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과학기술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704600 

연구논문 :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
= Articles : Legal protection of biotechnology patents and outlook


제어번호 99704600
저자명 박종용 ( Jong Yong Park ) 
학술지명 과학기술법연구
권호사항 Vol.19 No.2 [2013] 
발행처 한남대학교 과학기술법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1-168(38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3년
KDC 50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생명공학기술의 창작물이 특허법상 특허대상으로 인정함으로써 인류 사회에 불합리성보다는 유익성을 제공할 것으로 생각한다. 미국과 영국은 현재 인간배아줄기세포연구에서 건강한 난자를 쓸 수 있도록 규정을 완화한 상태이다. 또한 미국은 줄기세포치료제를 의약품으로 보기 때문에 임상을 거쳐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아야 하지만, 최근 동정적 사용승인(Expanded Access Programme)이라는 제도를 만들어 임상시험중이거나 임상을 진행할 수 없는 치료제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안전성이 입증되면, 이를 다른 환자들에게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있다. 반면 일본과 중국은 의사의 판단아래에 줄기세포시술이 가능하다. 유럽은 의약품으로 규제는 하지만, Hospital Exemption제도를 통해 병원에서 전문적인 판단 아래에 자가줄기세포를 환자 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두고 있다.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관한 국제적 동향은 인류의 건강과 복지 및 국가경제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도를 통하여 종래와 달리 점진적이면서도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대하여 윤리적, 종교적 문제를 가지고 논쟁할 것이 아니라 국제적 동향에 보조를 맞추어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연구에 보다 더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배아줄기세포의 연구는 폐기되어야 할 운명에 있는 잔여배아를 통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우리헌법상으로도 수정이 된 초기배아는 형성 중인 생명이지만 아직 모체에 착상되거나 원시선이 나타나지 않은 이상 초기배아는 기본권 주체성을 부인한다. 대법원도 법률상 보호대상은 태아는 낙태죄와 인간은 살인죄를 통하여 보호하고, 배아에 관하여는 어떠한 보호규정은 없다. 또한 불임클리닉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실행되고 있기 때문에 인류의 질병치료를 위하여 인간배아줄기 세포연구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오늘날 생명공학기술의 발달은 현대 사회에 새로운 의미로 다가오고 있다. 인류는 생명공학기술을 통하여 건강한 생활과 보다 긴 수명, 유전적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운 삶을 보장받았지만,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써 생명에 대한 진지함과 인간의 존엄성의 상실 및 사회적 가치관의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주제어
생명공학기술  ,발명의 성립성  ,신규성  ,진보성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  ,역분할줄기세포  ,직접전환세포  ,체세포복제  ,biotechnology  ,industrial applicability  ,novelty  ,inventive step  ,embryonic stem cells  ,adult stem cells  ,stem cells  ,reverse split  ,a direct transition cells  ,somatic cell clonin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9 18 인체실험 미국에서의 특허적격(Patent Eligibility) 판단에 대한 연구 - 인간배아줄기세포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이창화 2014  417
38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4
37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에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시 제거를 위한 연구 / 윤보애 외 2014  390
36 15 유전학 유전자 조작과 생명윤리<세상의 생명을 위하여> / 이향만 2018  363
35 18 인체실험 미분화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동정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 태지윤 외 2013  362
34 17 신경과학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 유경동 2014  335
3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대한 공적 규제 및 지원·감독 체계에 관한 연구 / 김은애 2014  334
32 18 인체실험 첨단의료보조생식에 근거한 민법 제844조 친생자 추정에 관한 고찰 / 유지홍 2015  328
31 18 인체실험 임상등급 인간 배아줄기세포주 확립 연구 동향 / 설혜원 외 2014  316
30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 잉여 냉동배아를 이용하는 데는 윤리적인 문제가 따르지 않는가 / 임종식 2001  309
» 18 인체실험 생명공학기술의 특허법적 보호와 전망 / 박종용 2013  290
28 14 재생산 기술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내의 인간배아 발생의 자연과학적 인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최진일 2017  283
27 14 재생산 기술 완만동결된 배아와 유리화 동결된 배아를 이식했을 때의 임신 예후의 비교 /곽은희 2014  278
26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체 편집에 관한 윤리적 쟁점/전방욱 2015  275
25 14 재생산 기술 생식세포, 배아에 대한 쟁점사항 및 입법논의 / 이인영 2009  273
24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연구의 도덕성 논쟁 / 문성학 외 2010  269
23 14 재생산 기술 생명복제를 둘러싼 국내의 생명윤리논쟁에 관한 연구 / 이은정 2005  267
22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21 14 재생산 기술 난자의 연구 이용 관련 우리나라 법원 판결에 대한 고찰 / 김은애 2015  253
20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의 신경세포분화 연구 동향 / 홍성회 외 2013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