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9492877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risk factors affecting the graft survival in living unrelat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http://www.riss.kr/link?id=T9492877            

  • 저자

    전경옥

  • 형태사항

    v, 52장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조우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 2004.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4

초록 (Abstract)

  • 본 연구는 말기 신장부전환자의 주요 치료법으로 인식되어진 신장이식에 있어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해 연구하여 공여 장기 부족에 대...
  • 본 연구는 말기 신장부전환자의 주요 치료법으로 인식되어진 신장이식에 있어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해 연구하여 공여 장기 부족에 대해 비혈연간 신장 이식의 활성화에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1979년부터 2002년 6월까지 서울 S병원에서 시행한 2115예의 환자 중 뇌사자를 이용한 신장이식 55예 아자시오프린을 주면역억제제로 사용한 115예를 제외한 1945예 중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환자 9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소 추적기간은 12개월이며 평균 추적 기간은 87.8개월이었으며 978예가 혈연간 신장이식이었고 967예가 비혈연간 신장이식을 시행하였다. 공여자의 구성원은 순수 기증자 781명, 교환이식 공여자 86명, 방계혈족 54명, 배우자 43명, 친구 3명이었고 수여자의 성별은 남자 640명, 여자 327명이었고, 공여자의 성별은 남자 707명, 여자 260명이었다. 수여자의 평균연령은 39.7±10.9이었고, 기증자의 평균연령은 33.7±8.6이었다. 5년 이식신 장생존율은 조직적합항원 완전일치군, 절반일치군, 비혈연간 신이식군 각각 93.7%, 87.6%, 83.4%이었으며 10년 이식신장 생존율은 각각 88.2%, 70.8%, 66.9%였으며 다변량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는 없었다. 5년 환자 생존율은 혈연간 신이식군은 95.8%, 비혈연간 신이식군은 91.8%이며 10년 환자 생존율은 각각 92.1%, 84.0%로 다변량 분석에서 의의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 사망의 주요원인은 감염(39.9%), 뇌혈관질환(13.1%), 악성종양(9.6%), 심혈관질환(8.6%)이었다. 다변량 분석 시 이식신장 생존율에 미치는 위험인자는 급성거부반응의 기왕력, 공여자의 연령 55세 이상, 수여자의 55세 이상, 이식전 당뇨병 및 B형 간염의 과거력 여부이었으며 ABO혈액형의 적합 정도와 조직적합항원의 적합성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는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확인하였으며 비혈연간 생체 신장이식의 성적이 혈연간 신장이식의 성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향 후 공여 장기 부족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비혈연간 신장이식이 시행됨에 있어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68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3867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3866 14 재생산 기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 박대웅, 류화신 2016  498
386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386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386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따른 윤리적 문제 고찰/우재명 2002  497
3862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2014  497
3861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2007  497
3860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6
3859 14 재생산 기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신옥주 2013  495
3858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국내 허가ㆍ심사 가이드라인 개발/배영우 외 2018  494
3857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옹호 가능한가?/최훈 2016  494
385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3855 1 윤리학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 이재숭 2018  493
3854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2015  492
385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3852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3851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1
3850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 19 장기 조직 이식 비 혈연간 생체 신장이식 후 이식신장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에 관한 연구 / 전경옥 2004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