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3085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s of the Advance Directive Education Program for Community Dwelling Elders

            

http://www.riss.kr/link?id=T14173085         

  • 저자

    강보람                                       

  • 형태사항

    iii, 72 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현미열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제주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6. 8

  • 발행국

    제주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n advance directive knowledge, advance directive efficacy, advance directive intention and good death concept after implementing the advance directive education program to elerly people. A non-equ...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n advance directive knowledge, advance directive efficacy, advance directive intention and good death concept after implementing the advance directive education program to elerly people.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tilized, an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healthy elders over 65 year-old at the J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9, 2015 to April 30, 2016. The advance directive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a researcher and verified content validity by nursing professors. The program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4 weeks by researcher and each session consisted of 60 minute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advance directive education program,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n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advance directive knowledge, advance directive efficacy, advance directive intention and good death concept.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의 가설 4
  • 4. 용어의 정의 5
  • Ⅱ. 연구 방법 8
  • 1. 연구 설계 8
  • 2. 연구 대상자 9
  • 3. 사전의료의향서 교육 프로그램 개발 9
  • 4. 실험처치 11
  • 5. 연구도구 15
  • 6. 연구 진행 및 자료수집 방법 16
  • 7. 자료 분석 18
  • 8. 연구의 윤리적 고려 19
  • Ⅲ. 연구 결과 20
  •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 20
  • 2. 사전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 20
  • 3. 가설검증 21
  • Ⅳ. 논의 25
  • Ⅴ. 결론 및 제언 30
  • 1. 결론 30
  • 2. 제언 31
  • 참고문헌 33
  • 영문초록 39
  • 부록 4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8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과 제4차 산업혁명의 함의 / 원동규, 이상필 2016  322
3187 14 재생산 기술 불임에 관한 국내 한의학 연구의 동향 분석 / 양인석 2013  322
3186 1 윤리학 생명윤리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소고 : 본회퍼의 『윤리학(Ethik)』을 중심으로 / 전은강 2016  322
318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
3184 9 보건의료 유교의 관점에서 본 노년의 사회적 의미와 양로의 정치학적 함의 / 홍성민 2014  322
318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실무상 감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 한 의료소송전문 법률사무소의 최근 10년간 사례를 중심으로 / 진수현 2008  322
3182 9 보건의료 병원 전 응급의료체계에서 의료지도와 무면허의료행위 / 배현아 2009  322
318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를 이용한 의료사고에 대한 원인분석 및 맵개발에 대한 연구 / 김선녀 2018  321
318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 논쟁 1998  321
3179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병동 말기 암 환자 및 내과의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인식 2009  321
3178 15 유전학 인간유전체 연구와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방안 / 정창록 2015  321
3177 9 보건의료 특별법상 허위.과장광고 및 표시에 관한 형사처벌 조항에 대한 검토 -보건의료 및 생명공학분야를 중심으로- /심영주 2014  321
3176 20 죽음과 죽어감 사회복지사의 임종케어 제공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중심으로/권성애, 박용순, 석말숙 2015  321
3175 15 유전학 공공정보의 이차 활용을 위한 법제도에 관한 연구 : 생체 의료정보의 이차 활용을 중심으로/ 박미정 2015  321
3174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 이진아 2008  321
3173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위기개입모델 다층효과 연구 : 자살생각·우울을 중심으로 / 김은주 , 육성필 2017  320
3172 14 재생산 기술 인공임신을 통한 대리모계약의 유효론과 제반쟁점 / 윤석찬 2017  320
3171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를 시행한 유방암 환자들의 위험요인과 심리적 상태에 관한 연구/안용희, 서연옥 2006  320
317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허용범위 제한에 관한 헌법적 검토 / 김현귀 2015  320
3169 23 연구윤리 연구논문 : 외과적 혁신의 윤리 쟁점과 윤리적 규제의 필요성 / 강명신, 박재현 2011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