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 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308891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pulation welfare policies occurred by low-fertility in Korea



 
저자 정연숙 
형태사항 viii, 120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최수찬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 사회복지 전공 2006. 2
발행국 서울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6
소장기관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초록
저출산 국가들의 경험에 의하면 이들 사회에서는 지속적인 출산수준 저하로 인해 인구 고령화, 노동력 부족, 국가 경제의 침체 등에 대처하기 위하여 많은 정책적 노력과 비용을 지불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획기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국의 합계출산률은 1960년 대 초에 6.0명으로 고출산률, 고사망률을 유지하는 전형적인 개발도상국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경제개발5개년 계획과 함께 정부주도의 인구정책사업의 실시로 인해, 출산률은 가족계획사업을 실시한 지 불과 40년 만에 대체출산률(2.1) 이하로 낮추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한국의 출산률은 지속적으로 낮아져 2004년도 1.16명을 기록함에 따라 본격적인 저출산 국가로 진입하게 되었다.따라서 저출산이 사회문제를 유발하고 국가경쟁력에 장애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의 저출산에 따른 정책대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법에 의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저출산을 경험한 프랑스, 스웨덴, 스페인, 일본 등의 인구복지정책을 살펴보고, 한국의 저출산에 대응한 인구복지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저출산의 원인으로, 국가 정책적 요인으로는 인구억제 정책,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남여의 초혼연령의 상승과 미혼의 증가, 사회경제적인 요인으로는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의 증대, 자녀의 양육부담의 증대, 가정과 직장의 양립을 위한 사회적 인프라의 부족 등, 개인ㆍ가족적 요인으로는 여성의 교육수준의 향상, 이혼 및 가족해체의 증대, 불임부부의 증대, 결혼가치관의 변화, 자녀가치관의 변화 등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나타났다.저출산이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경제활동인구의 감소, 소득분배의 불균형 초래, 국가재정ㆍ수지의 악화, 사회복지비용의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한국의 저출산에 따른 정책적 대응으로서 출산의 양적 증가를 기대하기 보다는 복지차원에서 인구복지정책을 위한 대응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가정친화적 가족정책, 둘째, 여성의 경제활동 보장 및 양육을 위한 성평등 정책, 셋째, 자녀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완화정책, 기타정책 등을 제시하였다.저출산 및 인구고령화는 사회문제로서가 아니라 새롭고 필연적인 변화로 받아 들여져야 한다. 저출산 현상은 결코 단기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사회현상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저출산 현상과 이에 따라 파생되는 인구고령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들은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사회복지, 복지정책, 저출산, 합계출산율, 인구복지정책, social welfare, welfare policy, low-fertility, population welfare polici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13 인구 저출산에 따른 국가의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 정연숙 2006  375
43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
42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1 20 죽음과 죽어감 환경윤리학에서의 사회생물학적 접근의 한계와 가능성 / 노희정 2012  253
40 20 죽음과 죽어감 유비쿼터스시대의 윤리적 행동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문명사회의 공유와 감시체제를 중심으로 / 이지향 2015  210
3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김옥수 외 2016  232
38 17 신경과학 뇌과학 시대와 인지사회학 / 차영화 2016  586
37 9 보건의료 위험사회와 관료책임 / 김병섭 외 2016  208
36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35 9 보건의료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 신은주 2015  229
34 1 윤리학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2537
33 1 윤리학 연구논문 :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 김충묵 외 2016  573
32 1 윤리학 일본 개정 행정불복심사법에 관한 고찰 -공정성과 준사법절차를 중심으로- / 박웅광 2016  324
3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 김현경 2013  372
30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이식 스트레스와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함아름 2012  355
29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환자 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김소영 2016  243
28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혜자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정현정 2015  248
27 19 장기 조직 이식 심장이식 수혜자의 이식 후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 박병준 2012  479
26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25 1 윤리학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고현범 2014  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