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468913 
인간복제에 대한 형법적 고찰 = (A) Criminal Study on Human Cloning

                    

       http://www.riss.kr/link?id=T9468913     

  • 저자

    이화선                                       

  • 형태사항

    iii, 101p. ; 30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노용우
    참고문헌: p. 74-7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사법경찰행정전공 2004. 2

  • KDC

    362 4

  • DDC

    344.09 20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4


초록 (Abstract)

  • 1. 인류는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생명의 신비를 풀어나가고 있다. 1978년 인류 최초의 시험관 아기가 탄생한 이래 인공수정과 유전자 조작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1997년에는 동물복제에 ...
  • 1. 인류는 생명공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생명의 신비를 풀어나가고 있다. 1978년 인류 최초의 시험관 아기가 탄생한 이래 인공수정과 유전자 조작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1997년에는 동물복제에 성공하였으며, 급기야 2002년 12월에는 최초로 인간개체복제에 성공하였다는 발표가 있었다.
    인간복제는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고 정체성에 혼란이 생길 우려가 있어 인류의 미래에 대한 재앙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 그러나 생명공학의 발달은 식량 및 에너지 부족과 난치병 해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희망을 주기도 한다.
    여기에서 본 연구는 주로 인간복제 문제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고찰하고, 현행법과 외국법 및 국제협약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간복제에 대한 금지 필요성과 제한적 허용여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국문초록> = Ⅰ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목적 = 1
  • 제2절 연구방법 = 2
  • 제2장 생명공학과 인간복제 = 3
  • 제1절 생명공학의 의의 = 3
  • 1. 생명과학의 정의 = 3
  • 2. 생명공학의 정의 = 3
  • 제2절 인공수정과 인간복제 = 4
  • 1. 인공수정 = 5
  • 2. 체외수정(In Vitro Fertilization ; IVF) = 5
  • 3. 대리수태 = 6
  • 4. 미세조작술 = 6
  • 5. 인공수태술과 인간복제 = 7
  • 제3절 유전공학과 인간복제 = 7
  • 1. 수정란에 대한 조작 = 9
  • 2. 체세포에 대한 유전자 이식(Gentransfer in Somatische Zelle) = 11
  • 3. 유전체 분석(Genomanalyse) = 13
  • 제4절 배아세포 이용과 인간복제 = 13
  • 1. 배아의 정의 = 13
  • 2. 배아간세포와 성체간세포의 이용 = 15
  • 3. 치료적복제술(therapeutic cloning) = 16
  • 제3장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문제점 검토 = 19
  • 제1절 개관 = 19
  • 제2절 법외적 관점 = 19
  • 1. 철학적ㆍ윤리적 관점 = 19
  • 2. 종교적 관점 = 21
  • 3. 사회적ㆍ경제적 관점 = 22
  • 제3절 법적인 관점 = 23
  • 1. 인간의 존엄과 가치 = 23
  • 2. 연구 자유와 배아의 생명권 = 24
  • 3. 환자에 대한 배려의무 = 25
  • 4. 태아의 출생권 = 26
  • 5. Privacy 권 = 26
  • 제4장 각국의 입법례 = 27
  • 제1절 독일 = 27
  • 1. 배아보호법(Gesetz zum Schutz von Embroyonen) = 27
  • 2. 문제점과 개정노력 = 30
  • 3. 독일의 DFG(Deutsche Forschungs Gemeinschaft) 새로운 권고안 = 31
  • 4. 최근의 입법동향 = 32
  • 제2절 영국 = 33
  • 1.인간수정과 배아에 관한 법(Human Fertilisation & Embroyology Act) = 33
  • 2. 문제점과 개정노력 = 34
  • 제3절 미국 = 35
  • 1. 입법노력 = 35
  • 2. 1998년 인간복제의 금지법안(Prohibition on Cloning of Human Beings Act of 1988) = 36
  • 3. 1998년 인간복제 금지법만(Human Cloning Prohibition Act of 1998) = 36
  • 4. 2001년 인간복제 금지법률과 2001년 복제금지 법률(The Human Cloning Prohibition Act of 2001 and the Cloning Prihibition Act of 2001) = 36
  • 제4절 프랑스 = 37
  • 1. 인간 신체 존중에 관한 법률 94-653(1994.7.29)(Loi No 94-653 du juillet 1994 relative au respect du corps humain) = 37
  • 2. 인간신체의 부분과 생산물의 사용과 기증, 산전 진단과 출산에 따른 의학적 도움에 판한 법률 94-654 법률(1994.7.29)(Loi No 94-654 du 29 juillet 1994 relative au don et a l'utilisation deselements et produits du corps humain, a l'assistance medicale a la procreqtion et au diagnostic prenatal) = 38
  • 제5절 일본 = 39
  • 1. 인간에 관한 클로닝 기술 등의 규제에 관한 법률(ヒトに關するクロン技術等の規制に關する法律) = 39
  • 2. 문제점 및 평가 = 40
  • 제6절 기타국가 = 40
  • 제5장 국제협약 = 41
  • 제1절 유네스코 보편선언 = 41
  • 제2절 유럽연합의 인권협약 = 42
  • 제3절 세계의사협회의 '헹싱키 선언' = 43
  • 제4절 국제협약 검토 = 44
  • 제6장 생명공학관련 국내법안 = 46
  • 제I절 생명과학보건안전윤리법안 = 46
  • 1. 성립과정 = 46
  • 2. 내용 = 46
  • 제2절 생명윤리기본법안 = 48
  • 1. 성립과정 = 48
  • 2. 내용 = 48
  • 3. 법안의 문제점 = 50
  • 제3절 생명공학 인권ㆍ윤리법안 = 51
  • 1. 성립과정 = 51
  • 2. 내용 = 51
  • 제4절 생명공학 육성법 개정안 = 54
  • 1. 장영달의원 대표발의 법안 = 54
  • 2. 이상회 의원 대표발의 법안 = 55
  • 3. 두 개의 법안 검토 = 56
  • 제5절 최근 입법동향 = 57
  • 제7장 인간복제에 관한 형법적 한계 = 59
  • 제1절 형사법의 기본원리와 인간복제 = 59
  • 1. 보호법익 = 59
  • 2. 형법의 개입 필요성 = 60
  • 제2절 인공수정의 형법적 한계 = 62
  • 1. 체내인공수정 = 62
  • 2. 체외 인공수정 = 63
  • 제3절 인간복제 관련기술의 형법적 한계 = 63
  • 1. 인간복제와 형법적 금지 = 63
  • 2. 키메라와 하이브리드의 형법적 금지 = 66
  • 3. 유전자치료와 형법적 금지 = 67
  • 4. 유전체(Genome)분석과 형법적 금지 = 68
  • 제4절 인간복제 기술과 제한적 허용 = 69
  • 제8장 결론 = 72
  • 참고문헌 = 74
  • <ABSTRACT> = 77
  • 인간 줄기세포 수입과 이용관련 배아보호 준수법 = 80
  •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안 = 8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68 1 윤리학 한국 여성의 혼전임신에 관한 연구 / 김송희 2016  646
416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도덕성에 관한 연구 / 김혜진 2000  645
4166 15 유전학 국내 유전자은행 관련 법률 및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이정념, 최경석 2008  645
4165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4
4164 2 생명윤리 생명의 윤리와 생명 공학 논쟁 / 김영건 2016  644
4163 20 죽음과 죽어감 소생 불가능한 환자의 안락사에 대한 의료진의 의식 조사 : Q-방법론적 접근 / 박계선 2000  644
4162 18 인체실험 한국의 연구중심병원을 위한 인체 조직 관리체계 연구 / 유영준 2012  641
4161 13 인구 저출산 원인 조사와 출산장려정책 연구 / 노정현 2012  640
4160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39
4159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 / 위계찬 2012  639
4158 1 윤리학 2015년 일본개인정보보호법의 개정 - 개정된 주요 내용과 시사점 / 김은수 2016  638
4157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 / 박민아 2018  637
415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장한철 2016  637
4155 10 성/젠더 디지털 시대 페미니즘 대중화와 십대 페미니스트 '되기(becoming)'에 관한 연구 / 강예원 2019  636
4154 20 죽음과 죽어감 삶과 죽음 그리고 자유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 / 박혜순 2018  636
4153 22 동물복지 유전자변형 동물실험의 윤리적 논의 동향/김훈기 2016  636
415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기독교적 고찰 : 영남지역 신학도들이 이해한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안효욱 2004  636
4151 18 인체실험 미국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 김수정 2007  636
4150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
4149 2 생명윤리 유전자편집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생명윤리법의 재검토 / 김현섭 2017  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