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158254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thics of Humans Cloning



http://www.riss.kr/link?id=T9158254 

  • 저자

    박인숙                                       

  • 형태사항

    iii, 56p.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52-5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전공 2001. 8

  • KDC

    190 4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1


초록 (Abstract)

  • 인간복제는 21세기의 가장 큰 관심사이다. 인간복제는 절망에 빠진 불임 부부들에게 희망의 빛을 던져줄 수 있고, 이식용 장기의 대량 생산 및 난치병을 해결할 수 있다는데 그 유용성이 제...
  • 인간복제는 21세기의 가장 큰 관심사이다. 인간복제는 절망에 빠진 불임 부부들에게 희망의 빛을 던져줄 수 있고, 이식용 장기의 대량 생산 및 난치병을 해결할 수 있다는데 그 유용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용성을 지닌 인간복제가 반드시 우리에게 장미빛 미래만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다. 인간복제는 기술상·윤리상 예측불가능한 사태진전에 따른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복제로 인한 인간 존엄성 침해, 복제인간의 자유 박탈, 부모-자식간의 관계 파괴의 문제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인간복제의 가능성에 대하여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그러나 한번 물꼬를 튼 인간복제가 없던 일로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게 관련자들의 공통된 견해다. 과학자들은 영생에 대한 인간의 근원적인 욕망을 자극시키며 어떤 형태로든 인간복제에 대한 실험을 진행시켜 나갈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우리에겐 끝없는 찬반논쟁으로 인한 시간의 소모보다, 하나의 사실이 된 생명공학과 의학이 제기하는 윤리적 물음을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인간복제의 물음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다루어질 때, 제대로 된 윤리적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ⅲ
  • Ⅰ. 서론 = 1
  • Ⅱ. 생명복제의 역사와 유용성 = 3
  • 1. 생명복제의 역사 = 3
  • 2. 생명복제의 유용성 = 6
  • Ⅲ. 인간복제의 방법 = 11
  • 1. 유전자 조작 = 11
  • 2. 복제의 방법 = 16
  • 3. 인간복제의 종류 = 20
  • Ⅳ. 인간 복제 찬성론에 대한 비판 = 23
  • 1. 불임문제의 해결 = 23
  • 2. 난치병 해결 = 25
  • 3. 이식용 장기의 대량생산 = 27
  • 4. 생명복제 기술의 유용성 = 28
  • Ⅴ. 인간복제의 윤리적 문제점 = 31
  • 1. 인간존엄성의 침해 = 31
  • 2. 복제인간의 자유 박탈 = 39
  • 3. 부모자식 관계의 파괴 = 42
  • 4. 미끄러운 경사길 = 46
  • Ⅵ. 결론 = 49
  • 참고문헌 = 52
  • Abstract = 5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8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적극적 안락사를 중심으로 / 최다혜 2015  2734
87 9 보건의료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의 쟁점과 과제/김계현, 김한나 2018  2741
86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763
85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거부할 권리 / 허대석 2008  2858
84 9 보건의료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 여성희 2007  2872
83 5 과학 기술 사회 지능형 로봇에 대한 사법적 규율 ― 유럽연합의 입법 권고를 계기로 하여 ― / 김진우 2017  2941
82 2 생명윤리 자율성 존중 원칙과 선행 원칙의 충돌 상황에서의 인간 이해 / 오승민, 김평만 2018  2975
8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5
8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 결정에 있어 사회복지사가 고려해야 할 윤리적 원칙들에 대한 연구 / 한민수 2003  3130
79 17 신경과학 BCI 기술의 생명윤리 쟁점에 관한 연구 / 윤석란 2015  3204
7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 이종원 2007  3264
77 19 장기 조직 이식 특수부서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오영란 2018  3326
»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관한 연구 / 박인숙 2001  3503
75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심초음파실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에 관한 연구 / 박정욱 2010  3523
74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정책적 개선방안 2017  3578
73 17 신경과학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인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한 사례 분석 : 원칙주의를 중심으로 / 조민정 2005  3599
72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 형법(Strafrecht fur Roboter)? / 김영환 2016  3628
71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8
70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4
69 15 유전학 생명공학 시대의 유전자 조작 기술과 인간중심주의 비판 / 김광연 2016  3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