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296635 

한스 요나스의 인간복제 비판 연구 


http://www.riss.kr/link?id=T11296635             

  • 저자

    유석만                                       

  • 형태사항

    iii, 49장 : 삽도,표 ; 26 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46-4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2007                                                                

  • 발행국

    부산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7

  • 소장기관                        

    동아대학교 도서관

  •                           

  • 초록 (Abstract)
    • 현재의 생명공학 기술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기체를 대상으로 그 유전자를 조작, 변형함은 물론 인위적으로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는 수준에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점차 가시화...
    • 현재의 생명공학 기술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유기체를 대상으로 그 유전자를 조작, 변형함은 물론 인위적으로 새로운 생명을 창조하는 수준에까지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인간복제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윤리적 문제 상황들에 대해 기존 윤리학의 효력이 어느 정도까지 유효할 것인가? 에 대한 물음에서부터 시작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기존 윤리학의 효력에 대한 물음은 인간의 보다 나은 삶을 목표로 한 생명공학의 직접적인 적용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판단과 결정의 문제들 즉, 특정 유전 형질에 우와 열의 기준을 정하고 그 기준에 따라 개체의 소멸과 존재를 결정하는 우생학적 판단에 있어서나 인간복제 기술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그 결과 발생되는 인간 정체성의 문제를 고려함에 있어서 어떠한 윤리적 판단 근거를 우리에게 제시해 줄 수 있는지의 문제로 확대 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가진 기술권력이 미치는 영향의 범위와 예측 불가능한 그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기존의 윤리학은 우리에게 구체적인 윤리적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거나 기술권력에 대한 우리의 행동을 규제할 도덕법칙으로서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한계는 과거 윤리학이 일정한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가진다는 점에 기인한다. 윤리학이 우리의 행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때, 기술 권력에 의한 인간 행위와 본성의 변화는 윤리학의 변화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요나스의 책임윤리를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윤리학의 한계를 보완할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요나스의 책임윤리는 인간의 통제로부터 벗어난 기술권력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것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요나스는 생명이 그 본질로서 인간과 동등한 가치의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생명 자체를 향한 고유한 목적성이 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우리에게는 자연과 미래세대가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하는 책임과 의무가 있다고 주장한다. 자연은 더 이상 기술권력에 의한 착취의 대상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인류가 살아가야 하는 유일한 터전으로써 우리는 자연에 대한 경각심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요나스의 생명에 대한 이해와 기술권력에 대한 우리의 책임문제를 고찰해 보는 것은 인간 복제로 대표되는 생명공학 기술에 있어서 우리가 어떠한 반성적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Ⅱ. 요나스의 생명철학 3
    • 1. 생명의 본질로서의 자유 3
    • 2. 생명의 자기 목적성 5
    • 3. 생명과 책임 8
    • Ⅲ. 요나스의 책임윤리 14
    • 1. 전통윤리의 한계 14
    • 2. 책임 윤리 18
    • 3. 의술과 인간의 책임 26
    • Ⅳ. 인간복제 비판 31
    • 1. 소극적 우생학과 적극적 우생학 31
    • 2. 인간복제의 생물학적 특성 36
    • 3. 복제 기술의 목적 38
    • 4. 인간의 정체성 훼손 40
    • Ⅴ. 결 론 44
    • 참고 문헌 46
    • Abstract 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8 16 환경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 분석 /양소연 2017  734
427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4
426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42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7
424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7
423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2018  737
422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421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2015  740
420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419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연구 / 안모원 2018  742
418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4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45
416 15 유전학 CRISPR-Cas9 사용이 제기하는 윤리적 질문들 / 전방욱 2016  747
415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2
414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2
4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4
41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41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410 5 과학 기술 사회 뇌졸중 환자의 엄지손가락 재활운동을 위한 직교형 엄지손가락 재활로봇 개발/김현민 외 2012  758
409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