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행정 및 정책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98058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저자 조용철
형태사항 viii, 93 p.: 삽화, 표; 26 cm
일반주기 참고문헌수록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행정 및 정책 전공 2012.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2
소장기관 서강대학교 도서관

 
초록
저출산 문제는 OECD 국가 대부분이 겪고 있는 공통적 현상이지만, 우리 사회의 경우 불과 20년만에 세계 최저의 초저출산사회를 유지하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저출산의 원인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가 고민하고 있는 저출산의 원인을 자녀 양육비 및 교육비 부담, 소득과 고용의 불안정, 일과 가정의 양립 어려움 및 여성의 경력단절 등의 사회․경제적인 원인과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로 인한 원인으로 분류해 고찰했다.
저출산의 파급효과는 인구학적 파급효과, 경제적 파급효과 그리고 사회적 파급효과로 살펴보았는데, 경제적 파급효과의 경우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 노동력에 미치는 영향,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세분해서 분석해 보았다.
효과적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추가적인 방법으로 외국의 저출산 대책 현황과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는데, OECD 국가 중 저출산을 효과적으로 극복한 프랑스와 스웨덴, 장기간 저출산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검토해 보았다.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변천과정은 인구억제정책기, 인구자질향상정책기, 그리고 출산장려정책기로 분류해 단계별로 고찰했으며, 현 정부의 저출산 대책이 집결된 ‘새로마지플랜 2015’의 내용을 상세히 살펴보고, 주요 정당에서 추진 중인 저출산 대책도 함께 검토해 보았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의 제시는 저출산의 파급효과에 대응해 인구적,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기타 대응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인구적 대응방안은 결혼 장려를 위한 제도적 시스템의 마련, 비정규직 차별 금지, 국․공립 보육시설의 확충을 제시했다. 경제적 대응방안으로는 아동수당 신설, 육아휴직제도 개선, 일 가정 양립을 위한 사회적 인식 제고 등을, 사회적 대응방안은 퇴직정년 연장, 임금피크제 확대, 담배세․주세 등의 건강세 전환과 건강보험 기금 편입을 제시했고, 마지막으로 교육과 보육의 컨트롤 타워 일원화와 복지 전담 공무원 운영 시스템 정비를 제시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7
207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9
206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5
205 15 유전학 LMO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문상혁 2011  1242
204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44
203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46
202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사형수의 장기이식 현황 / 안상희 2012  1247
201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와 환자안전법에 대한 고찰 / 성은정 2015  1247
20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의 수술 후 영양상태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하지수, 최스미 2013  1249
19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제도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 김현숙 2007  1249
»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안에 관한 연구 / 조용철 2012  1251
19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환자의 마약성 진통제 사용현황 및 사망 이후 미사용 잔여량 추정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근거로 / 하정은 2018  1255
196 1 윤리학 지식재산권법에 관련된 헌법적 쟁점과 향후 과제 / 이규홍 2019  1268
195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발생하는 감염 합병증: 장기 추적 성적 / 구태연 2008  1287
194 19 장기 조직 이식 삽입형 제세동기를 이식한 환자의 적응 경험 / 이선미 2015  1310
19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형법적 허용한계 : 치료중단과 적극적 살해에 의한 안락사를 중심으로/이강민 2003  1312
192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3
191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장동춘 2010  1314
190 7 의료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 '건강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건강불평등'의 윤리문제를 중심으로 / 맹광호 2015  1321
189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