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대학원 : 도시공학과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961024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Long-term demographic change and estimation of housing demand



 
저자 김미경
형태사항 vii, 104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이창무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참고문헌: p. 96-10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도시공학과 201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소장기관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초록
최근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국내의 저출산 및 고령화 현상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장래 주택수요의 변화를 예측하고 향후 주택시장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면적 단위의 주택 총수요를 추정하기 위한 모형과 주택의 규모별 수요 분포를 추정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고 장래 주택수요변화를 추정하였다.
Mankiw-Weil 모형에 기초하여 연면적 단위의 주택 총수요를 예측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한 시점에서 측정된 연령별 주거소비에 기초하여 수요를 추정하고 있어 출생시점에 따른 세대별 주거소비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대별 주거소비 편차가 존재한다는 이론적 해석에 근거하여 연령별 주거수요 이외에 출생코호트에 따른 세대별 주거수요 편차를 추가적으로 고려한 수요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 추정결과에 따르면 노년층의 주거소비가 장래 수요변화에 있어 주요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노년 1인 가구의 주거수요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향후 노년 소형가구의 증가에 따른 가구별 주택 수요 감소는 크게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택의 규모별 수요 분포 예측에는 가구당 평균 거주면적을 사용하는 기존 추정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분위회귀 모형을 사용하여 주택규모 분포의 변화 추정이 가능한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위회귀 모형을 통해 가구유형별 주택규모의 분포 변화를 시간과 소득의 함수로 추정한 결과 1·2인 청장년가구는 상대적으로 주택규모의 변화가 적게 나타난 반면 1·2인 노년 가구의 경우 시간과 소득에 대한 탄력성이 크게 분석되어 규모 증가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장래 노년 1·2인 가구의 증가는 주택규모가 증가하는 방향으로의 분포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가구별 주택수요모형과 향후 변화 가정을 반영하여 장래 주택 연면적 단위의 수요를 추정한 결과 중위 수준의 소득변화율을 적용하는 경우 총 주택수요 연면적은 2034년 이후 감소추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은 추세는 급속한 고령화의 진행과 젊은 세대들의 수요 감소 추세, 경제성장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가구분화에 따른 소형가구의 증가와 노년 인구의 주거소비 유지 그리고 가구소득의 증가에 따라 향후 20년 정도까지는 대체로 완만한 상승세가 유지될 것임을 시사한다.
주택규모 분포 추정 모형을 통해 장래 주택 규모별 수요를 예측한 결과 중형주택을 중심으로 중소형 및 중대형의 분포가 증가하고 소형주택의 경우는 감소 혹은 현상 유지하는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장래 1인가구의 증가로 인한 소형주택 수요의 급격한 증가추세보다는 노년 1·2인 가구가 기존 주거소비 수준을 유지하는 경향을 반영하여 중형 규모 위주의 점진적인 증가 추세가 유지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래 인구 구조의 변화가 전반적인 주택수요를 감소시킬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인구 구조 변화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주택수요의 감소는 발생하지 않으며 가구원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형주택보다는 중형 주택의 수요가 증가할 것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장래 인구 및 가구구조변화에 따른 주택 정책의 방향은 주택공급을 지나치게 축소하는 선택보다는 가구 특성에 따른 수요의 다변화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I.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2.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4
2.2 연구의 구성 5

II. 선행연구 7
1.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에 따른 주택시장의 변화 7
2. 인구 연령구조의 변화와 주택수요 변화에 관한 연구 11
3. 인구고령화와 주거소비 조정에 관한 연구 13
4. 가구구성의 변화와 주택의 규모별 선호에 관한 연구 15
5. 선행연구의 시사점 18

III. 가구별 주택수요 모형 추정 20
1. 가구별 주택 수요 모형 20
1.1 가구의 주택수요 추정 모형의 이론적 검토 20
1.2 연령별 1인당 주거면적 변화추세 24
1.3 가구원 연령 및 코호트 효과를 고려한 주택수요추정 모형 26
2. 가구별 주택 수요 모형 추정 결과 32
2.1 변수 및 기초통계 32
2.2 가구별 주택수요모형 추정 결과 39

IV. 주택의 규모별 수요분포 모형 추정 44
1. 가구유형별 주거면적 변화추세 44
2. 주택규모별 수요분포 추정 모형의 구성 47
3. 주택규모별 수요분포 모형 추정 결과 54
3.1 변수 및 기초통계 54
3.2 가구유형별 분위회귀 추정결과 55

V. 장래 주택수요 예측 67
1. 장래 주택 연면적 단위 수요 예측 67
1.1 장래 주택 연면적 단위 수요 예측의 개요 67
1.2 장래 변화에 대한 가정 69
1.3 장래 주택수요 변화율 산정 78
1.4 장래 주택 연면적 단위 수요 추정 79
2. 장래 주택 규모별 수요 예측 82
2.1 장래 주택 규모별 수요 예측의 개요 82
2.2 장래 변화에 대한 가정 82
2.3 가구유형별 주택규모별 수요 예측 84

VI. 결론 91



주제어
도시계획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68 9 보건의료 국내 메르스(MERS) 사태가 남긴 과제와 법률에 미친 영향에 대한 소고(小考)/윤종태 2015  426
3667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6
3666 1 윤리학 생명윤리법 제조과정에 있어서 정책갈등과 조정에 관한 연구 / 한성구 2004  426
3665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 정복례, 박현숙 2014  426
3664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5
3663 8 환자 의사 관계 간호사의 의료과오 책임에 관한 연구/장미희 2014  425
3662 8 환자 의사 관계 종합병원에 내원하는 환자와 가족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 정도, 경험, 태도,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윤은숙 2009  425
366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입법적 고찰 :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17 판결로 촉발된 논쟁점을 중심으로 / 박준태 2010  425
366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호스피스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유진 2019  424
365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3658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확보 방안 /박은정 2015  424
3657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3656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
3655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2
3654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2010  422
3653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2
3652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실험연구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박보배 2013  422
3651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3650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3649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2016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