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79097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http://www.riss.kr/link?id=T14179097          

  • 저자

    정순태                                       

  • 형태사항

    143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희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 노인의료복지학과 노인의료복지전공 2016. 8

  • 발행국

    경상북도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죽음의 의료화 현상으로 인한 말기 환자의 현실과 복지체계에 대한 사회적 규범으로 2016년 2월,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 죽음의 의료화 현상으로 인한 말기 환자의 현실과 복지체계에 대한 사회적 규범으로 2016년 2월,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 연구는 법의 시행을 앞둔 시점에서 법의 표현의 명확성과 적합성, 법의 실행에 있어서 현실성과 규범성, 법률의 실제적 유효성에 대한 검토와 활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기 위해 시도 되었다. 먼저 법률 조항과 용어를 문언적 관점에서 검토하여 하였을 때, 제명과 목적 그 외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한 용어가 있어서 수정 개선하여 사용할 것일 제안하며 첫 번째 연구 목적을 달성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법의 합리성, 실용성과 규범의 적절성을 검토하였고, 다음과 같이 수정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Ⅱ. 이론적 배경 6
  • 1. 연명의료결정관련 용어의 개념 6
  • 2. 연명의료결정제도 9
  • Ⅲ. 연명의료결정 제도화 과정과 현황 19
  • 1. 연명의료결정 제도화 과정 19
  • 1) 이슈화의 계기 19
  • 2) 관련 단체 아젠다 형성 22
  • 3) 법률안 발의를 통한 대안 구체화 26
  • 4) 법률의 국회 통과로 정책 결정 28
  • 2. 연명의료결정제도의 현황 29
  • 1) 법률의 성격 및 의의 29
  • 2) 연명의료결정제도 현황 30
  • Ⅳ. 연명의료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6
  • 1. 개념서술의 적절성 확보 36
  • 1) 법률 제명의 명확화 37
  • 2) 법률의 목적 적정화 39
  • 3) 용어의 개념 재정립 46
  • 2. 제도의 현실성 개선 53
  • 1) 환자의 의사 확인 개선 54
  • 2)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효용성 재평가 63
  • 3) 연명의료중단의 이행 영역 확대 73
  • 4) 설립되는 기관의 효용성 제고 79
  • 3. 규범의 실효성 강화 84
  • 1) 연명의료결정과 호스피스의 연계 강화 84
  • 2) 의료진의 설명의무 강화 85
  • 3) 손실 금지 조항의 실효성 확보 88
  • 4) 벌칙의 개선 89
  • Ⅴ. 연명의료결정제도의 활용성 제고 방안 91
  • 1. 웰다잉 운동 지속적 전개 91
  • 1) 죽음교육 강화로 죽음인식 개선 92
  • 2) 좋은 죽음의 개념 확립 93
  • 3) 죽음 준비의 실천 96
  • 4) 웰다잉 주간 시행 96
  • 2. 제도상 미비점 보완 97
  • 1) 제도의 실행 준비와 검토 97
  • 2) 연명의료의 결정 안내 의무화 98
  • 3) 사전 돌봄 계획 제도 도입 99
  • 4) 임종기 의료처치 기준 제시 101
  • 3. 생애말기 돌봄 체계 개선 105
  • 1) 호스피스 전달 체계 구축 106
  • 2) 재택 돌봄 장려 107
  • 3) 재택 임종 지원 108
  • 4) 요양병원의 호스피스 역할 강화 109
  • 5) 통합노인요양시설 제도 도입 110
  • 4. 국가 지원 강화 111
  • 1) 정부의 관리체계 개선 111
  • 2) 의료비 국가지원 111
  • 3) 호스피스 국민건강보험 적용 확대 112
  • 4) 죽음의 질 개선을 위한 사업 지원 112
  • Ⅵ. 결론 114
  • 참고문헌 118
  • 국문초록 132
  • Abstract 13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88 9 보건의료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ICT 활용 의료서비스 제공의 경제성 연구/최솔지 2018  290
2987 4 보건의료 철학 덕 윤리와 의학전문직업성의 관련성 / 김수정 2011  290
2986 5 과학 기술 사회 DNA신원확인정보 채취·이용의 헌법적 문제 :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 제1항의 신뢰보호원칙 위반여부를 중심으로 / 조하늬 2015  290
2985 9 보건의료 의약품 디자인 분쟁사례를 통한 시사점 도출 및 보호방안 연구 / 박해림 2017  290
2984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 대한 치위생사의 인식도와 관련요인 / 장나희 2013  290
2983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2013  290
298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한 설득기법의 적용 / 차동필 2011  290
2981 8 환자 의사 관계 외래환자와 의료진의 공유의사결정과 의사소통에 대한 의료진의 인식 : 'S' 대학병원 일부 외래 의료진의 인식 / 김미선 2010  290
2980 15 유전학 생명공학 기술기반 효율적 세포 운명전환 유도에 관한 연구 / 유준상 2018  289
2979 22 동물복지 뉴질랜드 동물복지법과 대형유인원 프로젝트 : 대형유인원의 법적 지위와 문제점 / 유선봉 2011  289
2978 1 윤리학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이정현 2018  289
2977 1 윤리학 인공지능로봇을 위한 윤리 가이드라인 연구 - 인공지능로봇윤리의 4원칙을 중심으로 - / 변순용 2018  289
2976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정당화가능성과 방향 / 이주희 2012  289
2975 1 윤리학 생명윤리와 헌법의 상보성 : 뷰챔프와 칠드러스의 넓은 반성적 평형과 헌법적 “인간” 개념 중심으로 / 류재한 2014  289
297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교육을 통한 청소년 자살예방교육 -니체의 생사관을 중심으로- / 권미연 2017  288
2973 15 유전학 Tert 유전자 조작 마우스 모델의 생산 / 이지현 2014  288
2972 15 유전학 유전자재조합의약품 동등생물의약품의 품목별 비임상 및 임상 평가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 강소영 2013  288
2971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8
297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수혜자와 배우자에 대한 사례연구 / 이혜진 2001  288
2969 9 보건의료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 연구 / 조일영 외 2010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