대방안에 대한 고찰 / 이미성 2011  293
2998 9 보건의료 혈액관리법상 ‘임의비급여 수혈’의 허용성 검토 / 김한가희 2013  292
299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일반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윤은자 외 2016  292
2996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김아진, 백진휘 2015  292
2995 2 생명윤리 [연구논단 1]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분석- 선언의 윤리적, 법적 의미 고찰 및 한국의 생명윤리 규정 검토/권오용 2007  292
2994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상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정문식 2007  292
299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가톨릭교회의 가정호스피스 현황과 활성화 방안 :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 장인우 2014  292
2992 5 과학 기술 사회 자율주행자동차의 손해배상주체와 입법방향에 관한 연구 / 백문흠 2019  291
299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 박중철 2017  291
2990 5 과학 기술 사회 DNA신원확인정보 채취·이용의 헌법적 문제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 제1항의 신뢰보호원칙 위반여부를 중심으로 / 조하늬 2015  291
2989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성교육모델 / 이자연 2018  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