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고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72830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저자 최윤정
형태사항 v, 73장 : 도표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서용석
              참고문헌: 장 68-73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2010.8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0
소장기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초록
한국은 불과 한 세대 전만 하더라도 고출산국으로서 인구과잉을 걱정하는 상황이었으나 1983년 합계출산율이 인구대체수준(2.1) 이하로 하락한 이래 20여 년간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었다. 서구 선진 유럽 국가는 가장 먼저 산업사회로 변화하며 저출산 현상을 겪게 되었으나 최근에 들어서 증가하는 요인을 보이게 되었다. 이처럼 서구 유럽 국가들은 한국보다 앞서 저출산 문제가 발생하여 그 해결책 또한 이미 오래전부터 마련되어 최소한 50년 이상의 정책 경험이 누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으로부터 회복된 서구 선진 유럽 국가들의 성공적인 정책들과 현재 시행중인 한국의 현 정책을 비교하고 사회적 맥락은 다르지만 한국 실정에 맞는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의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특히, 출산율 제고에 성공한 유럽 국가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저출산 복지정책에 접근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정책을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 환경이 상이한 선진국들의 성공 사례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한국에서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한국형 정책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한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목적 3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제1절 저출산의 원인 5
1. 인구학적 원인 5
2. 사회적 원인 7
3. 경제적 원인 10
제2절 저출산을 설명하는 이론들 13
1. 인구․사회학적 관점 13
2. 경제학적 관점 15
제 3 장 외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의 방향 17
제1절 프랑스의 출산 장려 주의 18
1.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도구들 20
2. 정책의 효과성 27
제2절 스웨덴의 양성 평등 추구 28
1.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도구들 30
2. 정책의 효과성 35
제3절 독일의 아동 보호 추구 37
1.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도구들 39
2. 정책의 효과성 42
제 4 장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 45
제1절 한국의 출산율 현황 45
제2절 한국의 인구정책 변화 48
제3절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의 평가 50
1.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의 주요 내용 50
2. 저출산고령사회 기본 계획의 평가 52
제 5 장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의 개선 방안 57
제1절 정부의 저출산 정책 방향 57
1.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 57
2. 출산 및 양육에 대한 사회책임 정책 59
제2절 경제계의 저출산 개선 방안 60
1. 가족친화 기업경영 60
2. 기업의 사회공헌 일환으로서 저출산 극복 62
제3절 여성계의 저출산 개선 방안 63
1. 일과 가족 생활의 양립 지원 63
제 6 장 결론 66
참 고 문 헌 68



주제어
저출산, 저출산 정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이창배 2017  420
1027 15 유전학 유전자조작 기술과 스포츠윤리 쟁점 연구 / 박성주 2018  420
1026 20 죽음과 죽어감 HIV 감염인 남성의 죽음에 대한 주관성 / 이은주 2014  421
1025 19 장기 조직 이식 수술실 간호사의 뇌사자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가 간호 윤리 가치에 미치는 영향 / 서형은 2016  421
1024 13 인구 장래 인구구조 변화와 주택 수요 추정에 관한 연구 / 김미경 2016  421
1023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생존기간 예측을 위한 혈액학적 검사와 완화 의료 예후 지수의 유용성 평가에 대한 전향적 연구 / 손효림 2011  421
1022 9 보건의료 노인 간호와 돌봄 로봇 /은영 2018  421
1021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2019  421
1020 8 환자 의사 관계 의학 전문직업성의 덕 윤리적 접근 / 최숙희 2013  422
1019 2 생명윤리 원칙주의 생명의료윤리, 유학 생명윤리와인격주의 생명윤리의 원리 고찰/손보미 2016  422
»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대응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 최윤정 2010  422
1017 14 재생산 기술 동결 배아 이식에서의 동결 배아 보존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 비교 연구 / 이아름 2016  422
1016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
1015 18 인체실험 생명윤리 실험연구의 인지적, 정의적, 심체적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박보배 2013  423
1014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3
1013 14 재생산 기술 인공수정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 김지연 2015  423
101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 임경민 2015  423
1011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연구에서의 충분한 설명에 근거한 동의 확보 방안 /박은정 2015  424
101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의 현재 / 김홍진 2001  424
100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연명의료계획서 지식, 생명의료윤리 의식 및 호스피스 인식이 연명의료중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정유진 2019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