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36583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Introductory Study of Human Cloning :‐ In the Perspective of Civil Law ‐


  http://www.riss.kr/link?id=T11436583      

  • 저자

    김수흥                                       

  • 형태사항

    v, 78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문흥안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민법 2008.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초록 (Abstract)

  • 인류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생물학적 요소가 같기 때문인지, 정의를 추구하고 선과 악을 구별하는가 하면, 인류애적인 상호 교감도 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러한 동질감...
  • 인류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생물학적 요소가 같기 때문인지, 정의를 추구하고 선과 악을 구별하는가 하면, 인류애적인 상호 교감도 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러한 동질감적 요소는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각종 첨단과학기술의 등장과 아울러 생명·유전공학 시대의 장을 열게 되기에 이르렀다. 다시 말하면 그러한 과학기술이 가져다 줄 새로운 문명에 앞서 가치, 윤리, 법적 개념이 혼선을 빚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과거의 윤리적 관념이나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생명·유전공학의 진보에 제동을 걸어서는 안 되는 것이며 이제는 준비하고 맞이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인간복제와 관련해서는 법률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인간의 정체성 문제와 종교, 윤리적 관점에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나라들이 생명윤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개정하고 있으나, 사회적, 법률적 대안 없이 인간복제를 금지시키는 추세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다가올 조만간의 미래에 있어 어떤 위험과 어떤 이익을 위해 충분히 재고되어야 하며 이제는 그 충격과 혼란에 대응해야 된다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방법 및 범위 = 3
  • 1.2.1. 연구방법 = 3
  • 1.2.2. 연구범위 = 3
  • 제2장 인간복제의 개념과 입법례 = 5
  • 2.1. 인간복제의 개념 = 5
  • 2.1.1. 인간복제의 정의 = 5
  • 2.1.2. 인간복제의 연혁 = 6
  • 2.1.3. 우리나라의 실태 = 6
  • 2.2. 인간복제의 유형 = 8
  • 2.2.1. 기술적 유형 = 8
  • 2.2.1.1. 할구분할 = 8
  • 2.2.1.2. 핵치환복제 = 9
  • 2.2.2. 목적상 유형 = 9
  • 2.2.2.1. 생식적 복제 = 9
  • 2.2.2.2. 치료적 복제 = 10
  • 2.3. 입법례 = 11
  • 2.3.1. 외국 = 11
  • 2.3.1.1. 영국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에 관한 법률과 인간복제에 관한 법률(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ct 1990) = 11
  • 2.3.1.2. 미국의 인간복제에 관한 법률 = 15
  • 2.3.1.3. 프랑스의 생명윤리법 중 인체존중에 관한 법률 = 17
  • 2.3.1.4. 독일의 수정란 보호법 = 19
  • 2.3.1.5. 일본의 인간복제술에 관한 법률 = 22
  • 2.3.2. 우리나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 22
  • 2.3.2.1. 입법취지 = 22
  • 2.3.2.2. 배아연구 이용 = 24
  • 2.3.2.3. 인간복제 금지 = 26
  • 2.3.2.4. 입법의 성격에 대한 비판 = 27
  • 제3장 복제인간에 대한 논거 = 29
  • 3.1. 복제인간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 = 29
  • 3.2. 복제인간에 대한 정서 = 29
  • 3.2.1. 종교적 정서 = 29
  • 3.2.2. 윤리적 정서 = 32
  • 3.2.3. 사회적 정서 = 34
  • 3.3. 복제인간에 대한 긍정적 대안 = 35
  • 3.3.1. 생식의 자유와 권리 = 35
  • 3.3.2. 동성애자들의 생식권 = 37
  • 3.3.3. 부모의 희망 = 38
  • 3.3.4. 인간개량 = 38
  • 3.4. 복제인간에 대한 부정적 대안 = 40
  • 3.4.1. 인간생명의 조작 = 40
  • 3.4.2. 인격의 도구화 = 42
  • 3.4.3. 인간의 존엄성 침해 = 43
  • 3.5. 복제인간의 법적 관념 = 46
  • 3.5.1. 헌법적 관념 = 46
  • 3.5.1.1. 생식적 복제의 허용성 = 46
  • 3.5.1.2. 치료적 복제의 허용성 = 48
  • 3.5.2. 형법적 관념 = 49
  • 3.5.2.1. 인간복제의 형사법적 이해 = 49
  • 3.5.2.2. 생명공학 기술과 위험형법 = 51
  • 3.5.2.3. 인간복제 연구의 형사법적 한계 = 53
  • 제4장 복제인간의 민법상 지위 = 57
  • 4.1. 출생 전의 민법상 지위 = 57
  • 4.1.1. 인간배아의 법률적 검토 = 57
  • 4.1.2. 복제란의 생명권과 주체성 = 59
  • 4.2. 출생 후의 민법상 지위 = 64
  • 4.2.1. 친생자 관계 = 65
  • 4.2.2. 형제·자매 관계 = 66
  • 4.2.3. 입적·부양·상속 등 = 67
  • 제5장 결론 = 70
  • 참고문헌 = 73
  • ABSTRACT = 7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88 9 보건의료 희귀·난치성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 최인희 2015  432
3687 1 윤리학 미국법의 현대적 과제 ; 미국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규제 동향 / 김민우, 류화신 2015  432
3686 15 유전학 인체유래물에 기초한 지식재산권의 한계로서의 공서양속 / 이은영 2011  432
3685 14 재생산 기술 인간 착상 과정에 자궁내막과 배아의 역할 / 지병철 2009  431
3684 9 보건의료 의약품 온라인 판매 규제의 새로운 접근/이원복 2015  431
368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3682 15 유전학 유전체 정보의 한우 육종 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수 2013  430
3681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대한 연구 :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상률 2010  430
3680 14 재생산 기술 불임지원 활성화를 위한 불임지원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서유미 2009  430
3679 5 과학 기술 사회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과 비인간 타자의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화 『그녀』 를 중심으로 /송은주 2018  429
367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여호와 증인의 수혈거부사건을 둘러싸고-/박태신 2015  429
3677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29
3676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관생명윤리위원회 평가인증제도에 대한 고찰/김현철,김은애 2015  428
3675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임학빈 2005  427
3674 19 장기 조직 이식 두개의 이식편을 이용한 성인 생체 부분 간이식에서 발생한 담도 합병증에 대한 치료 / 정재필 2004  427
3673 15 유전학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고객인식과 구매의도 관계에서 지각위험 조절효과 분석 / 유영애, 우성근, 권기완 2014  427
3672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허용에 대한 민사법적 연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판결을 중심으로 / 이병열 2011  427
3671 15 유전학 생명과학기술의 또 다른 그늘 / 김상현 2014  427
367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현실적 고찰 : 한국적 상황에 맞는 대안 모색 / 길연수 2005  426
3669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