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79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561398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The Current Status of Bioterrorism Education in Health-related Colleges -In the Professors of the Health-related Colleges

 
 
제어번호 99561398
저자명 천병철  ,김경운  ,김지희  ,김진우  ,노상균 
학술지명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권호사항 Vol.13 No.2 [2012] 
발행처 한국산학기술학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710-717(8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2년
KDC 530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학지사

 
초록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이용한 생물테러는 사회불안을 일으키고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병을 일으 킨다. 2001년 911테러를 겪으면서 생물테러 대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보건관련 종사자들은 이런 생물테러 발생이 있을 때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관련 교수들에게 설문을 통해 생 물테러 교육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보건관련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생물테러 대비에 대한 교육을 실시 하여 향후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와 대처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건관련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생물테러 대비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향후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와 대처능력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는 2007년 3월 10일부터 6월 10일까지 3달간 우편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응급구조학 과 23개교, 임상병리학과 25개교, 기타 보건관련학과에도 우편으로 설문을 배포하였다. 응급구조학과,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 교수들의 97.6%에서 생물테러 교육 경험이 없었다고 응답하였다. 생물테러 교육의 내용으로 비상사태 및 재난의 정의와 특성, 테러 및 생물테러의 정의, 생물테러의 역사, 생물테러의 일반적 특성, 생물테러 가능병원체 의 종류, 대비, 체계적 대응, 의학적 대응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물테러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재난 대비 교 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고찰


주제어
Bioterrorism  ,Bioterrorism preparedness  ,Bioterrorism education  ,Health-related colleg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339 18 인체실험 임상 적용을 위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배양 환경에 관한 연구 동향 / 정주원 외 2015  138
338 18 인체실험 패널토론을 적용한 대학생의 생명윤리 의사결정에 나타난 의사결정 변화 양상과 내용 분석 / 문성채 2015  267
337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 -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 유지홍 2015  237
336 13 인구 정부 저출산 대책 Bridge Plan 2020 / 정윤순 2016  291
335 13 인구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 이문숙 2016  588
334 13 인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김민곤 외 2016  314
» 9 보건의료 보건관련 교수들의 생물테러 교육현황에 관한 연구 : 응급구조학, 임상병리학과 기타 보건관련학교수를 대상으로 / 천병철 외 2012  298
332 9 보건의료 전염병의 경로 추적 및 예측을 위한 통합 정보 시스템 구현 / 김은경 외 2013  638
331 15 유전학 경북 동부지역 꿀벌에서 주요 병원체의 분자생물학적 검출 / 우인옥 외 2013  151
330 9 보건의료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 김기흥 2015  124
329 9 보건의료 외래침입 병원체에 의한 작물 병 발생 및 분포 / 조원대 외 2005  659
32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8
327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326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오소송에서 증인인 담당의사의 신문 등에 관한 연구 -환자 측 소송대리인의 입장에서- / 박태신 2015  340
325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324 1 윤리학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 우성희 2015  196
32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의 지리학과 생명권력의 정치 / 최병두 2015  404
322 2 생명윤리 간호대학 1학년 학생을 위한 생명의료윤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정계선 2016  229
321 9 보건의료 의료서비스 규제개혁을 위한 핵심 덩어리 규제의 식별 / 김성준 외 2016  138
320 9 보건의료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 이철호 2016  430