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2016. 8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84840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The Attitude of Workers in The Medical Field Concerning About 'Well-Dying'



- 저자 : 이종식

- 형태사항 : i,37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이상한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수사과학대학원 2016. 8

- 발행국 : 대구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6

- 주제어 : 의료 종사자, 웰다잉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 초록 :


의료계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웰다잉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고자 대구, 경북, 울산 지역의 종합병원 의료계종사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은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 준비, 웰다잉, 노후 준비, 일반적 특성 등 

총 5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은 남성(43.2%), 여성(56.8%)이었다. 나이는 30대(34.2%), 

40대(27.9%), 20대(22.6%), 50대(14.2%)의 순이었다. 학력은 대부분 대졸자(77.9%)였다. 종교는 불교(25.5%),

개신교(19.7%), 가톨릭((18.6%)의 순이었다. 결혼 상태는 기혼자가 60.0%로 과반수 이상 이었다. 

직종 분포는 의료인이 57.4%로서 비의료인(42.6%)보다 많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준비는 중간 값에 근사한 결과치가 나와서 ‘보통’ 정도의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웰다잉에 대한 분석에서는 3.53의 평균값이 산출되어, 5점 척도에서 보통(3.0)을 0.53정도 상회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특히 친밀감에 대한 반응이 높았고, 통제감과 임상증상의 순이었다. 노후준비에 대한 반응도 평균값 3.62로서

높은 수준이었다. 죽음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는 종교인 집단과 나이와 학력이 높고 많을수록 적극적이었으며, 

기혼자와 건강상태가 좋은 집단,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긍정적인 반응이 높아 노후준비에 더 많이 신경을 쓰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죽음에 대한 인식은 일반인과 의료계종사자들이 큰 차이가 없었고, 

웰다잉과 죽음준비에 대한 부분은 평균보다 높아서 죽음과 자주 접하는 직업군이기에 죽음 준비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다. 앞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죽음에 대한 준비 교육프로그램들의 활성화와 호스피스 완화에 대한 

홍보와 교육 등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목차 


서 론 1

연구방법 3

결과 6

고찰 24

요약 28

참고문헌 29

Abstract 31

부록 3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과 노인의 삶의질,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연구 / 정운경 2015  1471
1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1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웰다잉을 위한 간호실무 가이드라인 개발 / 김수진 2016  612
11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법 시행을 앞둔 윤리적 논쟁점과 방향제시 /김광연 2017  371
10 20 죽음과 죽어감 사전의료의향서의 도덕적 근거와 시행방안에 관한 연구 / 문노을 2014  361
»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계 종사자들의 ‘웰다잉’에 대한 태도 / 이종식 2016  229
8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이른바 웰다잉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김화 2016  205
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생사학적 비판 / 오진탁 2017  156
6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3
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철학 상담 / 정영기 외 2017  131
4 20 죽음과 죽어감 신해철법과 웰다잉법 / 신현호 2016  97
3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 문화의 맥락에서 본 웰다잉의 조건과 방식 / 유권종 2008  61
2 20 죽음과 죽어감 생사학적 관점에서 본 “좋은 죽음” / 김명숙 2015  55
1 20 죽음과 죽어감 건강행위, 회복탄력성, 웰다잉 인식이 노인 만성질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201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