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436583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Introductory Study of Human Cloning :‐ In the Perspective of Civil Law ‐


  http://www.riss.kr/link?id=T11436583      

  • 저자

    김수흥                                       

  • 형태사항

    v, 78 p. ; 26cm

  • 일반주기

    지도교수:문흥안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민법 2008.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8

 초록 (Abstract)

  • 인류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생물학적 요소가 같기 때문인지, 정의를 추구하고 선과 악을 구별하는가 하면, 인류애적인 상호 교감도 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러한 동질감...
  • 인류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생물학적 요소가 같기 때문인지, 정의를 추구하고 선과 악을 구별하는가 하면, 인류애적인 상호 교감도 할 수 있는 것 같다. 그러한 동질감적 요소는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각종 첨단과학기술의 등장과 아울러 생명·유전공학 시대의 장을 열게 되기에 이르렀다. 다시 말하면 그러한 과학기술이 가져다 줄 새로운 문명에 앞서 가치, 윤리, 법적 개념이 혼선을 빚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과거의 윤리적 관념이나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생명·유전공학의 진보에 제동을 걸어서는 안 되는 것이며 이제는 준비하고 맞이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나 인간복제와 관련해서는 법률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인간의 정체성 문제와 종교, 윤리적 관점에서 많은 논란이 일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나라들이 생명윤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개정하고 있으나, 사회적, 법률적 대안 없이 인간복제를 금지시키는 추세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다가올 조만간의 미래에 있어 어떤 위험과 어떤 이익을 위해 충분히 재고되어야 하며 이제는 그 충격과 혼란에 대응해야 된다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목적 = 1
  • 1.2. 연구방법 및 범위 = 3
  • 1.2.1. 연구방법 = 3
  • 1.2.2. 연구범위 = 3
  • 제2장 인간복제의 개념과 입법례 = 5
  • 2.1. 인간복제의 개념 = 5
  • 2.1.1. 인간복제의 정의 = 5
  • 2.1.2. 인간복제의 연혁 = 6
  • 2.1.3. 우리나라의 실태 = 6
  • 2.2. 인간복제의 유형 = 8
  • 2.2.1. 기술적 유형 = 8
  • 2.2.1.1. 할구분할 = 8
  • 2.2.1.2. 핵치환복제 = 9
  • 2.2.2. 목적상 유형 = 9
  • 2.2.2.1. 생식적 복제 = 9
  • 2.2.2.2. 치료적 복제 = 10
  • 2.3. 입법례 = 11
  • 2.3.1. 외국 = 11
  • 2.3.1.1. 영국의 인공수정 및 수정란에 관한 법률과 인간복제에 관한 법률(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ct 1990) = 11
  • 2.3.1.2. 미국의 인간복제에 관한 법률 = 15
  • 2.3.1.3. 프랑스의 생명윤리법 중 인체존중에 관한 법률 = 17
  • 2.3.1.4. 독일의 수정란 보호법 = 19
  • 2.3.1.5. 일본의 인간복제술에 관한 법률 = 22
  • 2.3.2. 우리나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 22
  • 2.3.2.1. 입법취지 = 22
  • 2.3.2.2. 배아연구 이용 = 24
  • 2.3.2.3. 인간복제 금지 = 26
  • 2.3.2.4. 입법의 성격에 대한 비판 = 27
  • 제3장 복제인간에 대한 논거 = 29
  • 3.1. 복제인간에 대한 국민들의 의식 = 29
  • 3.2. 복제인간에 대한 정서 = 29
  • 3.2.1. 종교적 정서 = 29
  • 3.2.2. 윤리적 정서 = 32
  • 3.2.3. 사회적 정서 = 34
  • 3.3. 복제인간에 대한 긍정적 대안 = 35
  • 3.3.1. 생식의 자유와 권리 = 35
  • 3.3.2. 동성애자들의 생식권 = 37
  • 3.3.3. 부모의 희망 = 38
  • 3.3.4. 인간개량 = 38
  • 3.4. 복제인간에 대한 부정적 대안 = 40
  • 3.4.1. 인간생명의 조작 = 40
  • 3.4.2. 인격의 도구화 = 42
  • 3.4.3. 인간의 존엄성 침해 = 43
  • 3.5. 복제인간의 법적 관념 = 46
  • 3.5.1. 헌법적 관념 = 46
  • 3.5.1.1. 생식적 복제의 허용성 = 46
  • 3.5.1.2. 치료적 복제의 허용성 = 48
  • 3.5.2. 형법적 관념 = 49
  • 3.5.2.1. 인간복제의 형사법적 이해 = 49
  • 3.5.2.2. 생명공학 기술과 위험형법 = 51
  • 3.5.2.3. 인간복제 연구의 형사법적 한계 = 53
  • 제4장 복제인간의 민법상 지위 = 57
  • 4.1. 출생 전의 민법상 지위 = 57
  • 4.1.1. 인간배아의 법률적 검토 = 57
  • 4.1.2. 복제란의 생명권과 주체성 = 59
  • 4.2. 출생 후의 민법상 지위 = 64
  • 4.2.1. 친생자 관계 = 65
  • 4.2.2. 형제·자매 관계 = 66
  • 4.2.3. 입적·부양·상속 등 = 67
  • 제5장 결론 = 70
  • 참고문헌 = 73
  • ABSTRACT = 7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708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의 사회적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강치영 2012  437
370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5
3706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3705 18 인체실험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임파워먼트와 의료관련감염 관리 표준주의지침 인지도가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 / 정미라,정은 2019  434
3704 18 인체실험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최현일 2018  434
3703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2018  434
3702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2017  434
3701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과 신약 개발, 누구의 먹을거리인가? / 백용욱 2016  434
»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34
3699 15 유전학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윤병국 2016  434
3698 1 윤리학 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적 논쟁의 변화 / 백수진 2012  434
3697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시설 노인과 보호자(대리인)간의 연명치료에 대한 의견일치도 비교 : 충남 공주시 지역 장기요양시설 중심으로 / 임선미 2014  434
369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사고 사건수사의 개선방향 : 부검의 중요성과 법의학자의 역할 / 장준혁 2018  433
3695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의 인간성에 관한 인간학적 고찰 / 한희숙 2009  433
3694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의료 결정의 딜레마와 그 사회적 맥락 / 박경숙, 서이종, 안경진 2015  433
3693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 김춘길 2014  433
3692 1 윤리학 중용(mesot?s)의 양적 또는 비(非)양적 해석 문제 :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의 ‘절제’, ‘용기’, ‘온화’를 중심으로 / 이정주 2016  432
3691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3690 14 재생산 기술 법과 종교를 위한 공동체 윤리- 종교적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유경동 2015  432
3689 9 보건의료 희귀·난치성질환 가족의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 가족부담감, 가족탄력성, 그리고 자조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 최인희 2015  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