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 Analysis of Current Concepts and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Cloning

                    

http://www.riss.kr/link?id=T10364039            

  • 저자

    임학빈                                       

  • 형태사항

    iv, 12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상호
    단면인쇄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85-8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2005.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5

초록 (Abstract)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
  • 초 록 생명복제에 대한 고교생들의 개념 및 인식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임 학 빈 인간 체세포를 포함한 복제실험의 성공은 생명공학 기술을 폭발적 증가시키나, 일반적인사회 요인들은 이런 기술의 진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상업적 대중매체는 우리에게 생명 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를 주기보다는 성과 위주의 일시적인 보도만으로 일관되어 있다. 더욱이, 한국의 최신 생물 교과서는 질적으로 양적인 면에서 관련된 기초 원리와 적용에 대해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다. 현행 교과서에는 도덕적 문제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고 혼란을 주고 있다. 의심할 여지없이, 본 연구는 복제에 관한 고교생들의 현재의 개념과 인식에 대한 것이다. 최종 설문은 82개의 질문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역, 성, 종교, 학년, 대학진학예정에 따라 644명의 학생이 설문을 응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 고등학생들이 생명 복제에 대해 거의 정보를 얻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왜곡된 정보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학생들 사이에는 생명의 시작과 복제에 관한 내용이 미 확립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I. 서 론
    • 1. 연구배경
    • 2. 연구의 필요성
    • 3. 연구목적
    • 4. 연구의 제한점
    • Ⅱ. 연구방법 및 분석
    • 1. 생명 복제에 관한 문항 작성
    • 2. 예비 설문 조사
    • 3. 설문 조사 실시
    • 4. 설문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징
    • 5. 통계처리
    • Ⅲ. 연구결과
    • <학생들의 설문에 대한 변수별 응답>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1> 설문지
    • <부록 2> 644명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결과
    • <부록 3> 82개 문항 중 49문항의 선정
    • <부록 4> 분석을 할 7개 영역 35개의 문제
    • <부록 5> 설문 통계 처리 후 변수에 따른 유의성 존재
    • <부록 6> 7차 교육과정 생물Ⅰ, 생물Ⅱ 교과서 분석
    • <부록 7> 월간과학 잡지에 소개된 최근 13년간 복제 관련 자료
    • 초 록
    • 표 목 차
    • <표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
    • <표 2> 생명복제 정보에 대한 인지정도
    • <표 3> 생명복제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접할 수 있는 매체
    • <표 4> 복제 양 돌리의 출생국
    • <표 5> 복원하고 싶은 멸종 동물
    • <표 6> 월간 과학 잡지나 과학서적 구독 여부
    • <표 7> 대중매체를 통한 생명공학 내용 중 가장 문제가 되는 점
    • <표 8> 가장 기억에 남는 생명복제 소재 영상
    • <표 9>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을 가장 많이 받은 과목
    • <표 10> 생명복제에 대한 수업 내용
    • <표 11> 생명복제 기술을 통한 가장 큰 이점
    • <표 12> 복제 소의 고기 거래 시 구매 의사
    • <표 13> 인간 생명의 시작 시기
    • <표 14> 복제 동물 탄생을 위해 쓰여 진 수정란의 수
    • <표 15> 인간복제에 대한 찬성 의사
    • <표 16> 인간 복제에 대한 논문별 찬성/반대 비율
    • <표 17> 복제인간이 가장 먼저 탄생할 것 같은 국가
    • <표 18> 복제인간이 태어나면 안 되는 이유
    • <표 19> 생명윤리 교육을 받아야 하는 대상
    • <표 20> 인간이 유리한 쪽으로 변형되는 생명에 대한 인식
    • <표 21> 배아를 생명체로 인식하는 종교계 및 시민단체의 입장 지지 여부
    • <표 22> 배아 줄기 세포의 난치병 치료사용에 대한 찬성
    • <표 23> 생명복제에 대해 반대 입장을 가진 종교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668 20 죽음과 죽어감 생전유언, 의료지시서, 자연사법(natural death act) 입법의 사회적 함의 / 이인영 2008  64781
    466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63
    4666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의 입법에 관한 연구 / 이정식 2000  52566
    4665 8 환자 의사 관계 자율성 존중의 원칙 : 정치적 이념과 철학적 이념 / 최경석 2015  52562
    466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고통에 대한 의사의 정당한 태도 / 유호종 2004  46053
    4663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김희경 2014  27959
    4662 9 보건의료 의료기기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 도입방안 연구 / 이민정 외 2017  24807
    466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폐지의 타당성 검토 / 김찬섭 2016  23677
    4660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513
    4659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88
    4658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58
    4657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5
    4656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6
    4655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25
    4654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94
    4653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49
    4652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922
    4651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65
    4650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21
    4649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