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안동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이론 전공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58095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on Childbirth:Focusing on the Birthrate and the Will to Give Birth



 
저자 홍성란
형태사항 150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병규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안동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이론 전공 2016. 8
발행국 경상북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안동대학교 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국가통계포털(KOSIS)의 출산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출산율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시·군·구 우수 기초자치단체 4곳을 선정하여 출산장려정책 성공사례를 분석하여 저출산 극복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출산장려금(합계)을 일천만원 지원할 경우 합계출산율은 0.073명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출산장려정책 만족도가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출산장려정책 만족도가 높을수록 출산의지가 높게 나타났다. 정책적 요인 중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출산장려정책이었는데, 출산장려정책이 1단위 높아질 때 출산의지는 0.15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출산율 분석결과와 마찬가지로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가치관적 요인 중 출산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변인은 자녀관과 인생관이었으며, 자녀관이 1단위 긍정적일수록 0.495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고, 인생관은 1단위 긍정적일수록 0.16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례연구 분석결과 출산장려금(합계)을 많이 지원하는 기초자치단체가 그렇지 않은 기초자치단체보다 출산율이 높았고, 임신·출산친화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에 찾아가는 산부인과 운영이 출산율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맞춤형 일자리 창출사업, 출산과 양육에 따른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여건 조성, 출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환경 마련, 여성 근로자의 육아환경 조성 등이 출산율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인구학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정책적 요인이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출산장려정책 입안 시 결혼과 임신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역별 도시 규모에 맞는 취업-연애-결혼-출산 그리고 양육친화 환경 조성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출산의지가 출산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세심한 정책설계 뿐만 아니라, 근본적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협치하여 현 세대와 미래세대의 긍정적 가치관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출산친화정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출산율 자료를 활용하였다는 점과 이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설문자료 분석과 기초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성공사례 분석을 병행하여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을 규명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대상 및 구성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출산 및 출산의지의 개념 
제2절 이론적 고찰 
1. 정책적 이론 
2. 사회·경제적 효용이론 
3. 문화․가치관적 접근이론 
제3절 우리나라의 출산현황 및 출산장려정책 
1. 우리나라의 출산현황 
2. 우리나라의 출산장려정책 
제4절 외국(일본, 프랑스, 스웨덴)의 출산장려정책 
1. 일본 
2. 스웨덴
3. 프랑스
4. OECD 국가
5. 우리나라와 출산선진국의 출산율관련 요인 비교
제5절 출산의 영향요인
1. 출산율의 영향요인
2. 출산의지의 영향요인 

제3장 연구모형 및 방법
제1절 출산율의 영향요인
제2절 출산의지의 영향요인
제3절 출산장려정책 사례연구 

제4장 분석결과
제1절 출산율의 영향요인
제2절 출산의지의 영향요인
제3절 출산장려정책 사례연구
1. 우수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현황
2. 우수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율과 출산장려금 분석결과 

제5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설문지
2. 전국 기초자치단체별 합계출산율 현황
3. 전국 기초자치단체별 출산장려금 지급현황



주제어
출산율, 합계출산율, 출산의지, 출산장려금, 출산장려정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38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관한 고등학생과 대학생들의 인식조사 / 류영신 2002  1014
4387 15 유전학 현대 키메라(Chimera)'의 학제적 접근을 위한 고찰 / 김인경, 장매희 2012  1013
4386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013
4385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2018  1009
4384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2016  1006
4382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DNR환자 임종간호에 대한 스트레스, 태도 및 임종간호 수행 / 김미향 2016  1006
4381 9 보건의료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2017  1003
4380 15 유전학 공공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확립 과정에 나타난 정보 공유와 사유화 사이의 긴장 / 조은희 2015  998
4379 20 죽음과 죽어감 "아동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요구 환아 가족 맞춤형 다감각환경 중재 프로그램" 개발 / 전주영 2018  988
4378 17 신경과학 정신질환을 가진 부모의 자녀들의 정신건강 상태 조사 연구 / 서화연 외 2017  987
4377 15 유전학 생명과학 공통성 발견 과제 수행에서 대상의 수가 공통성 지식 생성과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용성, 정진수 2019  982
4376 15 유전학 In Vitro에서의 경구 투여용 인간 성장 호르몬의 생산 / 구본철 2012  980
4375 5 과학 기술 사회 인간-로봇 소통의 인식론적 기초와 윤리 / 조광제 2011  980
4374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에서 혈장 내독소 농도가 생존기간에 미치는 영향 / 이진아 외 4인 2014  979
4373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6
4372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호스피스 병동에서 비타민 D 결핍 현황 및 관련인자 / 문경환 외 6인 2014  975
4371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좋은죽음인식,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비교 / 권인혜 2018  974
4370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4369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