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4
발행년 : 2015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 : 공공감사·정책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840258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기타서명 Problems in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for Childbirth Policy
저자 박숙현, Park, Suk Hyeon
형태사항 79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한국외대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곽선주.
             참고문헌 : p. 74-76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 공공감사·정책학과 2015. 8
DDC 352.34 2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5
소장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초록
Problems in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for Childbirth Policy

 The Republic of Korea is aging most quickly in the world, as seen in the super low total fertility rates of 1.3 or fewer children. By 2020, South Korea will hit the demographic cliff when production population decreases on a full scale, as baby boomers are incorporated into the elderly generation (Directions for 3rd Master Plan against Low-Birth Aging Society, 2015). This prognosis raises the worry of failure in sustainable development by economic recession etc. Even if a birth rate recovery occurs, there is a time difference by the time when newborn population enters into economic activities and alleviates social caregiving burd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urgent measures (1st Master Plan against Low-Birth Aging Society (draft), 2006).
 Approximately 60 trillion KRW have been invested into policies to ease low fertility since 2006, but there has been no rise in birth rate.
 The 3rd master plan against the low-birth aging society is being currently worked out. The 3rd master plan is to be implemented from 2016 through 2020, the last five years of low caregiving burden. As the period is called a golden time for increasing birth rates, any effective policy should be drawn up to succeed in achieving the target (Directions for 3rd Master Plan against Low-Birth Aging Society, 2015).
 South Korea has been fixed as a low-fertility country mainly because strong birth control policies were carried out from the 1960s on. As a result, a birth rate reached 2.08 children which fall short of 2.1 children, a population alternative level. Nonetheless, the ROK government continued to go ahead with the birth control policy,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touch off the second baby boom. At last, the population control policy led to a birth rate of around 1.6 children. It was not until June 1996 that the government entered into a population quality improvement period. It is a great regret that the government did not promptly switch its policy into a birth encouragement mode at that time. If any birth encouragement policy had been executed as in France, it could have prevented the current serious super low birth.
 In the population quality improvement period, the government implemented policies for maternal protection, gender balance etc based on low birth maintenance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is period, the plasticity principle of birth control policy worked, and preference for a small number of children was dominant among people, who were ready to practice contraception on their own initiative. In addition, fertility rates dropped more after the IMF crisis in 1997, and super low birth rates of 1.3 or fewer children lasted from 2001 on, as women received high level education and entered into society. At last, a birth encouragement policy began to be enforced in 2006, but people had already been accustomed to low marriage rate, late marriage, late childbearing etc.
 Population aging forces a nation to lose its growth energy with decrease in producible population, labor population aging, increase in supporting expenses for the elderly, economic recession etc. This study intended to design a method to get over the lingering low birth in the long run. Preceding studies indicate that one's will to marry and give birth is affected by unstable employment, private tutoring, dual burden of work and family, gender equality etc. The chronic low birth should be overcome with a strong will through population education, private tutoring punishment, and so on. In particular, South Korea is asked to implement any practical policy by expanding a childbirth budget drastically, like France which does not allow couples to avoid childbirth for an economic reason by giving allowances, e.g. family allowance given till twenty years of age in case of two or more children.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목적 1
제 2 절 연구 방법 2

제 2 장 저출산 현황 및 원인 4
제 1 절 저출산 현황 4
1. 초저출산 고착화 4
2. 출산 연령 상승과 고령 출산 증가 추세 6
제 2 절 저출산의 원인 9
1. 혼인 건수 감소와 초혼 연령의 상승 9
2. 장기적 인구정책의 부재 10
3. 난임불임자연유산 및 낙태율 증가 13
4. 결혼관 및 자녀관의 변화 15
5. 사회 경제적 환경의 변화 17
제 3 절 저출산에 따른 영향 24
1. 인구 고령화 24
2. 경제적 활력 저하 26

제 3 장 우리나라 인구 억제 정책과 출산장려 정책 29
제 1 절 인구 정책의 과정 29
1. 출산억제 추진기 30
2. 인구자질 향상기 31
3. 출산장려 추진기 31
제 2 절 중앙지방 출산장려 정책 32
1. 중앙단위의 다양한 정책 33
2.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40

제 4 장 외국의 출산장려 정책과 시사점 42
제 1 절 외국의 출산장려 동향 42
제 2 절 각국의 사례 분석 44
1. 불어권 및 북유럽 국가 44
2. 영어권 국가 47
3. 남유럽 및 독어권 국가 48
4. 아시아 국가 49
제 3 절 외국 출산장려 정책이 주는 시사점 52

제 5 장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저출산 기본계획의 수립방향 55
제 1 절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문제점 56
제 2 절 새로마지플랜 2020 수립 방향 59
1. 복지부 관계자 인터뷰 59
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정책 수립 방향 61
제 3 절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제언 63
1. 과거 초강력 산아제한운동 재연을 통한 총력적 출산장려운동 63
2. 시대 흐름에 맞는 올바른 임신 교육 시행 65
3. 각종 수당 활성화 및 고교 의무교육과 무상급식 시행 66
4. 양성평등 및 일가정 양립을 위한 강제 규정 마련 67
5. 강력한 사교육 처벌을 통한 공교육 정상화 유도 68
6. 안정적 고용정책 및 체계적 직업교육 시스템 마련 70

제 6 장 결 론 72

참고문헌 74
ABSTRACT 77



주제어
출산정책, 저출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43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6
42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49
»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2015  1203
40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35
39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38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37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3  792
36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09
35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08
34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2
33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32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5
31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2
30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2010  422
29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28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9  379
27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4
26 13 인구 시도별 저출산 원인 연구 / 백현희 2012  364
25 13 인구 미래 인구예측과 저출산ㆍ고령화 정책의 실천적 대안 / 유현종 2016  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