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70732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link?id=T14070732  

        

  • 기타서명

    focused on Busan
    (A) study on Japanese medical terms :

  • 저자

    김정수                                       

  • 형태사항

    viii, 241 p. : 삽화, 표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이정숙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2016. 2

  • KDC

    734 326.39 5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초록 (Abstract)

  • 2009년 의료관광의 활성화와 더불어 의료와 관련된 일본어의 사용도 활발해졌다.관광 관련의 경우 관광 팸플릿에 대한 일본어역의 오용 및 한국 음식명에 관한 일본어의 바르지 않은 표기에 ...
  • 2009년 의료관광의 활성화와 더불어 의료와 관련된 일본어의 사용도 활발해졌다.관광 관련의 경우 관광 팸플릿에 대한 일본어역의 오용 및 한국 음식명에 관한 일본어의 바르지 않은 표기에 관한 지적 등은 여러 연구 논문에서 다루어진 것에 비해 의료에 관련된 일본어역 용어의 분석 작업은 이제 시작단계라 할 수 있다. 특히 인프라 구축이 서울・경기에 비해 늦은 부산의 경우 인프라 구축을 위해 지자체뿐 만 아니라 의료와 관련된 기관에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의료용어의 일본어역 표기의 실태 및 분석 작업을 통하여 오용의 원인을 파악해 보고 해결방안을 모색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의료관련 일본어 교재와 부산지역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 및 의료기관 일본어역 안내 팸플릿의 내용과 일본어 오용의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일관성 없이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어 및 표현의 오용을 살펴보고 일본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료용어와의 대조 및 용어의 사전적 의미파악을 통하여 올바른 용어의 사용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분석결과 의료관련 일본어 교재와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와 팸플릿에서 다양한 오용 용례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용례를 바탕으로 오용을 구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문제제기 1
  • 제2절 연구목적과 필요성 6
  • 제3절 연구방법 및 범위 7
  • 제2장 선행연구 9
  • 제1절 의료관광에 관한 선행연구 9
  • 1. 경영・관광 분야에서의 연구 9
  • 2. 보건・의료 분야에서의 연구 12
  • 제2절 일본어역 오류 및 오용에 관한 선행연구 15
  • 1. 관광지 관련 일본어역 오류 및 오용에 관한 연구 15
  • 2. 간판과 음식메뉴의 일본어역 오용 연구 17
  • 제3절 의료관련 일본어 오류에 관한 선행연구 21
  • 제4절 선행연구의 문제점 및 본 연구의 의의 23
  • 제3장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의 분석 24
  • 제1절 의료관련 일본어 교재 24
  • 1. 교재의 종류 분석 24
  • 2. 교재의 구성 분석 27
  • 2.1 교재의 구성내용 및 특징 28
  • 2.2 교재의 진료과별 구성 34
  • 2.3 교재의 상황별 구성 38
  • 3. 교재의 내용 분석 41
  • 3.1 교재의 진료과별 수록내용 41
  • 3.2 교재의 상황별 수록내용 50
  • 3.3 교재의 내용 분석 53
  • 4. 교재의 용어 분석 57
  • 4.1 진료과별 용어 수 57
  • 4.2 용어 표기 용례 58
  • 1) 일본어의 한국어역 표기가 동일하지 않은 것 59
  • 2) 한국어의 일본어역 표기가 동일하지 않은 것 63
  • 제2절 외국인환자 유치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 71
  • 1. 외국인환자 유치 의료기관의 정의 71
  • 1.1 외국인환자 유치의료기관 수와 변동 추이 72
  • 1.2 진료과별 부산의 외국인환자 유치 의료기관 73
  • 2. 의료기관의 인터넷 홈페이지 종류 분석 75
  • 2.1 의료기관의 외국어역 홈페이지 75
  • 2.2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 79
  • 3.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 구성 분석 81
  • 3.1 홈페이지 구성 82
  • 3.2 홈페이지 구성 분석 84
  • 4.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 내용 분석 90
  • 4.1 진료과별 일본어역 홈페이지 내용 90
  • 4.2 일본어역 홈페이지 내용 분석 100
  • 5.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의 용어 분석 105
  • 5.1 진료과별 용어 수 105
  • 5.2 용어 표기 용례 106
  • 제3절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팸플릿 110
  • 1. 팸플릿의 종류 분석 111
  • 1.1 의료기관 자체 발간에 의한 것 112
  • 1.2 의료관련 유관기관 발간에 의한 것 117
  • 2. 팸플릿의 구성 분석 119
  • 2.1 의료기관 자체 발간에 의한 것 119
  • 2.2 의료관련 유관기관 발간에 의한 것 121
  • 3. 팸플릿의 내용 분석 124
  • 3.1 의료기관 자체 발간에 의한 것 124
  • 3.2 의료관련 유관기관 발간에 의한 것 125
  • 4. 팸플릿의 용어 분석 131
  • 4.1 진료과별 용어 수 131
  • 4.2 용어 표기 용례 133
  • 제4장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의 오용 분석 137
  • 제1절 의료관련 일본어 교재의 오용 분석 137
  • 1. 오용의 정의 137
  • 2. 단순 오용 139
  • 2.1 첨가 139
  • 2.2 누락 140
  • 2.3 표기 오용 140
  • 3. 한자 오용 141
  • 3.1 덧말 오용 141
  • 3.2 한자의 표기 오용 142
  • 4. 의료용어 오용 143
  • 4.1 유의어에 의한 오용 143
  • 4.2 표기의 오용 157
  • 5. 표현의 오용 166
  • 5.1 일본어 표현의 한국어역 표기 오용 167
  • 5.2 한국어 표현의 일본어역 표기 오용 168
  • 6. 어휘 오용 168
  • 6.1 동일한 한국어 표현에 대응하는 일본어 표현이 각각 다른 것 169
  • 6.2 동일한 일본어 표현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이 각각 다른 것 177
  • 제2절 의료기관의 일본어역 홈페이지의 오용 분석 189
  • 1. 단순 오용 189
  • 1.1 첨가 190
  • 1.2 누락 190
  • 1.3 표기 오용 192
  • 2. 한자의 오용 192
  • 2.1 한자표기 오용 192
  • 2.2 중국식 한자표기에 의한 오용 193
  • 3. 의료용어 오용 194
  • 3.1 한국식 표기에 의한 오용 195
  • 3.2 한국 고유진료 표기 오용 204
  • 4. 표현의 오용 207
  • 제3절 의료기관 일본어역 팸플릿의 오용 분석 210
  • 1. 단순 오용 210
  • 1.1 첨가 210
  • 1.2 누락 211
  • 1.3 표기 오용 211
  • 2. 한자의 표기 오용 214
  • 3. 의료용어 오용 215
  • 3.1 한국식 표기에 의한 오용 215
  • 3.2 한국 고유진료 표기 오용 217
  • 4. 표현의 오용 218
  • 4.1 일본어역에 한국식 표현을 사용한 것 219
  • 4.2 일본어역의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 220
  • 제5장 결 론 223
  • 참고문헌 228
  • Abstract 235
  • 부록 238
  • 부록 1 병원명에 따른 병원 표기 및 홈페이지 주소・검색일자 238
  • 부록 2 의료기관 일본어역 팸플릿의 종류와 표기 239
  • 부록 3 국가기관의 보고서 발행현황 24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248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기관윤리위원회 활성화 방안: 임상윤리자문팀 / 허대석 2017  200
2247 9 보건의료 신약 접근성 개선 정책이 등재율 및 등재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김은숙 2017  200
2246 5 과학 기술 사회 프라이버시 보호에 관한 법과 기술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이진태 2005  200
» 9 보건의료 의료관련 일본어 용어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김정수 2016  200
2244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활성화 방안 연구 / 주지은 2016  200
224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국내외의 입법의 규제동향 / 윤명석 2010  200
2242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0
2241 1 윤리학 과학기술시대에서 새로운 윤리학 근거짓기 / 이재성 2011  200
2240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 운영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최장섭 2014  200
2239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 상태와 사전의료지시에 관한 연구 / 편혜준 2012  200
2238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 트랜지션 의료의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소고 / 박한희 2018  199
2237 13 인구 초기 미국 영화로 보는 우생학과 산아제한운동 / 김효정 2018  199
2236 4 보건의료 철학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이슈 경험과 윤리교육 요구 / 신자현 2013  199
2235 14 재생산 기술 의학치료목적의 생명복제기술에 대한 특허법적 보호문제 / 윤석찬 2002  199
2234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보건의료정책 평가 / 백은혜 2017  199
2233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2232 9 보건의료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필요한 통계방법들에 대한 고찰 / 강승호 2012  199
2231 14 재생산 기술 난자 및 배아성숙이 시험관아기시술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 / 이여일 1997  199
2230 9 보건의료 한국형 체외진단제품 품목 및 등급분류 체계 제안 / 임영애 2012  199
2229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서 침의 중재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Pubmed를 중심으로 / 배경미 2009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