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15477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저자 방문주
형태사항 vii, 83 p. : 삽화.
일반주기 지도교수: 원숙연
              참고문헌: p. 77-7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2010. 8. 졸업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0
소장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초록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저 출산을 벗어나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이유는 미래에 저 출산이 가져올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사회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저 출산의 원인으로는 양육비용 부담의 증가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및 고용불안에 따른 출산기피 현상의 증가와 같은 경제학적 요인과 결혼관•자녀 관의 변화와 일과 가정을 양립하기 어려운 현실과 초혼•출산 연령의 상승에 따른 사회인구학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위의 요인으로부터 발생한 저 출산이라는 사회적인 현상은 경제학적으로는 노동공급을 둔화시키고 경제의 성장속도를 점차 늦추면서 조세•사회보장기여금 등 재정수입을 늘리는데 한계를 보이게 되는 반면에 연금•노령수당 및 의료비 등과 같은 복지예산지출의 증대를 가져오게 된다.
게다가 사회인구학적으로 출산율이 감소하면 자연스럽게 전체 인구의 평균 연령을 높여 인구구조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뜻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2026년이면 초 고령사회 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미 저 출산을 경험한바 있는 스웨덴과 프랑스의 경우, 적극적인 출산장려정책을 통해 합계출산율이 2008년 OECD 국가의 평균인 1.71명보다 높게 나타난바 있다. 스웨덴은 출산•보육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일과 가정이 양립 가능한 사회환경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여성의 높은 경제활동참가율을 기록하면서 동시에 출산을 장려했다.
유럽에서 가장 먼저 저 출산을 경험한 프랑스는 부모의 양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아동수당, 가족수당, 자녀교육수당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당제도를 마련했다. 또한 공 보육 기반을 강화하고 탄력근무제를 통한 가족친화적 정책으로 여성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지원했다.
출산장려를 위해 우리나라가 실시하고 있는 정책을 경제적•사회인구학적 정책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보육비, 출산•임신을 위한 진료비, 난임 시술 비 및 산전 후 휴가를 통한 산전 후 휴가 급여와 육아휴직급여 등을 지원하고 보육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사업자에게 시설비용과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경제적인 지원정책이 있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정책으로 취약계층의 아동을 건전하게 육성하기 위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림 스타트 사업’, 여성이 경제활동을 하는 데에 있어 불편함이 없게 하기 위해 실시하는 가족간호휴직 제, 육아휴직과 같은 임산부 보호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의 향상과 같은 가시적인 성과가 뒤따르지 않아 정책의 실효성 부분에 의문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출산율을 정(+)의 관계로 만들고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정책지원책을 제시했다.
첫째, 가족친화적인 사회문화 조성이 시급하다. 산 전후 휴가와 육아휴직제도의 경우 「근로기준법」등에 의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업장에서 사용률은 저조하다. 출산을 앞둔 여성이 당연히 활용할 수 있는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것은 자신의 업무를 대신 해야 하는 동료에 대한 미안함과 인사고과에 대한 불안감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랑스와 같은 다양한 수당제도를 도입해 자녀가 있는 가정의 양육부담을 줄여야 할 것이다. 여성이 출산을 중단하게 되는 이유로 자녀의 양육비와 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온 설문결과를 볼 때 프랑스의 보편적인 아동수당제도와 같은 수당제도의 지급은 자녀의 양육비•교육비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제도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셋째, 스웨덴과 같은 보편적인 보육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여성의 경제활동을 감소시키는 이유가 자녀 양육비용의 부담과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시설의 부족이라는 점에서 스웨덴과 같이 국•공립 보육시설을 늘려 저소득층이 이를 이용할 경우 보 육 료 를 지원하거나 직장보육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해, 이행상황을 규제해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월 50만원씩 정액지급 되는 육아휴직급여를 상향조정 해 여성이 출산을 이유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경우 휴직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완화해주어야 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저 출산으로 인한 문제는 당장 우리의 일상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미래를 살아가는 또 다른 우리에게는 사회기반을 흔드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에서 제시한 정책방향에 따라 실효성 있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1
A. 연구목적 1
B. 연구방법과 논문구성 2
1. 연구방법 2
2. 논문구성 3
Ⅱ. 저출산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 연구 4
A. 저출산에 대한 이론적 고찰 4
1. 경제학적 접근 4
가. 출산과 소득의 상관관계 이론 4
나. 자녀의 경제적 효용 이론 5
2. 사회인구학적 접근 6
B. 연구분석의 틀 10
Ⅲ.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인구정책 12
A. 2009년의 저출산 현황 12
B. 저출산의 원인 18
1. 경제학적 요인 19
가. 양육비용 부담의 증가 19
나.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증가 20
다. 고용불안에 따른 출산기피 22
2. 사회인구학적 요인 23
가. 결혼관·자녀관의 변화 23
나. 일과 가정의 양립의 어려움 25
다. 초혼·출산연령의 상승 26
C. 저출산으로 인한 문제점 28
1. 경제학적 문제점 28
가. 생산인구의 감소, 경제성장의 둔화 28
나. 노인부양비의 증가,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의 위기 30
2. 사회인구학적 문제점 32
가. 급속한 인구의 고령화 32
D. 한국의 인구정책 34
1. 한국 가족계획사업의 변화 34
가. 가족계획사업의 출발(1960년대) 37
나. 출산 억제정책의 강화(1970년대) 39
다. 가족계획사업의 지속화(1980년대) 40
라. 축소되는 가족사업계획(1988~1995년) 42
마. 인구자질향상정책의 시작(1996~2002년) 43
바. 저출산·고령화 대책의 시작(2003년 이후) 44
2. 한국의 출산장려정책 현황 46
가. 중앙정부 46
(1) 경제적 지원 46
(가) 보육비 지원 46
(나) 난임부부 지원 47
(다) 출산·임신을 위한 진료비 지원 48
(라) 산전후휴가 49
(마) 육아휴직제도 50
(바) 육아지원시설 확충 50
(사) 다자녀 가정 주거 안정 지원 51
(아) 농·어업인 가정 52
(2) 사회인구학적 지원 52
(가) 드림스타트 사업 52
(나) 임산부 보호제도 53
나. 지방자치단체 55
(1) 경제적 지원 55
(2) 사회인구학적 지원 55
E. 소결 58
Ⅳ. 해외의 저출산 대응정책 61
A. 스웨덴 62
1. 출산·육아휴직제도 63
2. 보육서비스 64
3. 수당제도 65
B. 프랑스 65
1. 출산·육아휴직제도 66
2. 보육서비스 67
3. 수당제도 67
C. 외국사례에 따른 시사점 70
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방향 72
A. 경제적 지원 73
1. 수당제도의 도입 73
2. 보육서비스에 대한 지원 73
3. 육아휴직급여의 상향조정 76
4. 취약계층의 출산·양육제도 지원 76
5. 육아휴직에 따른 대체인력제도의 활용 확대 77
6. 산전후휴가급여의 사회보험화 78
B. 사회인구학적 지원 78
1. 가족친화적 사회문화 조성 78
2. 남성의 양육참여 활성화 79
3. 다양한 근로형태의 활용 80
4. 법률의 제정 81
Ⅵ. 결론 및 제언 82
참고문헌 85
Abstract 8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08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2007  496
807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2014  497
806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따른 윤리적 문제 고찰/우재명 2002  497
80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804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803 14 재생산 기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 박대웅, 류화신 2016  498
802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801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800 19 장기 조직 이식 공여자의 종류에 따른 간이식 후 감염성 합병증의 비교 / 기현균, 손준성, 오원섭, 백경란, 이남용, 김성주, 조재원, 이석구, 송재훈 2004  500
799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기독교의 대응 : 베아줄기세포 연구의 위험성에 대하여 / 윤재지 2015  500
798 18 인체실험 한국 체류 난민의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난민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손주희 2018  500
797 2 생명윤리 생명의료윤리학의 교육과 전망 / 김진경, 이상목 2014  503
79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 왓슨 기술과 보건의료의 적용 / 이강윤, 김준혁 2016  503
795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 공여자를 위한 상담 및 교육 / 손선영 2016  504
794 1 윤리학 도덕적 자연주의와 나쁜 것의 윤리학 : 니체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재구성 / 전경진 2012  504
793 15 유전학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 이일학, 김성혜, 유승협, 김소윤 2012  505
792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조사 연구 / 윤길자 1992  506
791 2 생명윤리 생명윤리학의 탄생: 의학과 생명과학, 철학에 말을 걸다 / 김상득 2014  506
790 12 낙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서의 낙태 / 배정순 2018  506
789 9 보건의료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경은 2018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