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행정 및 정책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98058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저자 조용철
형태사항 viii, 93 p.: 삽화, 표;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행정 및 정책 전공 2012.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2
소장기관 서강대학교 도서관

 
초록
저출산 문제는 OECD 국가 대부분이 겪고 있는 공통적 현상이지만, 우리 사회의 경우 불과 20년만에 세계 최저의 초저출산사회를 유지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저출산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가 고민하고 있는 저출산의 원인을 자녀 양육비 및 교육비 부담, 소득과 고용의 불안정, 일과 가정의 양립 어려움 및 여성의 경력단절 등의 사회․경제적인 원인과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인한 원인으로 분류해 고찰했다.
저출산의 파급효과는 인구학적 파급효과, 경제적 파급효과 그리고 사회적 파급효과로 살펴보았는데, 경제적 파급효과의 경우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노동력에 미치는 영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세분해서 분석해 보았다.
효과적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추가적인 방법으로 외국의 저출산 대책 현황과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는데, OECD 국가 중 저출산을 효과적으로 극복한 프랑스와 스웨덴, 장기간 저출산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검토해 보았다.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변천과정은 인구억제정책기, 인구자질향상정책기, 그리고 출산장려정책기로 분류해 단계별로 고찰했으며, 현 정부의 저출산 대책이 집결된 ‘새로마지플랜 2015’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고, 주요 정당에서 추진 중인 저출산 대책도 함께 검토해 보았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의 제시는 저출산의 파급효과에 대응해 인구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기타 대응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인구적 대응방안은 결혼 장려를 위한 제도적 시스템의 마련, 비정규직 차별 금지,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충을 제시했다. 경제적 대응방안으로는 아동수당 신설, 육아휴직제도 개선,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사회적 인식 제고 등을, 사회적 대응방안은 퇴직정년 연장, 임금피크제 확대, 담배세․주세 등의 건강세 전환과 건강보험 기금 편입을 제시했고, 마지막으로 교육과 보육의 컨트롤 타워 일원화와 복지 전담 공무원 운영 시스템 정비를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 13 인구 저출산 정책과 해결방안 연구 / 최문숙 2007  2292
63 13 인구 저출산 문제점과 정책 실효성에 관한 연구 : 유형별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 정윤경 2007  1466
»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50
61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2015  1203
60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35
59 13 인구 출산장려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출산율과 출산의지를 중심으로 / 홍성란 2016  1009
58 13 인구 저출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결혼과 육아에 관한 조사연구 / 이윤석 2016  964
57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보육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이정미 2005  939
56 14 재생산 기술 연구논문 : 대리모에서의 모성 결정에 관한 고찰 / 이인영 2011  811
55 13 인구 저출산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3  793
54 14 재생산 기술 한국의 대리모제도 : 그 입법론적 연구 / 박동진 2010  772
53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4
52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10
51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10
50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대책의 현황과 정책과제 / 이삼식 2016  646
49 14 재생산 기술 일반논문 : 대리출산의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3  599
4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관한 입법론적 연구 / 김상찬 2013  596
47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46 14 재생산 기술 난임부부 지원제도 개선 방안 /이서영 2013  585
45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