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공통사회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96360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저자 정연숙
형태사항 viii, 106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99-10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공통사회교육전공 2009. 2
발행국 경기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09
소장기관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초록
21세기 사회는 이전의 물질중심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를 중시하는 지식정보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학교교육도 이에 맞는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인구정책을 보면 1960년대의 출산억제정책을 시작으로 소자녀정책, 인구증가 억제 정책 등으로 이어지면서 2008년 현재 우리나라 출산율은 남녀 2명당 1.16명으로 급속도로 인구가 줄어들면서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2020년부터는 역삼각형 인구변동 형태인 극심한 저출산∙고령사회로 접어들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저출산 현상은 초․중․고등학교 학령인구의 감소로 이어지고, 이로 인한 여유교실 발생은 다양한 학교시설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학교복합시설 사업을 조사․분석하여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학급수는 얼마만큼 감소되는가?
둘째, 여유교실 활용을 위한 학교시설은 어떻게 변해야 하는가?
셋째, 우리나라에서 학교복합시설 운영의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넷째,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은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하여 제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을 설정하였으며,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찰하였다.
-ⅶ-
첫째, 저출산․고령화 사회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파악하였다.
둘째, 학생수 및 학급수 감소에 따라 발생되는 여유교실 활용은 다양한 학교시설의 역할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셋째, 다양한 학교시설의 변화는 학교시설을 중심으로 한 복합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국내․외 학교복합시설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하는 바와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제 4장에서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하고 나아가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하여 학교복합시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첫째, 필요한 곳에 학교복합시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교시설 개방에 따른 고객인 국민의 인식 전환이 중요하고, 둘째, 이용자의 중심의 복합화를 추진하여 정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용자의 참가와 요구를 수용하여 복합화를 일련의 프로세스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사회발전에 따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최적화 된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넷째, 학교시설의 복합화의 양질의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커뮤니티 및 문화센터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공공서비스의 개선과 국가 재정 부족의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하여 민간투자사업 제도 반영을 적극 확대되어야 한다. 여섯째, 주민간․세대간의 지역공동체의식을 회복하려면 “학교”를 중심으로 문화․복지 공동체를 구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저출산․고령사회에 대비 학교복합시설을 활용하여 출산․양육을 긍정적으로 호응하고, 세대간의 격차, 고령자 고용 등의 문제를 해결 될 수 있도록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볼 때, 걸음마 수준인 우리나라의 학교복합시설 사업은 획일적이고, 일회성 성과와 실적에 급급하여 추진하기 보다는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개발 및 추진을 통하여 그동안 협의에 복합화로 머물러 있던 시설을 광의에 복합화로 좀 더 거듭나갈 수 있도록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 2절 연구의 문제 2
제 3절 연구의 내용 3
제 4절 연구의 방법 4
제 5절 선행연구의 고찰 5

제 2장 이론적 배경 7
제 1절 저출산고령화 사회 7
1. 저출산 현황 7
2. 고령화 사회 현황 9
3.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문제점 11
4. 저출산고령화 사회 도래의 원인 12
5.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교육과제 21
제 2절 저출산에 따른 학생수 및 학급수 변화 추이 25
1. 학생수의 변화 25
2. 학급수의 변화 28
3. 학교시설의 변화 32
-ⅰ-
제 3절 학교시설 중심의 복합화 37
1. 학교시설 복합화의 개념 37
2. 학교시설 복합화의 필요성 41
3. 학교시설 복합화 가능성 검토 42
4. 학교시설 복합화의 유형 44

제 3장 학교복합시설 사례 분석 45
제 1절 국외사례 46
1. 미국 46
2. 영국 52
3. 일본 62
4. 시사점 69
제 2절 국내사례 71
1. 금호초등학교 71
2. 돈암초등학교 73
3. 녹명초등학교 75
4. 학교 복합화 시설의 설치 및 운영의 문제점 77
5. 시사점 79

제 4장 학교복합시설의 발전 방향 80
제 1절 학교복합시설의 개선 방안 80
1. 사업 설치 과정 측면 80
2. 법적․제도적 측면 82
3. 관리․운영적 측면 84

-ⅱ-
제 2절 저출산고령사회 대비 한 학교복합시설의 발전 방향 87
1. 이용자 중심의 복합화 추진 87
2. 학교와 지역의 접근성 확대 89
3. 민간투자사업(BTL) 활성화 92
4. 교육·문화·복지 공동체 구현 93

제 5장 결론 및 제언 95


주제어
저출산, 학교복합시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88 4 보건의료 철학 비판적 사고와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사의 임상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장인실, 이경숙 2019  538
687 18 인체실험 국내외 임상시험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김지연 2003  539
686 20 죽음과 죽어감 생물학적 죽음에서 인간적 죽음으로 / 권수현 2015  540
685 19 장기 조직 이식 한국인의 심장이식 수술 후 발생하는 동종 이식 관상동맥 질환의 특성분석 비교 / 박경민 2005  540
684 15 유전학 미생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과 약제내성 기작 연구를 위한 유전정보의 활용 / 차선호 2010  540
683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적 의사결정과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환자, 가족, 간호사와 의사의 인지도 / 박애란, 소향숙, 채명정 2014  541
682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 양진희 2016  541
68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680 15 유전학 노로바이러스 전장유전체 분석 및 식중독 바이러스 동시 검출법 개발 / 이정수 2016  543
679 14 재생산 기술 산전진단에 나타나는 공리주의와 우생사상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최정임 2015  544
678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 후 임신이 이식신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 / 김민수 2014  544
677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자살생존자의 자살경험에 관한 연구 : 모과 옹두리에서의 비상 / 박지영 2007  545
676 20 죽음과 죽어감 영국의 안락사 : ‘조력자살(Assisted Suicide)’과 관련된 주요 사건과 입법동향을 중심으로 / 이주희, 조한상 2010  545
675 20 죽음과 죽어감 형법상 안락사·존엄사에 관한 연구 / 유선경 2001  546
674 5 과학 기술 사회 공학윤리 : 윤리이론의 선택의 문제에서 덕윤리/강기호 2015  546
673 9 보건의료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보험수가 분석 / 김현진, 김세연 2015  546
672 17 신경과학 학생상담자원봉사자의 활동 지속성 관련 요인 분석 / 조복순 2018  547
671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2013  547
670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47
66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윤리 교육에서 영화 및 역할극의 이용가능성 및 효과성 비교/정석희, 신자현 2015  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