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86803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규정의 비교법적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Regulations for the Bioethics-Related Committee between Korea and Japan

            

http://www.riss.kr/link?id=A101986803  

  • 저자명

    류일현(Il-hyeon Ryou, 안영하(Young-Ha An), 오정균(Chung-Kyoon Auh), 우제창(Jechang Woo), 추정완(Jung-Wan Choo)                          

  • 학술지명

    法學硏究               

  • 권호사항

    Vol.47 No.- [2016]                   

  • 발행처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59-492(3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생명윤리와 관련한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양국 간의 관련 규정을 소개하고, 그 차이점을 통해 우리나라 생명윤리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생명윤리 관...
  • 본 연구는 생명윤리와 관련한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양국 간의 관련 규정을 소개하고, 그 차이점을 통해 우리나라 생명윤리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현행 규정과 그 체계라고 하는 제한된 범위에서 한국과 일본의 양국 사이의 규제방식과 그 내용을 확인하고 비교해 본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분야 전반에 대한 일반적인 법률에 의해 통일적으로 규제하느냐, 개별 문제에 대하여 개별 법률 혹은 행정부의 지침을 통해서 규제하느냐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지금껏 생명윤리와 관련한 외국의 법제를 검토함에 있어서 일본의 것을 자세하게 소개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것에는, 이와 같은 한일 양국에 있어서의 생명윤리 규제방식의 차이에 그 이유가 있었는지도 모른다.
    한일 양국 간의 규정을 소개하고 비교 · 검토하는 작업을 통하여, 국가(정부)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를 일반적으로 설정한 다음, 그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체적인 연구활동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규제방식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명과학 분야가 또 하나의 국가 경쟁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한편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분야라는 점에서 국가가 주도적으로 방향을 제시하고 한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기관 단위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운영을 통하여 교육 · 연구기관 및 병원이 주체적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활동 등을 추진하도록 한다는 국제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점 등에 비추어보아 현 시점에서는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발견되는데, 예를 들면, ① 국가단위 심의기구의 구성, ② 기관단위 심의기구(IRB)의 구성 및 심의방법 등에 관한 사항이다. 일본의 경우와 비교하자면, 한국은 국가단위 심의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정부 각료를 6명이나 당연히 포함시키는 점, 기관단위 심의기구(IRB)와 관련하여 그 구성에서 일반인의 입장을 반영할 수 있는 자를 포함시키지 않는다거나 심의방법에 있어서 ‘과반수 출석과 출석자 과반수 찬성’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점 등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우리와 다른 외국의 태도를 무조건 수용하자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우리가 생명윤리법에서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를 둔 제도적 취지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와는 다른 일본 측의 규정은 여러 가지로 의미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한일 양국에 있어서의 생명윤리관련 규제 방식
  • Ⅲ. 국가단위 심의기구에 관한 규정
  • Ⅳ. 기관단위 심의기구에 관한 규정
  • Ⅴ. 나가며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6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아기 시술시 미세조작에 의한 임신율의 증진에 관한 연구 / 노환철 1993  171
1967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1966 2 생명윤리 생명-중심적 상담에 대한 고찰(考察)/김태수 2016  171
1965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에서의 논증 이해와 그 적용/김진형 2010  171
»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규정의 비교법적 분석 / 류일현, 안영하, 오정균, 우제창, 추정완 2016  170
1963 1 윤리학 Hegel 『법철학』에서 복지와 선 / 박종성 2016  170
1962 23 연구윤리 우리나라 의학논문출판윤리에서 이해상충의 관리에 관한 고찰/박진선, 최병인 2015  170
1961 15 유전학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를 위한 나고야의정서와 국제통상법간의 충돌과 조화/최원목 2014  170
1960 7 의료사회학 의과대학 학생들의 생명과 죽음에 대한 은유적 표상 / 유효현 외 2019  169
1959 1 윤리학 사이버 페미니즘(다나 헤러웨이)과 에코 페미니즘(김선희)의 비교 분석 / 김영숙 2018  169
195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기술의 발전과 법적 대응방향 /박종보, 김휘홍 2017  169
195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경험 / 박정연 2017  169
1956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의사의 진료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강유평 2017  169
1955 9 보건의료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 정우진 외 2016  169
1954 5 과학 기술 사회 남자대학생의 젠더의식이 성희롱 인식과 성희롱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18  169
1953 4 보건의료 철학 응급구조학 전공 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 최길순 2017  169
1952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1951 20 죽음과 죽어감 환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연명의료결정법을 중심으로/조경혜 2017  169
1950 2 생명윤리 의학적 측면에서 본 인간생명 / 맹광호 1993  169
1949 9 보건의료 우리나라와 OECD의 의료자원 투입량의 비교를 통한 보험수가의 이론적 추정 / 오동일 2013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