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페미니즘 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59025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몸의 ‘미결정성’과 과학 연구에의 개입 = Women’s ‘Bodies’ and Biotechnological Research: The Unfixed Future of Bodily Materials and Donors’ Intervention in Scientific Research


 
제어번호 99959025
저자명 정연보(Jeong, Yeonbo) 
학술지명 페미니즘 연구
권호사항 Vol.14 No.1 [2014] 
발행처 한국여성연구소 
발행처URL http://www.kwsi.or.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15-152(38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4년
KDC 30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최근 재생산과 관련된 여성의 몸인 난자, 배아, 제대혈 등이 줄기세포 연구 등 생명공학의 중요한 재료로 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둘러싼 몸에 대한 서로 다른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신체물질 공여자 여성들에 대한 재현을 재구성하고자 시도하였다. 먼저 연구에 사용되지 않으면 버려진다는 논리의 ‘폐기물로서의 몸’이라는 접근은 몸의 사용을 정당화하고 공여자의 권리 및 기여도를 저평가한다. 반면 비판 담론들은 주류담론에서 간과되어왔던 여성의 몸과 건강이라는 맥락을 강조한 의미가 있으나, 그중 몸의 ‘소중함’을 기반으로 한 접근은 단수의 보편적, 생물학적 몸이라는 근대적 인식에 머물며, 수동적 ‘피해자’로서의 여성 이미지만을 강조하는 한계가 있다. 이렇듯 몸을 ‘폐기물’로 보는 관점과 ‘소중한 것’으로 보는 양극을 넘어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재생 노동”(regenerative labor) 논의와 적극적 참여자로 ‘비전문가’들을 포착하는 논의를 검토하고, 신체물질공여자의 역할에 대한 인정과 몸의 ‘미결정성’ 개념에 주목할 필요성을 환기한다. 마지막으로 신체물질 공여자와의 인터뷰와 이들의 글들을 통해 수동적 피해자 재현을 넘는 다면적 행위성(agency)을 강조하면서, 기증 이후에도 계속 변화하는 몸의 활용방향과, 과학 연구방향에의 개입과 통제에 대한 이들의 관심에 관해 논의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폐기물로서의 몸’과 ‘소중한 몸’을 넘어
3. 몸의 ‘미결정성’과 행위성
4. 적극적 행위자로서의 신체 물질 공여자
5. 나가며


주제어
여성의 몸  ,생명공학  ,재생노동  ,미결정성  ,행위성  ,전문성의 정치  ,women’s bodies  ,biotechnology  ,unfixed future  ,agency  ,politics of expertis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6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25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24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23 20 죽음과 죽어감 헤게모니 경합의 장(場)인 정신보건: 중국 개혁시기 여성주의 NGO와 의료전문가의 자살예방 접근방식에 관한 민족지적 연구 / 이현정 2011  137
22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문화적 학습 및 재생산의 경로: 중국 농촌 여성의 사례 / 이현정 2010  104
21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7
20 14 재생산 기술 난자제공 여성의 보호관점에서 본 난자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 / 김현아 2015  324
19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18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17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5
16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점으로 다시 제기하는 재생산권리 / 나영정 2016  277
15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14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13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 18 인체실험 여성의 ‘몸’과 생명공학 연구 / 정연보 2014  310
11 13 인구 직장 기혼 여성의 첫 자녀 출산의사와 관련된 근로 및 출산장려제도 요인 분석 /이승주 외 2017  100
10 14 재생산 기술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기다림과 만남” / 정영민 외 2017  93
9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자아존중감, 신체상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 황란희 2017  135
8 14 재생산 기술 난임 치료 중인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김미옥 외 2016  57
7 14 재생산 기술 난임여성의 삶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상희 2016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