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375933 
인간복제에 관한 윤리적 고찰 = An Ethical Study on Human Cloning

            

  http://www.riss.kr/link?id=T11375933


  • 저자

    도봉희                                       

  • 형태사항

    iv, 70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상배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2008. 8

  • KDC

    374.19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초록 (Abstract)

  • 21세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다. 유전자 변형을 통해 새로운 농산물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농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생명복제기술의 발달에 따라 앞으로는...
  • 21세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고 부를 수 있다. 유전자 변형을 통해 새로운 농산물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농업에 큰 영향을 미쳤다. 생명복제기술의 발달에 따라 앞으로는 동물복제가 가능해져 멸종 위기의 동물과 고품질의 가축을 생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997년 영국, 로슬린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양의 복제를 성공시킨 이후,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인간개체복제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또한, 과학자들은 체세포 핵이식에 의해 복제된 인간배아로부터 배아줄기세포를 추출, 이를 이용한 맞춤형줄기세포치료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견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인간배아복제연구의 허용가능성 여부에 대해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생명복제의 현실과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을 통하여 생명공학이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생명윤리의 방향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복제 문제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모색하는 데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 4
  • 제2장 생명윤리이론 = 7
  • 제1절 생명윤리학의 개념 = 7
  • 제2절 생명윤리의 접근방식들 = 9
  • 1. 목적론적 윤리(teleological ethics) = 9
  • 2. 의무론적 윤리(deontological ethics) = 11
  • 제3절 생명윤리의 원칙 = 13
  • 제3장 인간개체복제의 윤리적 고찰 = 16
  • 제1절 인간개체복제의 목적과 그에 대한 비판 = 16
  • 제2절 인간개체복제의 부당성 = 27
  • 제4장 인간배아복제의 윤리적 고찰 = 38
  • 제1절 인간배아복제의 목적과 그에 대한 비판 = 38
  • 제2절 인간배아복제의 부당성 = 44
  • 제3절 인간배아복제연구의 필요성에 따른 대안 : 성체줄기세포연구 = 53
  • 제5장 맺음말 = 60
  • 참고문헌 = 66
  • Abstract = 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0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4507 9 보건의료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차성민 2018  51
4506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4505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
45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 최명주 2008  52
450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 심형화 2011  52
4502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2017  52
4501 14 재생산 기술 불임 남성 배우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경험 / 이윤정 2004  52
4500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2018  52
449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4498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449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2018  52
4496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2018  52
449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2017  52
4494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2017  52
449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2013  52
4492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2016  52
4491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4490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2014  53
4489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