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이화젠더법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88967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Policy Tasks to Deal with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ssues : Focusing on the Cas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제어번호 101988967
저자명 문은영(Eun-Young Moon)  ,권미애(Mi-Ae Kwon)  ,전혜정(Hey-Jung Jun) 
학술지명 이화젠더법학
권호사항 Vol.8 No.1 [2016]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91-121(31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응하여 중앙정부와 더불어 지자체의 적극적 대책마련의 필요성과 정책방향성 수립을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최근 저출산과 고령화의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경험되는 문제이며 또한 우리나라에서도 인구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차원에서 이미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를 경험하고 대처하고 있는 선진국의 사례를 검토하면서, 다가올 현상에 대해 대응할 수 있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는 인구 300만 시대가 임박하는 상황에서 저출산과 고령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대도시중 하나이다. 인천시의 합계출산율은 1.21명으로 전국평균과 동일한 수준에 있지만 인구대체수준에는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며, 2000년 이래 지속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2014년 노인인구 구성비는 10.3%로 전년대비 5.5% 증가되었으며, 향후 30년 간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오는 2040년 인천의 고령인구비율이 약 30%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변화에 대해 일반 시민들에게 저출산・고령화 사회로의 변화는 실태조사결과 절반 이상이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와 연계성 있는 지역 내 정책방향 수립을 위해 인천시 사례를 들어 지역에서의 정책에 대한 시민체감도와 정책 수요, 또 정책대응의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저출산 고령사회 정책이슈 및 지역적 대응의 필요성
Ⅲ. 인천시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ㆍ고령사회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Ⅳ. 인천시 저출산 대책의 현황 및 과제
Ⅴ. 저출산・고령사회 대책 방향성에 대한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주제어
저출산·고령사회  ,인식조사  ,정책대응  ,정책  ,인천시  ,Low Fertility  ,Aging Society  ,Citizen Percepion Survey  ,Policy Response  ,Incheon Metropolitan Cit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4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91
63 5 과학 기술 사회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문사회학적 쟁점과 과제에 관한 연구 / 김진영, 허완규 2018  338
62 5 과학 기술 사회 초연결사회의 도래와 빅데이터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장완규 2018  163
61 17 신경과학 초연결 사회 속 피로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탐색 / 장민희 외 2017  124
60 1 윤리학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 이미경 2018  258
59 1 윤리학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권미경 2018  565
58 1 윤리학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시민권의 이론적 적용 가능성 고찰 / 신유리 외 2017  148
57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56 13 인구 저출산 · 육아지원대책에 대한 한 · 일 비교연구 / 이성한 2018  99
55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공공후견제도의 현황 및 향후 개선 과제 / 송영신 2017  178
54 10 성/젠더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남궁선 2008  410
5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부정적 감정 수용과 자살 리터러시의 역할에 대한 탐색 2017  442
52 1 윤리학 지능정보사회와 헌법상 국가의 책무 / 정준현, 김민호 2017  82
51 1 윤리학 성공적인 지능정보행정 도입을 위한 정부부문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전대성 외 2017  37
50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49
49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7
48 13 인구 인구감소에 따른 사회 지속발전 가능성 강화전략 / 박종서 2016  246
47 13 인구 제3차 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 - 노인돌봄 / 최혜지 2016  224
46 13 인구 고령사회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과 함의 / 강은나 2016  186
»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 이슈에 대한 정책대응 과제 / 문은영 외 2016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