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72830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저자 최윤정
형태사항 v, 73장 : 도표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서용석
              참고문헌: 장 68-7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0.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0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초록
한국은 불과 한 세대 전만 하더라도 고출산국으로서 인구과잉을 걱정하는 상황이었으나 1983년 합계출산율이 인구대체수준(2.1) 이하로 하락한 이래 20여 년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었다. 서구 선진 유럽 국가는 가장 먼저 산업사회로 변화하며 저출산 현상을 겪게 되었으나 최근에 들어서 증가하는 요인을 보이게 되었다. 이처럼 서구 유럽 국가들은 한국보다 앞서 저출산 문제가 발생하여 그 해결책 또한 이미 오래전부터 마련되어 최소한 50년 이상의 정책 경험이 누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으로부터 회복된 서구 선진 유럽 국가들의 성공적인 정책들과 현재 시행중인 한국의 현 정책을 비교하고 사회적 맥락은 다르지만 한국 실정에 맞는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출산율 제고에 성공한 유럽 국가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저출산 복지정책에 접근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정책을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 환경이 상이한 선진국들의 성공 사례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한국에서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한국형 정책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한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목적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저출산의 원인 5
1. 인구학적 원인 5
2. 사회적 원인 7
3. 경제적 원인 10
제2절 저출산을 설명하는 이론들 13
1. 인구․사회학적 관점 13
2. 경제학적 관점 15
제 3 장 외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의 방향 17
제1절 프랑스의 출산 장려 주의 18
1.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도구들 20
2. 정책의 효과성 27
제2절 스웨덴의 양성 평등 추구 28
1.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도구들 30
2. 정책의 효과성 35
제3절 독일의 아동 보호 추구 37
1.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도구들 39
2. 정책의 효과성 42
제 4 장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45
제1절 한국의 출산율 현황 45
제2절 한국의 인구정책 변화 48
제3절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의 평가 50
1.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의 주요 내용 50
2.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의 평가 52
제 5 장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의 개선 방안 57
제1절 정부의 저출산 정책 방향 57
1.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 57
2.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사회책임 정책 59
제2절 경제계의 저출산 개선 방안 60
1. 가족친화 기업경영 60
2. 기업의 사회공헌 일환으로서 저출산 극복 62
제3절 여성계의 저출산 개선 방안 63
1. 일과 가족 생활의 양립 지원 63
제 6 장 결론 66
참 고 문 헌 68



주제어
저출산, 저출산 정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228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722
4227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개념과 분류 / 구영모 2005  720
4226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명희 2004  717
4225 13 인구 저출산 원인분석 및 대처방안 : 출생아수 감소원인 분석 및 대처방안 연구 / 황해범 2006  712
4224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2018  711
4223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 오윤규,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김성권, 이정상, 김강석, 이상구, 김성균, 서경석 2002  710
4222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4221 14 재생산 기술 숫자를 (재)생산하는 몸, 도구화된 여성 건강 : 저출산 정책으로서의 <난임(불임)부부지원사업>에 대한 고찰 / 하정옥 2012  710
4220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7
421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간호일터영성, 자기효능감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2019  702
421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대한 이론 윤리학 탐구 : 싱어, 칸트,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 곽영근 2018  701
4217 1 윤리학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의 가능성-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을 중심으로 하여 / 양천수 2014  701
4216 18 인체실험 공동임상연구윤리위원회(공동IRB) 설립과 초기 운영과정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 대구공동IRB 사례 / 김향미 2015  701
4215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4214 9 보건의료 의료인의 의료기관 다중운영 금지 조항의 위헌성 - 의료법 제87조 제1항 제2호, 제33조 제8항을 중심으로 -/김선욱, 정혜승 2015  693
4213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 최경석 2013  693
4212 18 인체실험 의학연구에서 위험성 평가 : 기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평가를 위해 고려할 사항들 / 이일학 2008  691
4211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윤리의 이론적 기초 연구 / 변순용, 송선영, 김현수 2012  690
4210 19 장기 조직 이식 병원간호사의 간호윤리 가치관 및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 김예진, 이명남 2011  689
4209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2013  6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