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53095 
인체유래물질에 대한 형법적 고찰 = Issues Pertaining to Human Biological Material in Criminal Law

        

http://www.riss.kr/link?id=T11553095                        

  • 저자

    양윤선                                       

  • 형태사항

    iv, 11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규원
    국문요지: p. iii-iv.
    Abstract: p. 108-110.
    참고문헌 : p.103-1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법학 2009.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9

초록 (Abstract)

  • 최근 생명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전통적인 법학이론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운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로이 대두된 법적 문제들 중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문...
  • 최근 생명과학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전통적인 법학이론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려운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새로이 대두된 법적 문제들 중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문제가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을 법적으로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이다. 생명과학연구나 의학연구에 있어서는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인간유전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방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반인과 환자의 유전체를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반인이나 환자로부터 혈액 등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생물학적 물질을 획득하여야 한다.
    연구에 사용하기 위하여 획득된 인체로부터 유래한 물질들은 전통적으로는 기증자의 이타적 의사 혹은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에 의하여 연구자에게 제공되어 왔다. 하지만 현재 생명과학연구와 의학연구의 결과물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타주의에 기반을 둔 생물학적 물질의 제공이 법적 고찰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또한 자신이 제공한 생물학적 물질을 연구에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였던 기증자가 연구에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였던 의사를 철회하고 더 이상 연구에 자신이 제공한 생물학적 물질을 연구에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기증자의 동의가 철회된 것으로 보아 그 생물학적 물질은 더 이상 연구에 사용될 수 없는 결과가 발생한다. 하지만 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었고 그 동안 연구에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 경우에 생물학적 물질을 제공한 기증자의 의사만으로 이와 같은 노력과 비용이 허비된다는 것은 경우에 따라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결론일 수도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논문의 목적과 방법 = 1
  • 제2장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법적성격 = 6
  • 제1절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에 의한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체물질의 제공행위 = 10
  • 1. 역사적 배경 = 10
  • (1) 의료행위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 10
  • (2) 의학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 13
  • 2. 자기결정권의 실정법적 근거 = 17
  • 3.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의 유형 = 25
  • (1) 배경 = 25
  • (2) 이미 저장되어 있는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을 후속적(이차적)으로 사용하는 연구에 대한 동의 = 26
  • (3) 동의의 방식 = 27
  • (4) 국제적 지침의 동향 = 41
  • 1) 치료를 위하여 생물학적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 41
  • 2) 연구를 위하여 생물학적 불질을 이용하는 경우 = 43
  • (5)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폐기 = 44
  • 제2절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에 대한 소유권 인정여부에 관한 검토 = 47
  • 제3절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법적성격 = 56
  • 1. 살아있는 사람의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 = 57
  • 2. 사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 = 60
  • 제4절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 제공행위의 법적 성격 = 67
  • 제3장 인체로부터 유래한 생물학적 물질의 형법적 고찰 = 71
  • 제1절 살아있는 사람의 경우 = 72
  • 1. 신체의 일부일 때 = 72
  • 2. 신체에서 분리될 때 = 73
  • 3. 신체에서 분리된 후 = 78
  • 제2절 사체의 경우 = 86
  • 제3절 강요죄의 해당여부 = 90
  • 제4절 비교법적 고찰 = 93
  • 제4장 결론 = 96
  • 참고문헌 = 103
  • ABSTRACT = 10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88 14 재생산 기술 조기 태아성별 확인법 개발, 무엇이 문제인가? / 구인회 2013  659
487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486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질과 안락사, 기독교적 의료 윤리의 관점 / 정유석 2000  660
485 14 재생산 기술 인간 배아의 정체성과 생명권 / 구인회 2014  661
484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2013  662
483 2 생명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생명의학, 국가, 그리고 사회적 이념 / 조백현 2014  662
482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가톨릭 생명윤리의 관점 / 이상목 2005  663
48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법률관계에서 미성년자 동의능력의 문제 / 류화신 2009  664
480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664
479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2014  665
47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어린이 피험자를 위한 동의서에 관한 고찰 / 모효정 2008  667
47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윤리에 있어서 충분한 설명 후 동의(informed consent)원칙의 진보와 향후의 과제 / 이정현 2012  670
476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노인인권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고찰 / 이연순 2015  670
475 2 생명윤리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간호연구의 생명윤리의식 측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인격주의 생명윤리 관점으로 / 최미선 2019  670
474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좋은 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최은정 2018  671
473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 시대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인간복제를 중심으로 / 이동호 2002  672
4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모니터요원(CRA)와 임상시험코디네이터(CRC)의 업무량과 업무수행 어려움에 대한 연구 / 김수미 2011  673
471 14 재생산 기술 불임 여성들의 통합의료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 김이영 2012  674
470 14 재생산 기술 출산의 의료화 과정과 여성의 재생산권(reproductive rights)에 관한 연구 / 조영미 2004  675
469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사회윤리적 접근 : 체세포복제배아(SCNT) 정당성 여부에 대한 합의를 중심으로 / 김경순 2008  6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