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철학논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02220 
동물 권리론으로 본 동물 복제
= Critical Inquiry into the Arguments of Animal Cloning by the Theory of Animal Rights

            

http://www.riss.kr/link?id=A100202220  


  • 저자명

    김성한 ( Sung Han Kim )                                                                      

  • 학술지명

    철학논집               

  • 권호사항

    Vol.39 No.- [2014]                                   

  • 발행처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3-127(2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4년

  • 초록 (Abstract)
    • 복제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마침내 1997년 복제양 돌리가 탄생했다. 이후 생명체 복제기술은 인류의 미래에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으리라는 전망 하에 계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
  • 복제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마침내 1997년 복제양 돌리가 탄생했다. 이후 생명체 복제기술은 인류의 미래에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으리라는 전망 하에 계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처럼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음에도 동물 복제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윤리적 접근을 해 보려는 시도는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편이다. 이에 필자는 동물 권리론을 이용해 동물 복제 논의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리건(Tom Regan)의 동물 권리론에 따르면 동물들은 삶의 주체 (subjects-of-a-life)가 될 수 있는 존재로, 다른 존재들에 대한 유용성 등과 무관하게 그 존재에 고유한 가치(inherent value)를 갖는다. 이와 같은 입장을 취할 경우 복제는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허용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이러한 입장과 다소 다르게 권리를 고통을 당하지 않을 권리로 해석해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해석할 경우 복제 허용의 여지는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러한 동물 권리론자들이 동물 복제 옹호 논변들을 어떻게 판단할 것인지를 검토해 보고 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필자는 인간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에 복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기적인 생각을 넘어서 훨씬 신중하게 동물 복제를 생각해 볼 수 있게 되리라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58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권구선 2012  304
1587 9 보건의료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이용한 치매질환과 다른 질환 간 연관성 분석 / 이지현 2017  304
1586 22 동물복지 안자극 평가를 위한 동물시험법과 동물대체시험법의 경제성평가 : 화장품 분야에 대한 Cost Analysis / 이민영 2016  304
1585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AI시대 인성교육의 방법과 전망/유성선 2018  304
158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간호윤리 가치관 / 김미화 2019  304
1583 2 생명윤리 의학교육에서의 사회적 역량에 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인식 / 허윤정, 권복규, 이옥진, 안덕선 2013  306
158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 법제화의 전제조건에 대한 검토 -세브란스병원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의 의미와 시사점- / 이상용 2012  306
158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치료지시 이행 / 두윤숙 2005  306
1580 15 유전학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 김한나 외 2015  306
1579 15 유전학 GJB1 돌연변이로 일어나는 CMTX 환자의 유전학적 코호트 연구 / 김성민 2016  306
1578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1577 9 보건의료 종합병원 의료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K대학병원 외래,입원고객을 중심으로 / 구영애 2011  306
1576 18 인체실험 생물의약품 임상시험에 사용되는 통계학적 고려사항 / 남주선 2014  306
1575 15 유전학 유전자변형 동물을 활용한 연구 / 구옥재 2018  306
1574 19 장기 조직 이식 중국에서 간이식 받은 환자 351명의 장기 성적 : 서울대학교병원의 경험 2008  306
1573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장연화, 백경희 2018  306
157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스타트업 단계시 고려사항의 국가간 비교연구 : 파머징 국가를 중심으로 / 배수연 2017  307
1571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체제 하에서 한국 바이오산업과 유전자원제공국 간 이익 공유 방안/이하동, 윤순진 2016  308
1570 2 생명윤리 문헌으로 본 응급피임약의 약효와 부작용/남명진 2015  308
1569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