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860673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 (The) Moral The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Human Embryo Cloning and Embryo Stem Cell Research

                    

http://www.riss.kr/link?id=T8860673            

  • 저자

    길성환                                       

  • 형태사항

    iii, 118 p. ; 27 cm .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실천신학전공 2003

  •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3

  • 초록 (Abstract)
    • The centralist point at an issue connected with research of the human embryo cloning and embryo stem cell is a ethical and legal problem that is caused by 'Breakdown of human embryo' that is regarded as a humanized life. Therefore, this treatise is wi...
    • The centralist point at an issue connected with research of the human embryo cloning and embryo stem cell is a ethical and legal problem that is caused by 'Breakdown of human embryo' that is regarded as a humanized life. Therefore, this treatise is wished to refer that such research should be prohibited properbly in the dignity of human life and value dimension, investigating critical consideration in the right of a biologic and philosophical situation and a situation of Catholicism church about if such researches can be justified really. But we unconditionally can not keep away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freedom and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 actuality. Then this treatise present the adult stem cell research by the alternative that ethically and legally do not become an issue because it is recognized rationality.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I. 서론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 범위와 방법 = 3
    • II. 본론 = 5
    • 제1장 생명복제에 대한 일반적 이해 = 5
    • 1.1 생명복제의 개념 = 5
    • 1.2 생명 복제 기술의 역사와 과정 = 6
    • 1.2.1 돌리 이전 = 6
    • 1.2.2 돌리 이후 = 8
    • 1.3 생명 복제 기술의 종류 = 10
    • 1.3.1 비핵이식법 = 10
    • 1.3.2 세포 핵이식법 = 11
    • 1.4 생명복제를 통한 인간복제 = 14
    • 1.4.1 인간복제의 개념 = 14
    • 1.4.2 인간복제의 현실적 가능성 = 15
    • 제2장 인간 배아에 대한 이해 = 17
    • 2.1 인간 배아에 대한 개념과 용어의 범위 = 17
    • 2.2 인간 배아의 도덕적 지위 문제 = 19
    • 2.3 인간 생명의 시작 = 21
    • 2.3.1 철학적 측면 = 22
    • 2.3.2 생물학적 측면 = 25
    • 2.3.3 그리스도교적 측면 = 31
    • 2.4 인간 배아의 연구의 필요성 = 38
    • 제3장 인간 배아복제를 통한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생산과
    • 활용 = 41
    • 3.1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개념 = 41
    • 3.2 줄기세포의 분류 = 43
    • 3.2.1 만능성세포(totipotent cell) = 43
    • 3.2.2 전능성세포(pluripotent cell) = 43
    • 3.2.3 다능성세포(multipotent cell) = 43
    • 3.3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생산과 활용 = 44
    • 3.3.1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생산 = 44
    • 3.3.2 인간 배아 줄기세포의 활용 = 46
    • 3.4 배아줄기세포의 기초연구 및 임상적 적용 = 49
    • 3.4.1 발생 연구 및 신약 스크리닝(Screening: 의학검사,
    • 검증)의 획기적인 모델(tool)로서의 배아줄기세포 배양 =
    • 49
    • 3.4.2 세포대체요법(cell replacement theraphy)의 완벽
    • 한 세포 공급원으로서의 배아줄기세포 = 50
    • 3.4.3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있어서 해결해야 될 문제점 =
    • 52
    • 3.5 인간 배아연구를 통한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국내외의
    • 최근 동향과 전망 = 54
    • 제4장 성체줄기세포에 대한 이해 = 59
    • 4.1 성체줄기세포의 개념 = 59
    • 4.2 성체줄기세포의 연구 과정 = 60
    • 4.3 성체줄기세포와 배아줄기세포의 유용성 비교 = 60
    • 4.4 성체줄기세포 연구의 한계성 = 63
    • 제5장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법률적
    • 쟁점들 = 65
    • 5.1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윤리적 쟁점들
    • = 65
    • 5.1.1 배아복제 = 65
    • 5.1.2 배아줄기세포 = 68
    • 5.2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에 대한 법률적인 쟁점
    • 들 = 71
    • 5.2.1 인간 배아의 법적 지위의 문제 = 71
    • 5.2.2 인간 배아 연구와 배아줄기세포 = 74
    • 5.3 최근 국내외 공공 정책의 동향과 법 제정의 논쟁 = 81
    • 5.3.1 미국 = 83
    • 5.3.2 독일 = 84
    • 5.3.3 프랑스 = 85
    • 5.3.4 영국 = 85
    • 5.3.5 한국 = 88
    • 5.3.6 인간 배아 연구에 관한 가이드라인 = 90
    • 제6장 인간 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대한 가톨릭
    • 교회의 윤리신학적 입장 = 93
    • 6.1 인간 배아 복제 = 93
    • 6.1.1 인간 배아에 대한 치료적 기술조작 = 94
    • 6.1.2 인간 배아에 대한 연구와 실험 = 95
    • 6.1.3 잉여배아의 사용 및 보관 = 96
    • 6.1.4 인간 배아복제 = 99
    • 6.2 배아줄기세포 = 100
    • 6.3 배아줄기세포의 활용에 대한 교회의 대안 = 103
    • 6.3.1 성체줄기세포의 이용 = 103
    • III. 결론 = 106
    • 참고문헌 = 110
    • = 116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488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상 보험료부과체계에 관한 법적 고찰 -지역가입자 생활수준 및 경제활동 참가율 부과기준 중 성과 연령을 중심으로 -/송기민, 정정일 2014  1349
    4487 2 생명윤리 한국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한 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오희순 2016  1343
    448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법 제17조 제1항의 '직접 진찰' 과 대면진료의무를 위반한 의사의 형사책임 2014  1337
    4485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의 영향요인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 안숙희 2015  1335
    4484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자기 결정에 대한 말기 암 환자, 가족 및 의료진의 태도 / 김은숙 2011  1334
    4483 1 윤리학 마이클 샌델의 정의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안민영 2016  1326
    4482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매매의 정당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정화성 2009  1326
    4481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5
    4480 8 환자 의사 관계 설명의무와 지도의무 -설명의무에 관한 최근 판례의 동향- / 안법영, 백경희 2013  1323
    4479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2
    4478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7
    447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16
    4476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5
    4475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0
    4474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8
    4473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4472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256
    4471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52
    447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446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