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석사)--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호스피스간호전공 2016.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46647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The Perceptions of Hospice Palliative Care and Terminal Care Attitude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http://www.riss.kr/link?id=T14146647






초록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을 받은 100병상 이상 규모의 요양병원 10개소에 근무하는 임상경력 5개월 

이상인 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 4일부터 1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정희[30]와 이은자[31]의 측정도구를 김명숙[32]이 수정․보완한 호스피스인식 도구, Frommelt[34]가 

개발하고 조혜진과 김은심[35]이 번역, 수정․보완한 임종간호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9.4%, ‘연령’은 평균 46,1세이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이 77.6%, 최종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62.8%로 가장 많았다. 병원경력은 평균 14.6년으로 145개월 이상이 50.6%, 요양병원경력은 평균 4.6년이며 3년 이상이 50.6%이였다. 종교는 ‘무교’가 41.7%이었다. 가까운 지인의 임종경험은 69.9%가 있었고, 임종경험횟수는 평균 6.8회이다. 호스피스와 관련된 교육경험은 60.9%가 없었고, 호스피스 관련 교육을 받은 시간은 평균 7.8시간이었다. 임종간호의 필요성은 100%가 ‘필요하다’로 응답하였으며, 필요한 이유는 통증 및 증상 관리(88.4%)가 가장 높았다. 호스피스완화간호의 정보습득은 59.0%가 병원(의료진을 통해)이었고, 호스피스제도 도입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로는 병원의 경제성(타산이 맞지 않으므로)이 72.9%로 가장 많았고, 92.3%가 호스피스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호스피스완화간호 필요성은 ‘필요하다’가 67.9%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정도는 평균 3.24점(1-4점), 하위영역별로 보면, 정의·철학영역(3.39점), 대상자영역(3.25점), 서비스 내용영역3.29점), 윤리 및 심리영역(2.98점),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 영역(3.21점) 이었다.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수준은 평균 3.61점(1-5점), 하위영역별로 보면, 개인에 대한 태도영역(3.49점), 가족구성원에 대한 태도영역(3.96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의 정도는 연령(t = 10.72, p< .000), 결혼상태(t = 2.28, p< .023), 병원 경력(t = 3.85, p= .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는 연령(t = 8.63, p<.000), 병원경력(t = 5.17, p< .007), 요양병원경력(t = -1.98, p= .049), 가까운 사람의 임종경험 유무(t = 2.30, p< .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 = .555, p< .001)로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이 높을수록 임종간호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사의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가까운 지인의 임종경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이며, 설명력은 32.5%로 나타났다(F= 15.921, ρ<.001). 이상과 같이 요양병원 간호사는 지인의 임종경험이 있을수록 임종간호 태도가 높고, 호스피스 간호인식이 높을수록 임종간호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를 위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임종간호와 관련된 직무교육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간호사들이 근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임종경험을 나눌 수 있는 전문적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용어의 정의 3

  • II. 문헌 고찰 5

  • 1. 요양병원간호사 5

  • 2.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6

  • 3. 임종간호태도 8

  • III. 연구방법 11

  • 1. 연구설계 11

  • 2. 연구대상 11

  • 3. 연구도구 12

  • 4. 자료수집방법 및 기간 13

  • 5. 자료 분석방법 13

  • 6. 연구의 제한점 13

  • 7. 윤리적 고려 14

  • IV. 연구결과 15

  • 1.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15

  • 2.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수준 18

  • 3.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 수준 21

  •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 24

  • 5.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태도 26

  • 6.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와의 상관관계 28

  • 7. 대상자의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29

  • Ⅴ. 논의 30

  • Ⅵ. 결론 및 제언 34

  • Ⅶ. 참고문헌 36

  • 설문지 45

  • 영문초록(Abstract) 5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64
32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40
31 7 의료사회학 임상간호사의 동료 간 갈등극복 경험 / 배주영 2016  2413
30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태도 / 최은숙 2015  1553
29 4 보건의료 철학 정신건강복지법 발효에 따른 정신전문간호사의 역할규명을 위한 직무분석 / 조분선 2018  1501
28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임종간호 스트레스 및 임종간호태도와의 관계 / 김경숙 2016  1359
2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5
26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20
25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6
»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호스피스완화간호 인식과 임종간호태도 /김경희 2016  876
2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2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인식과 임종간호태도 / 안미숙, 이금재 2014  772
21 20 죽음과 죽어감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정도와 안락사에 대한 태도 / 이윤정 2013  680
2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태도 / 임선숙 2015  654
19 9 보건의료 응급실 간호사의 도덕적 고뇌 대응 경험 / 이나경 2016  649
18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외상(Trauma) 체험 / 고미숙 2016  583
17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16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2
15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1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