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7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696553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Bioethics in Korea


 
제어번호 101696553
저자명 한지영(Han, Ji-Young) 
학술지명 法學論叢(Chosun law journal)
권호사항 Vol.22 No.3 [2015] 
발행처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발행처URL http://www.chosun.ac.kr/law/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30(3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5년
KDC 36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20세기 생명공학의 발전을 통해 인류는 불치병이나 난치병과 같은 질병을 하나 하나 극복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문제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21세기에도 인류의 생명공학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은 암,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등 불치병이나 난치병을 완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안겨 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감과 불치병 치료라고 하는 희망에도 불구하고 생명공학의 발전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생명윤리’라고 하는 문제를 인류에게 던져주고 있다. 생명윤리 문제로 인하여 우리나라는 2004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인간의 배아단계로부터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인간복제가 가능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물론 인간 복제를 엄격하게 금지시켜야 함은 당연하며, 이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담론은 이미 정립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제인간에 관하여 윤리적, 사회학적, 종교적, 법적 관점에서 문제점이나 검토해야 할 사항들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이외에도 생명윤리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동물의 종(種)끼리의 교잡을 통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키메라에 대한 윤리문제는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는데, 이러한 키메라의 등장은 인간이 자연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키메라의 등장을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입법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목차
Ⅰ. 서론
Ⅱ. 21세기 생명공학의 발전 현황
Ⅲ. 생명공학 기술의 발달에 따른 생명윤리
Ⅳ. 결 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7 17 신경과학 신경윤리의 성찰과 전망 / 최경석 2011  75
296 17 신경과학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윤리적 문제 분석 / 추병완 2014  1443
295 17 신경과학 식물인간의 윤리적 지위 : 신경윤리적 검토 / 김효은 2010  202
294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이현아 외 2017  220
293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292 2 생명윤리 생명과학과 생명윤리 및 법/주호노 2017  317
291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황상익 2017  272
290 2 생명윤리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진교훈 2017  248
289 15 유전학 유전자검사기술 확대에 따른 국내 유전자 프라이버시 침해의 제 문제/이보형 2017  308
288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기록 신뢰성보장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 - 우수연구실운영규정(GLP)을 중심으로 - / 염경은 2007  329
287 18 인체실험 인간배아복제의 연구윤리에 관한 연구 / 장선아 2007  625
286 18 인체실험 과학기술 연구윤리 고찰 / 김현진 2008  200
285 18 인체실험 연구윤리 교육활동에 대한 조명과 사례연구를 적용한 중등교육과정의 연구 / 이상희 2013  135
284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에서 바라 본 형사법적 쟁점 / 박광현 2013  211
» 18 인체실험 한국에서 생명공학의 발전과 생명윤리 / 한지영 2015  943
282 18 인체실험 배아복제 기술의 윤리적 문제와 줄기세포 연구의 한계 / 김광연 2015  2247
281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280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279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
278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